• Title/Summary/Keyword: 철학언어

Search Result 120, Processing Time 0.021 seconds

Artificial Intelligence and the meaning of language - focusing on the meaning of language in Wittgenstein's philosophy - (인공지능과 언어의 의미 - 비트겐슈타인의 '언어의 의미'를 중심으로 -)

  • Park, Jeong-sik;Jeong, Chang-rok
    • Journal of Korean Philosophical Society
    • /
    • v.143
    • /
    • pp.141-164
    • /
    • 2017
  • Artificial intelligence may be said like a human being. What is different thing between artificial intelligence and human intelligence? The people think that the artificial intelligence understands the meaning of the word to see artificial intelligence saying. However, it is different that artificial intelligence is identified as understanding a human being. We apply Wittgenstein's philosophy to this problem whether the artificial intelligence understands a meaning of language. We think that the artificial intelligence does not understand a live meaning of human life.

The linguistic characteristics of Chinese character and Reading for the Analects of Confucius (한자(漢字)의 언어적 특성과 『논어(論語)』 읽기)

  • Kim, Sang-Rae
    • The Journal of Korean Philosophical History
    • /
    • no.30
    • /
    • pp.191-225
    • /
    • 2010
  • This paper is the outcome of attempting to approach for reading the Analects of Confucius through the polysemy of Chinese character and indecidability of articles. For this purpose at first, I explained which this Chinese character can be applied for 'philosophy language'. In the 16th century Matteo Ricci had tried to find out the possibility of ideographic script as standing for a universal language. On the other hand, Hegel and Heidegger strictly insisted on the Chinese character is inappropriate for expressing the logic thought of the human being. The reason was as next; firstly, this character had not the preposition and articles, and secondly the only one word could not indicates the bisemy including the meaning of opposition, lastly this language system expresses and communicates only with the change of word order without inflection. But With some scholar like Cassirer, Saussure and Derrida we can confirm the possibility which will discover the Chinese character for using the logic and reasoning language of from different view. Because in the language system of this Chinese character the connection of words in contexts is more important other than meaning as the individual word, in comparison to the language of the West. The Chinese character hides the original meaning until being what kind of event and thing relationship watch inside with different letters. So to speak, the Chinese character is called as 'language of indecidability'. For these points, even though The Chinese character lacks of preposition, articles, and inflection speech etc. the letter systematic, this language system can play a role for expressing as the philosophic language which manages with the complicated problems of the human being.

과학철학에 있어서 AI의 활용 가능성

  • Lee, Yeong-Ui
    • Annual Conference on Human and Language Technology
    • /
    • 1990.11a
    • /
    • pp.120-127
    • /
    • 1990
  • 본 논문은 과학철학을 논의하는데 있어서 AI를 활용하는 가능성을 다루고 있다. AI를 이용한 과학철학은 그것의 논의 절차가 분명하게 표현된다는 점 이외에도 그러한 절차를 테스트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갖고 있다.

  • PDF

Philosophical Foundations of LISP (LISP의 철학적 기초)

  • Rhee, Young-Eui;Lee, Cho-Sik
    • Annual Conference on Human and Language Technology
    • /
    • 1991.10a
    • /
    • pp.66-75
    • /
    • 1991
  • 본 논문은 LISP의 기본적인 특성으로 간주되는 조건 표현과 회기에 대한 철학적 분석이다. 특히 여기서는 논리적 결합사들과 LISP의 원초적 용어들을 비교하고 있다. LISP은 현대 철학자들이 구성했던 이상언어의 사상을 계승한 것으로 여겨진다. 이러한 점에서 인공지능 연구와 철학 간의 학제적 연구가 절실히 필요하다는 논지를 몇가지 검토해 보았다.

  • PDF

현재성 문제와 지금의 지표성

  • Kang, Su-Hwi
    • Korean Journal of Logic
    • /
    • v.9 no.1
    • /
    • pp.173-204
    • /
    • 2006
  • 최근의 시간에 관한 철학적 논의에서 새로운 무시제 이론가들은 시제 문장들의 진리조건을 무시제 문장들을 통해 부여할 수 있다는 언어철학적 결과를 통해, 시제 사실들과 같은 것들을 받아들일 필요가 없다고 주장함으로써 A-이론을 비판해 왔다. 이 논문에서는 형이상학적 논변을 새롭게 제시함으로써, 언어 철학적인 논변과 달리 B-이론은 유지될 수 없으며, 오히려 A-이론이 시간에 대한 올바른 이론임을 논증하게 된다. 그리고 이러한 논의가 이루어지는 가운데 존속과 변화에 관한 흥미로운 문제들이 다루어지며, 시간 철학에서의 몇몇 개념에 관한 명료화 작업이 이루어진다. 나아가 이를 바탕으로 A-이론과도 B-이론과도 다른 새로운 대안적인 시간 이론이 제시되고, 이 이론이 지니는 특징들과 장점들이 이야기된다.

  • PDF

Meaning Analysis (의미 분석)

  • 이건원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Cognitive Science Conference
    • /
    • 2000.06a
    • /
    • pp.419-423
    • /
    • 2000
  • 성공적인 의사소통의 경우에 성(性)이, 이(理)와 명(命)으로 나타난 것이 같다. 진리(aletheia)가, 언어(logos)와 운명(moira)으로 나타난 것들이 일치하는 것이 성공적인 언화행위가 된다. 측정대상(melos)과 본체(ousia)가 구분되는 것은 언어와 운명의 괴리가 있을 수 있기 때문이다. 체계적인 언어처리의 지식기반을 측정대상에 한정한다. (1) 철학의 시작은 더 옳은 언어표현의 정의(definition)로 이전의 잘못 사용된 언어처리를 대체시키는 것으로 소크라테스는 보았다. [R. Crossman] (2)잘못을 지적하는 등에(Tabanidae)의 역할과 옳은 지식의 상기를 돕는 산파법(maieutics)이 소크라테스의 의미분석의 방법이다. [R. Crossman] (3) 언어를 통하여 진리를 추구한다는 입장(via language)에서 한 언어표현이 그 진리의 운명으로 나타남과 어긋날 때, 운명을 택하는 것은 조화 보다 더 안정의 우위를 인정하는 논리적인 입장으로 합리성 보다 실용(pragma)의 우위를 인정하는 것이다. [W. Quine] (4) 공동체의 공통규범의 추구는 그 언어 속의 공통의 형식 또는 법칙의 추구에 기초하는 것이 자연스럽다. 여기에서 그 언어사용은 그 기저의 법칙(underlying rule)에 개입한다는 입장에 기초한다. [J. Searle] (5) 진리의 언어표현과 운명적인 사태들 사이의 괴리를 처리하기 위하여 체계적인 언어표현의 대상(The Young Tableaux)과 실제(The continuum)의 구분을 수용한다. [AMS(2000)]언어표현의 대상은 나타난 것(顯)이고 실제에는 나타나지 않은 것도 있다. [伊川, 明道] (6) 이 나타난 것과 나타나지 않은 것에 간격이 없다는 것(顯微無間)은 그 의사소통이 성공적인 것이라는 것을 말한다. 따라서 그 언어의 표현완전성(functional completeness)은 언화행위가 성공적이라는 것이다. [J. Searle] (7) 수로 쓰인 것(象數)과 시로 쓰인 것(義理)이 하나인 것은 그 나타난 것과 나타나지 않은 것들 사이에 어떠한 틈도 없음을 말한다. [成中英] (8) 공통의 규범의 공통성 속에 규범적인 측면이 벌써 있다. 공통성에서 개인적이 아닌 공적인 규범으로의 전이는 규범, 가치, 규칙, 과정, 제도로의 전이라고 본다. [C. Morrison] (9) 우리의 언어사용에 신비적인 요소를 부인할 수가 없다. 넓은 의미의 발화의미(utterance meaning) 속에 신비적인 요소나 애정표시도 수용된다. 의미분석은 지금 한글을 연구하고, 그 결과에 의존하여서 우리의 실제의 생활에 사용하는 $\boxDr$한국어사전$\boxUl$등을 만드는 과정에서, 어떤 의미에서 실험되었다고 말할 수가 있는 언어과학의 연구의 결과에 의존하여서 수행되는 철학적인 작업이다. 여기에서는 하나의 철학적인 연구의 시작으로 받아들여지는 이 의미분석의 문제를 반성하여 본다.

  • PDF

비트겐슈타인과 유아론

  • Park, Jeong-Il
    • Korean Journal of Logic
    • /
    • v.9 no.2
    • /
    • pp.59-98
    • /
    • 2006
  • 유아론에 대한 비트겐슈타인의 철학적 투쟁을 조명하는 것은 그의 전체 철학의 핵심을 조명하는 것에 상당한다. 요컨대 유아론의 문제는 언어놀이, 놀이와 언어의 유사성, 가족 유사성, 규칙 따르기, 규칙 따르기의 역설, 사적 언어 논변, 뜻함, 봄과 -로서 봄, 모순, 논리적 필연성, 함 또는 실천과 같은 후기 비트겐슈타인의 핵심 개념이나 주제와 얽혀 있다. 이를 보이기 위해서 이 글에서는 유아론의 개념, 유아론에 대한 청년 비트겐슈타인의 생각, 후기 비트겐슈타인의 진단을 논의하게 될 것이다. 이러한 과정에서 우리는 비트겐슈타인이 유아론(넓게는 데카르트주의, 영국경험론, 현상학)에서 실천으로 나아가는 패러다임의 전환을 수행하고 있다는 것을 확인하게 될 것이다. 이러한 논의가 진행되면 우리는 유아론에 대한 후기 비트겐슈타인의 비판과 '사적 언어'가 어떻게 연결되는지 자연스럽게 문제 삼게 된다. 많은 학자들이 주장하는 바에 따르면, 비트겐슈타인은 사적 언어가 불가능하다고 간주했다. 그러나 나는 이러한 주장은 비트겐슈타인이 처한 패러다임의 전환 상황을 간과하는 처사로서 설득력 없는 것임을 보이고자 한다.

  • PDF

Logic as grammar: Wittgenstein’s view of logic (문법으로서의 논리 ― 비트겐슈타인의 논리관 ―)

  • Lee, Young-Chul
    • Korean Journal of Logic
    • /
    • v.11 no.2
    • /
    • pp.57-91
    • /
    • 2008
  • In accordance with his belief that philosophical problems arise from misunderstandings of the logic of our language, Wittgenstein's philosophical investigations were always focused on the problems of logic of language. Indeed, it can be said that his investigations were logical investigations. But what was the logic as conceived by him? He regarded logic as grammar from the beginning, but between his two different philosophical periods, there were important changes in his conceptions of grammar. In his earlier period, he understood the logic of language as the truth-functional syntax realizable in an ideal notation, while in his later period he regarded logic as the rules of language-use in various language games. It was a change from viewing logic as an ideally strict and universal system in which every logical possibilities are determined to viewing logic as an open system of non-strict grammatical rules specific to each language game. This paper deals with the gists of his earlier and later views on logic and the reasons for the change of his views, including specifically the reasons for the change of his views concerning the autonomy and necessity of logic as grammar.

  • PDF

Music, Language, and Life in Daoism and Confucianism (음악과 언어, 그리고 삶 - 도가와 유가를 중심으로 -)

  • Chung, Yong-Hwan
    • Journal of Korean Philosophical Society
    • /
    • v.105
    • /
    • pp.373-400
    • /
    • 2008
  • This essay is an analysis on Daoist deconstructivism and Confucian constructivism about music and language. (1) Daoist criticizes that the Confucian constructive music and language fail to describe original sounds and original facts of doing nothing (wuwei, 無爲). According to Daoist, music and language can be an instrument to describe true facts in the world. So Daoists try to attain a state of 'seeing things as things themselves (yiwuguanwu, 以物觀物)' by 'forgetting oneself (wangwo, 忘我).' (2) However Confucian music and language is a part of one's life. Confucians try to get truth, goodness, and beauty by exercising one's music and language. Confucian music is associated with political and moral development in society. The Confucian genres of poetry (shi, 詩), appealing letter (shu, 疏), declaring writing (biao, 表), record (ji, 記), and written words (ci, 詞) are processes of developing one's life. Further, Confucian rhetoric of 'Xing (興)' in writing poem shows that one's language can be developed in contexts of one's life. (3) Although music and language is associated with human subjective narratives as if Confucians say, diverse narratives of different subjectivity cannot appear in one's lives if all kinds of narrative is absorbed in Confucian absolute ideological slogan to devide things into good and bad. Accordingly, the Confucian view of music and language can develop diverse narratives when it does not show an inclination toward moral dichotomy preunderstood by Confucian ideology.

Simulation of Descartes′s Human thinking model by Multi-Threading (멀티쓰레딩을 이용한 데카르트 사유 모델의 시뮬레이션)

  • 한혜민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2.04b
    • /
    • pp.256-258
    • /
    • 2002
  • 지금가지 인지과학적인 연구는 주로 인간의 지능이나 신경망, 그리고 언어를 주 연구 대상으로 다루어 왔다. 그런데 인공지능은 철학의 고유영역에 속하던 많은 문제를 다루게 되었고, 그 주제들을 다뤄온 철학적 방법들을 여러 측면에서 채용하고 있다. 따라서 인지과학과 철학이라는 두 분야가 접목되어야 할 필요성이 있을 것이다. 본 연구는 위에 바탕을 두어 1) 인간 사유에 대한 데카르트의 성찰(cogito ergo sum)을 소개하고, 2) 이를 MFC를 이용한 Multi-threading으로 구현하고 실험하여, 3) 인간의 철학적 사유체계와 사고 중 이성과 오성에 관한 부분은 인공적으로 구현 가능하다는 사실과 응용 가능성을 검토하도록 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