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철물접합

검색결과 27건 처리시간 0.021초

국산 침엽수 철물접합부의 인장하중 특성 (Tensile Properties of Metal Plate Connector in Domestic Softwood Lumber)

  • 심국보;박정환;이준호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31권5호
    • /
    • pp.96-103
    • /
    • 2003
  • 국산 주요 침엽수재인 소나무, 잣나무, 낙엽송의 철물접합부 인장하중 특성 구명을 위하여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철물 접합부의 최대 인장하중은 AA형의 경우 소나무가 3,612 kgf로 낙엽송, 잣나무에 비해 각각 1.2배, 1.7배, EA형의 경우 2,704 kgf로 1.1배, 1.5배 우수하였다. 또한 AA형은 EA형에 비해 3 수종 모두 약 1.2배 이상 높은 인장하중을 나타내었다. 철물접합부의 파괴모드는 주로 이의 빠짐, 철물의 인장파괴와 목재의 전단파괴로 이루어지며, 특히 소나무 접합부는 철물의 인장파괴를 나타내었다. 철물접합부재의 인장하중-변위 특성은 Foschi 모형으로 정확하게 추정할 수 있었으며, 철물접합부의 초기강성은 소나무 접합부재가 높게 나타났다. 국산 침엽수재의 철물접합부에 대한 설계하중은 소나무, 낙엽송, 잣나무의 순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AA형의 경우 이당 설계하중이 소나무 25 kgf, 낙엽송 22 kgf, 잣나무 15 kgf이었으며, EA형의 경우 소나무 19 kgf, 낙엽송 17 kgf, 잣나무 13 kgf 이었다.

온·습도 변화에 따른 목재 철물 접합부의 못 뽑기 저항성 (A Study about Resistibility of Extracting Nails from Metal Connections on Wood According to Change of Temperature and Humidity)

  • 김종근;박철우;윤태호;임남기
    •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논문집
    • /
    • 제17권4호
    • /
    • pp.119-127
    • /
    • 2013
  • 외부에 설치된 목재 구조물 및 목조주택의 경우 기본적인 접합에 사용되는 철물은 스크류 볼트, 스테인리스 못, 일반 철못을 사용하는데, 목재의 철물 접합 부분이 외기 환경에 직접적으로 노출됨에 따라 온습도 변화에 의한 영향으로 철물 접합부 못의 마찰 저항성이 저하되어 이에 대한 하자가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으며, 이에 따른 유지보수가 반드시 필요한 실정이다. 하지만, 문제의 개선을 위한 기초자료 확보와 같은 실험 분석 등 현재까지 많은 연구와 대책수립이 이루어지지 않아 하자가 발생된 목재 구조물이 방치되고 있는 실정이므로 본 연구에서는 목재 및 철물 종류별 접합부의 마찰 저항성 분석을 통해 이와 같은 문제 해결을 위한 못 뽑기 저항 특성 분석으로 목재 수종 및 제조 조건 별 올바른 철물 사용 제안과 유지관리 및 보수 보강 계획을 수립할 수 있는 기초자료를 확보하고자 한다.

접합 방법에 따른 하지철물 구조물의 거동에 관한 실험적 연구 (Experimental Study on the Behavior of Building Hardware with Joint Details)

  • 홍성욱;김승훈;백기열
    •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논문집
    • /
    • 제22권1호
    • /
    • pp.190-198
    • /
    • 2018
  • 리모델링 시장이 커짐에 따라 품질이 우수한 건축물의 내장재 및 외장재들이 개발되고 있다. 개발된 내장재 및 외장재를 건축물의 구조체에 시공하기 위해서 구조체에 하지 철물을 설치하여야 한다. 건축물의 내장재 및 외장재 설치, 데크, 무대 및 마루 등의 시공 시 지지해주는 하부 구조물을 하지철물이라 한다. 하지 철물은 수평재와 수직재를 현장에서 용접 접합을 하여 구조체에 설치하는 방법이 주로 사용되었다. 일반적인 용접접합 방식의 시공은 용접 불씨에 의한 화재 발생으로 인명 및 재산 손실 문제와 전문용접공 부족으로 인한 비전문 용접공 시공에 따른 내구성 저하 문제 등이 발생하고 있다. 하지철물의 시공방법도 안전사고 및 시공의 용이성을 위하여 용접 접합 방법에서 무용접 접합 방법으로 개선되어지고 있다. 이는 화재예방 가설재와 소화장비 및 인원이 불필요하고 볼트조립으로만 시공이 가능하여 인건비 절감과 공기단축이 가능하다. 이에 용접을 사용하지 않는 무용접 하지 트러스 공법을 이용하여 접합부 거동을 실험하여 검증하고자 한다. 또한, 무용접 접합방법으로 시공 시 볼트 체결부분에서 틀어짐 현상이 발생하기도 하여 이를 보완하는 방법으로 각관, 유격방지 브라켓, 파스터, 홈볼트 체결을 통하여 일반 볼트접합인 각관, 화스너, 홈볼트 조립방법에서 좌우간의 틀어짐 현상을 방지하고 부재간의 미끄러짐 현상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시스템을 적용하여 접합부의 거동을 평가하고자 한다. 그 결과 무용접 접합방식의 하지철물 골조는 지진하중저항시스템에서 내진등급에 따라 요구되는 허용 층간변위각 0.01~0.02 보다 매우 큰 부재각까지 변형한 것으로 나타나 충분한 변형성능을 확보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대형판조립식 구조 수직.수평접합부의 전단강도에 미치는 보강방법의 영향-수직접합부 및 슬래브-슬래브 수평접합부를 중심으로- (Effects of Reinforcing Method Influnced to the Shear Strength of Vertical and Horizontal Joints in Precast Concrete Large Panel Structures -Focused on the Vertical Joints and Slab-Slab Type Horizontal Joints-)

  • 정란;박현수;조승호
    • 콘크리트학회지
    • /
    • 제8권4호
    • /
    • pp.171-179
    • /
    • 1996
  • PC판넬 조립식 구조의 수직.수평접합부의 유용한 접합형태에 따라 접합부 전단내력을 상승시킬 수 있는 접합부 설계의 기본 형태를 제시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시험체는 수직접합부의 경우 전단키의 개수 및 보강철물의 종류에 변수를 주고 수평접합부의 경우에는 전단키의 갯수 및 가력방향에 변수를 주어 총 22개의 시험체를 제작하여 실험하였다. 결론적으로 수직접합부의 경우, 수평보강철물이 있는 시험체는 기존의 다른 실험결과와 마찬가지로 수평보강철물이 없는 시험체에 비하여 연성이 크게 나타났다. EH한 와이어로프와 원형철근 두 종류의 보강철물을 사용하여 실험한 결과 와이어 로프를 사용한 시험체는 원형철근을 사용한 시험체와 최대내력 및 전단강성 등 전체적인 구조거동이 거의 비슷하게 나타났다.

경량형강 지붕트러스 앵커부의 거동 (The Behavior of Anchor Connections of Cold-Formed Steel Roof Truss)

  • 권영봉;강승원;정현석;최영현
    • 한국강구조학회 논문집
    • /
    • 제15권5호통권66호
    • /
    • pp.519-529
    • /
    • 2003
  • 최근에 스틸하우스나 고층아파트 지붕에 경량형강 지붕트러스의 사용이 증가하는 추세이다. 그러나 현재 지붕트러스와 하부구조의 앵커 접합부의 설계는 거의 경험에 의존하는 실정이다. 본 논문에서는 냉간성형형강 지붕트러스 앵커 접합부의 구조적인 거동에 관한 실험적인 연구를 서술하였다. 트러스부재와 접합철물은 스크류로 접합하였으며, 하부구조의 구조재료에 따라 시공성 및 구조적인 성능이 우수한 단순한 형태의 접합철물을 사용하여 철근콘크리트구조인 경우 케미컬 앵커볼트 그리고 강구조인 경우는 용접 및 DX-Pin을 사용하여 하부구조와 연결하였다. 다양한 접합부 형태에 대한 인발실험을 수향하여 접합부의 강도 및 강성을 측정하였으며, 이를 AISI시방서(1996) AISC시방서(1989)규정에 근거한 설계강도와 비교하였다. 또한 스크류 연결부의 최대전단강도식을 제안하여 실험결과와 비교하였다.

박판 냉간성형형강 골조의 접합부 거동에 관한 실험적 연구 (An Experimental Study on the Behavior of Connections of Thin-Walled Cold-Formed Steel Section Frames)

  • 권영봉;조종수;송준엽;김갑득
    • 한국강구조학회 논문집
    • /
    • 제15권3호
    • /
    • pp.281-290
    • /
    • 2003
  • 신형상 폐단면 냉간성형형강 스터드와 래프터로 구성된 포탈프레임의 접합부의 모멘트-회전각 관계, 회전강성, 항복모멘트 및 극한모멘트 등을 파악하기 위하여 접합부실험을 수행하였다. 실험의 주요 변수는 연강 접합철물의 두께 및 형상과 접합부 시험체의 비틀림에 관한 구속조건이며, 실험결과의 검증을 위해서 비선형해석 결과와 비교하였다. 반강접 접합부의 휨강성을 실험에 의한 모멘트-회전각 곡선으로 부터 구한 할선강도로 제안하여 구조해석을 통하여 타당성을 검토하였다.

대나무 접합물을 이용한 목조건물의 새로운 접합 시스템의 적용예 (Application of New Connecting System of Wood Structures Using Bamboo Connector)

  • 정상정문;박강근
    • 한국공간구조학회지
    • /
    • 제6권2호
    • /
    • pp.7-12
    • /
    • 2006
  • 최근 환경문제에 대한 해결책으로 목조건물의 해체 및 목재의 재사용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목조건물을 접합철물에 의해서 접합할 경우에는 건물의 해체시에 철재를 사용하지 않아 목부재의 절단이 매우 용이하고 목재의 재사용이 용이하도록 하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대나무의 높은 인성은 목재 접합부의 강도와 안정성 확보를 가능하게 해주고 있다. 대나무 접합물은 2005년 일본 Aichi 세계박람회에서 Japan pavilion Nagakute 전시관 건물이 대나무 접합부를 사용한 목조건물이다.

  • PDF

GFRP 보강적층판 및 GFRP rod를 이용한 낙엽송 집성재 문형라멘 구조의 수평가력 성능평가 (Lateral Load Performance Evaluation of Larch Glulam Portal Frames Using GFRP-Reinforced Laminated Plate and GFRP Rod)

  • 정홍주;송요진;이인환;홍순일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4권1호
    • /
    • pp.30-39
    • /
    • 2016
  • 구조용 집성재 라멘 접합부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접합철물을 대신하여 단판과 Glass Fiber Reinforced Plastic (GFRP)를 복합시킨 GFRP 보강적층판과 삽입 접착형 GFRP rod를 접합물로 사용하여 낙엽송 집성재 문형라멘 구조의 수평가력 성능평가를 실시하였다. 실험결과 GFRP rod와 에폭시 접착제를 이용한 삽입 접착형 접합부는 기존의 접합철물을 이용한 실험체와 비교하여 항복내력, 종국내력, 초기강성이 각각 49%, 52%, 61% 낮게 측정되었다. 이러한 접합부는 GFRP rod와 집성재 간의 접착력이 중요한 내력 기구로 현장적용 시 문제가 발생할 수 있는 가능성이 크다고 판단된다. 반면, GFRP 보강적층판과 목재(Eucalyptus marginata)핀을 이용한 실험체는 집성재 슬릿 접합부의 단면적 손실이 큼에도 불구하고 항복내력, 종국내력, 초기강성, 소성률이 전부 3% 이내로 측정되었다. 게다가 사이클에 대한 강성변화율도 35%로 가장 낮게 측정되며 접합철물을 이용한 실험체와 거의 동등한 성능을 발휘한 것을 확인하였다.

Cool Roof 성능을 확보한 Honey Comb Panel 지붕 접합부의 인발 성능 평가 (Evaluation of Pull-Out Strength of Connections with Roof Cladding using Honey Comb Panel Secured Cool Roof Performance)

  • 이인호;박상우;고광일;정미자;이은택
    • 한국강구조학회 논문집
    • /
    • 제28권3호
    • /
    • pp.139-149
    • /
    • 2016
  • 건물의 지붕 외장재는 강한 풍압 또는 태풍으로 인한 부압으로 지붕 외장재와 지붕 골조 간에 접합철물인 스크류가 인발되어 지붕외장재의 박리, 비산을 초래함으로써 인명, 재산적 피해가 발생함으로서 스크류 인발에 대한 대책이 요구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인서트 너트'라는 철물을 지붕외장재가 설치되는 프레임에 체결하여 스크류의 관통 깊이를 증가시켜 인발 저항력을 높였으며 시험편 인장실험을 통한 단순 스크류 접합과 인서트 너트 접합의 인발 강도를 비교하였고 Solid Work를 이용한 모델링 해석을 통해 실제 사용되는 지붕외장재와 동일한 조건의 실험체를 제작하여 정적실험 및 가상의 풍하중을 이용한 동적실험을 통해 일반적인 스크류 접합 지붕외장재와 인서트 너트를 사용한 지붕외장재를 비교하였다.

목조 구조물 접합부의 강성에 대한 근사평가를 위한 해석모델 (Analysis Model for Approximate Evaluation of Stiffness for Semi-Rigid Connection of Wooden Structures)

  • 조소훈;이헌우;박문재;김태진;김종호
    • 한국전산구조공학회논문집
    • /
    • 제28권1호
    • /
    • pp.93-100
    • /
    • 2015
  • 현대 목조 구조물은 일반적으로 접합철물인 연결재를 이용하여 접합된다. 그리고 목조 구조물에서 다수의 연결재를 사용한 접합부는 반강접 접합부를 만든다. 목조 구조물에 접합부가 핀접합으로 설계될 경우에 접합부를 통해 전달되는 하중이 과소 평가되고 이것은 접합부의 저항능력 부족을 초래한다. 목조 구조물의 접합부를 완전 강접합으로 고려할 경우에 접합에 필요한 접합철물의 양이 과도하게 증가 할 수 있다. 이것은 미적인 요소 뿐만 아니라 시공성과 경제성을 저하시킨다. 접합부의 합리적인 강성에 대한 추정은 목조 구조물의 합리적인 접합부의 설계에 필수적인 요소이다. 이 논문은 목조 구조물의 구조설계를 쉽게 수행할 수 있도록 도움을 주기 위하여 2면 전단접합에 대하여 구조설계에서 널리 이용되는 상용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접합부의 근사적인 강성을 나타낼 수 있는 해석 모델링 기법을 제안한다. 제안된 근사해석 모델링 기법은 휨 모멘트, 인장에 대한 실험 결과와 해석결과를 비교하여 접합부의 거동을 나타낼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