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천

Search Result 9,955, Processing Time 0.048 seconds

The study on the penetration and washing features of blood on the surface of fabric (천에 혈액이 침투되는 특성 및 침투된 혈액이 세탁되는 특성 연구)

  • Kim, Yeounjeung;Lim, Jaehee;Hong, Sungwook
    • Analytical Science and Technology
    • /
    • v.30 no.5
    • /
    • pp.270-278
    • /
    • 2017
  • The absorption of blood onto the surfaces of white cotton, polyester, rayon, and nylon fabrics was studied. Different categories of fabrics (woven and knitted) with diverse thickness, were manually folded twice to obtain four fabric layers, and $100{\mu}L$ of human blood was dropped onto the surface of the fabrics. The amount of blood that penetrated the fabric layer and the shape of bloodstain observed on the fabrics were influenced by the chemistry, thickness, and texture of the fabric. The blood bearing fabrics were left to dry for 3 days, washed by hand using tap water, and Lumiscene was then sprayed onto the fabrics to enhance the latent bloodstain for comparison of the shape of the bloodstain before and after washing by hand. The features of the bloodstain after washing varied greatly with the recipient fabrics. Additionally, stronger luminescence was observed at the surface where the blood was deposited compared to the background. However, it was confirmed that physical contact during the washing can deform the original shape of the bloodstain. The effect of the drying time on the bloodstain after hand washing was also studied. $100{\mu}L$ of blood was dropped on the surfaces of the fabrics and dried for 0, 1, 12, 24, 72 h, and 7 days, then washed by hand, before the bloodstain was enhanced with Lumiscene. The results of this experiment indicated that the increased drying time induces stronger chemiluminescence of Lumiscene. However, after drying of the bloodstain for 7 days, the luminescence of the bloodstain was decreased at the blood deposited site and increased around the blood deposited site.

Monitoring the DangWang Stream: After Stream Rectification Project (당왕소하천 친환경조성공사 공사후 모니터링)

  • Ahn, Tae-Jin;Choi, Kwang-Hoon;Kang, In-Woong;Kim, Kyung-Sup;Lyu, Heui-Jeo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5.05b
    • /
    • pp.1286-1290
    • /
    • 2005
  • 소하천의 치수기능상 안전성을 확보하고 소하천의 생태계를 고려하며 소하천의 본래의 경관을 보전 및 향상시키는 이른바 자연형 소하천 정비가 추진되고 있다. 행정자치부는 자연형 소하천 정비 사업에서 도출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안성시 당왕소하천 등 9개 소하천에 관한 자연형 소하천정비 시범사업 및 소하천 모니터링 사업을 2002년부터 시행하였다. 모니터링 사업은 시범소하천의 공사전, 공사중, 공사후 모니터링을 실시하여 향후 자연형 소하천 정비 공사에 관한 개선 자료를 제시하고자 하였으며, 본고에서는 당왕소하천 시범사업에서의 공사후 모니터링을 통하여 공사전$\cdot$후의 하상변동, 적용된 호안공법의 수리적 특성, 호안 식생 활착밀도, 홍수량 및 홍수위 측정, 흔적수위를 근거로 한 하도 수리특성 재현 등을 수행하였다. 모니터링 결과를 근거로 하여 하천 수리변화와 생태계와의 관계 규명, 각 구간에서의 적용공법의 적정성 평가, 분야별 공법 및 사업전반에 대한 평가, 치수 안정성을 갖는 자연형 호안공법에 관한 설계지침 및 유지관리 지침, 향후 하천 환경 정비 공법에 대한 대안 등을 제시하는데 필요한 기초자료를 축적하고자 한다.

  • PDF

Principle and Algorithm of Cloth Covering and Application to Script Identification (천 커버링의 원리와 알고리즘 그리고 언어 식별에 응용)

  • Kim, Min-Woo;Oh, Il-Seok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12 no.3
    • /
    • pp.67-76
    • /
    • 2012
  • This paper proposes a concept and algorithm of cloth covering. It is a physically-based model which simulates computationally a shape of cloth covering some objects. The goal of cloth covering is to conceal the details of object and to reveal only the shape outline. It has one scale parameter which controls the degree of suppressing fine-scale structures. To show viability of the proposed cloth covering, this paper performed an experiment of script recognition. The results of comparing accuracies of feature extraction using Gaussian and cloth covering showed that the cloth covering is superior to Gaussian. We discuss the reason for the superiority.

Arisaema thunbergii supsp. geomundoense S.C.Ko (Araceae), a new subspecies from Korea (한국산 천남성속 두루미천남성절의 1 신아종(천남성과), 거문천남성)

  • Ko, Sung-Chul;Lee, Doo-Bum;Shin, Young-Hwa;Tae, Kyung-Hwan
    • Korean Journal of Plant Taxonomy
    • /
    • v.36 no.3
    • /
    • pp.209-216
    • /
    • 2006
  • Arisaema thunbergii supsp. geomundoense, a new taxon in Arisaema sect. Tortuosa subsect. Flagellarisaema (Araceae), from Is1. Geomun-do, Dadohae National Park, Korea, is described. It is distinct from subsp. thunbergii in having bright purple enlargement at the base of spadix appendage, and in having wrinkled enlargement at the base of spadix appendage from subsp. urashima.

Monitoring the DangWang Small Stream: Before and Under Stream Rectification Project (당왕소하천 정비 시범사업의 공사전${\cdot}$중 모니터링)

  • Ahn, Tae Jin;Kim, Kyung Sup;Gye, Myung Chan;Cha, Yoon Jung;Bae, Kyung Seo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4.05b
    • /
    • pp.912-916
    • /
    • 2004
  • 소하천의 치수기능상 안전성을 확보하고 소하천의 생태계를 고려하려 소하천의 본래의 경관을 보전 및 향상시키는 이른바 자연형 소하천 정비를 추진되고 있다. 행정자치부는 자연형 소하천 정비 사업에서 도출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안성시 당왕소하천 등 9개 소하천에 관한 자연형 소하천정비 시범사업 및 소하천 모니터링 사업을 2002녀부터 시행하였다. 모니터링 사업은 시범소하천의 공사전, 공사중, 공사후 모니터링을 실시하여 향후 자연형 소하천 정비 공사에 관한 개선 자료를 제시하고자 하였으며, 본고에서는 당왕소하천 시범사업에서의 공사전${\cdot}$중의 현황을 조사 및 분석한 결과를 수록하였다. 나아가 공사후 모니터링을 통하여 적용공법에 따른 수리적 특성 린 변화, 적용된 시설물의 수리적 영향, 하천 수리변화와 생태계와의 관계 규명, 각 구간에서의 적용공법의 적정성 평가,분야별 공법 및 사업전반에 대한 평가, 치수 안정성을 갖는 자연형 호안공법에 관한 설계지침 및 유지관리 지침, 향후 하천 환경 정비 공법에 대한 대안 등을 제시하는데 필요한 기초자료를 축적하고자 한다.

  • PDF

The Quality of Water and Distribution of Vegetation According to Land Use Pattern (토지이용패턴에 따른 하천수질과 식생분포)

  • Oh, Young-Ju;Kang, Byoung-Wha;Kim, Byoung-Woo;Kim, Sung-Pil;Han, Min-Su;Kim, Jin-Ho;Na, Young-Eun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Agriculture
    • /
    • v.25 no.1
    • /
    • pp.34-39
    • /
    • 2006
  • The land use pattern, water quality and vegetation were investigated in the six tributaries, including Hanggeumcheon and Satancheon of the Namhan hydrosphere, Iksancheon, Jeonjucheon and Gosancheon of the Mankyung hydrosphere as well as Jongeupcheon of the Dongjin hydrosphere. Forest and farmland area were extensive in Hanggeumcheon, Satancheon and Gosancheon. Farmland and livestock area were wide in Iksancheon. Jeonjucheon were occupied with broad urban. Industrial and urban area were extensive in Jongeupcheon. The loading amounts of biochemical oxygen demand (BOD), total nitrogen (T-N), total phosphorus (T-P) of Iksancheon and chemical oxygen demand (COD) of Jeonjucheon were determined to be very high, respectively. The quality of water in Hanggeumcheon, Satancheon and Gosancheon were determined to be good quality. The species diversity was lower in the down stream than in the upper stream except for the Gosancheon. Life form of plane were mostly perennial plane in the upper stream and annual plants in the down stream of rivers. It was estimated that there is high level of disturbance in the down stream of rivers. The quality of water was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farmland and forest area. In conclusion, human impact, such as farmland and housing lot exerted an influence on the disturbance of down stream and the water quality of rivers.

Flood Inundation Analysis of Cheongye-stream by The Historical Records (역사기록을 이용한 청계천의 홍수범람해석)

  • Yun, Gyeong-Ho;Kim, Hyeon-Jun;Jang, Cheol-Hee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0.05a
    • /
    • pp.1808-1812
    • /
    • 2010
  • 과거에 발생한 극한홍수에 대해 역사기록 혹은 고고학적 발견을 통해 경향성을 연구하는 것은 세계적으로 많은 관심을 가지고 수행되고 있다. 특히, 기후변화와 관련하여 시추 자료 분석에 의한 연구는 과거에도 극한홍수가 발생하였음을 보여주고 있으며, 일기와 같은 개인적인 기록물에도 이런 재해에 관한 기록이 남아 있다. 우리나라의 역사기록은 측우기의 앞선 발명과 맞물려 세계적으로 찾아보기 어려운 매우 상세한 내용을 담고 있다. 삼국사기를 비롯하여 고려사에는 그 시대에 발생하였던 주요 홍수에 대해서는 정성적인 기술이 되어 있으며, 특히 조선왕조실록에는 조선왕조가 개국된 이래로 500년간 발생한 홍수와 피해지역 및 피해규모를 자세히 기록하고 있다. 본 연구의 선행연구에서는 과거 청계천에서 관측된 측우기 기록을 이용하여 홍수수문분석을 수행한 후 과거 청계천의 극한홍수량을 산정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홍수량 산정결과를 토대로 HEC-RAS를 이용하여 과거 청계천에 대하여 각 홍수사상별 홍수위를 산정하였다. 이렇게 산정된 홍수위를 과거 역사기록상의 피해기록과 비교 분석하기 위하여 수치고도모형(DEM)의 이용으로 공간적 피해규모를 평가하고자 하였다. 모형의 입력 자료로는 하도구간 및 하천단면, 조도계수, 하상경사, 상 하류단 경계조건 등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서 과거 청계천에 대한 하천 단면자료 및 조도계수 등이 필요하나 대상지점의 과거 실측자료가 없는 바 청계천 개수계획평면종단도(1936년, 경성부), 준천사실(1760년), 동국여지비고(1870년), 조선지형도집성(1921년), 경성지적도(1912년), 청계천 유물 발굴조사보고서(2006년) 등의 고문헌을 통하여 청계천 본류 구간에 대하여 단면 입력자료를 구성하였다. 또한 실제 청계천의 주변부 피해양상을 확인하기 위하여 청계천의 지류구간에 대해서도 금천교 발굴조사보고서(2003년), 영천교 발굴조사보고서(2003년) 등의 자료와 함께 근대까지의 기록물들을 활용하여 단면 입력자료를 추정하였다.

  • PDF

Estimation of Environmental Ecological Flow for the Aquatic Ecosystem Management in Urban Rivers (도시하천 수생태계 관리를 위한 환경생태유량 산정)

  • Kim, Keewook;Baek, Kyung Hoon;Kwon, Dong Woon;Kim, Jin Hee;Kang, Ji Yo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2.05a
    • /
    • pp.467-467
    • /
    • 2022
  • 1990년대 후반부터 시작된 자연형 하천정비 사업은 기존의 수질보전정책 외에도 하천생태계에 대한 관심이 부각되는 계기로 작용하고 있다. 이 중 환경생태유량은 기존의 하천유지유량보다 확대된 개념으로 수생태계 건강성 회복을 위한 중요한 요소이다. 본 연구에서는 도시하천 수생태계 건강성 회복방안 마련을 위한 기초자료 마련을 위해 부산의 대표적인 도시하천인 온천천과 학장천을 대상으로 환경생태유량을 산정하였다. 환경생태유량은 하천의 물리적 특성 및 어류·유량을 조사하는 하천현장조사, 서식지적합도지수 산정의 과정을 통해 산정된다. 온천천과 학장천에서 각각 3개의 대표지점을 선정하고 각 지점별로 2회의 현장조사를 통해 각 지점에서의 수심, 유속, 하상재료, 어류 조성을 조사하였다. 조사결과를 바탕으로 붕어와 참갈겨니를 대표어종으로 선정하고 Instream Flow and Aquatic Systems Group(IFASG, 1986)에서 제시한 방법을 이용하여 서식지적합도지수를 산정한 후, 미국지질조사국의 물리적서식지모의시스템(PHABSIM)을 이용하여 하천별, 어종별 환경생태유량을 산정하였다. 온천천의 경우, 붕어와 참갈겨니 모두 약 0.7~0.8m3/s에서 가용서식지면적이 가장 크게 산정되어 일 60,000~70,000m3 가량의 환경생태유량 공급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학장천의 경우, 붕어는 약 0.6~0.7m3/s, 참갈겨니는 약 0.3~0.4m3/s에서 가용서식지면적이 가장 크게 산정되어, 각각 일 50,000~60,000m3, 25,000~35,000m3 가량의 환경생태유량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로부터 산정된 환경생태유량을 금번 관측유량 및 현재의 하천유지용수 공급계획량과 비교해보면 온천천에서는 일 15,000m3 이상, 학장천에서는 어종에 따라 일 7,000m3 이상의 추가유량 확보가 필요한 것을 알 수 있었다. 특히 학장천의 경우, 어종에 따른 환경생태유량의 차이가 크게 나타나 하천 구간별 유량조사를 통해 어종별 주요 서식지 구간 설정 및 관리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Assessment of Close-to-nature Techniques for River Channel Restoration in the Musim River (무심천에 적용한 친자연공법의 조사 및 영향 평가)

  • Yeon, Gyu-Bang;Cho, Yong-Soo;Yeon, In-Sung;Lee, Sam-Hee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9.05a
    • /
    • pp.452-456
    • /
    • 2009
  • 무심천에 대한 모니터링은 '무심천 살리기'의 일환으로 이루어진 하천종합조사사업으로써 저수량, 홍수량, 생태계 및 하천공법 등에 대한 조사 및 분석을 수행하고 있다. 모니터링은 5년간에 걸친 사업으로 2007년 5월부터 시작하여 2009년 현재 2차년도 사업을 진행중이다. 본 연구에서는 특히 무심천에 적용된 하천공법에 대한 조사 및 분석에 국한하였다. 여기서 2002년부터 자연형 하천정화사업에서 적용했던 공법과 이로 인한 수리인자의 변화를 관찰하고, 저수로 호안을 포함한 각종 하천환경 시설물의 수리적 대응도를 분석하여 개선 방안을 제시한 것이다. 무심천의 조사구간은 미호천 합류부로부터 청원군과의 경계인 지북동 경계점 까지이며, 조사 및 분석한 하천연장은 무심천 본류 12.0 km이다.

  • PDF

A Comparative Study on Usage Condition of Cheonancheon and Wonseongcheon (천안천과 원성천의 현황 및 이용실태 비교조사)

  • Jeon, Soo-Jin;Choi, Ye-Sl;Jo, Jung-Mi;Lee, Hee-Won
    • Proceedings of the KAIS Fall Conference
    • /
    • 2011.12b
    • /
    • pp.449-452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도심 속 생태하천으로 탈바꿈하기 위한 '자연형 하천정화사업' 중 천안시의 하천정비사업과 관련하여 최근 집중 개발된 천안천과 원성천의 이용실태에 관하여 실증적 조사를 시행하였다. 천안천과 원성천의 현황을 비교 분석하여 비슷한 시기에 개발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원성천이 천안천에 비하여 보다 자연형에 가깝게 발전된 요인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