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천주

검색결과 191건 처리시간 0.021초

움직임 검출의 캠 제어에 의한 웹기반 이동 객체 추적 (Web-based Moving Object Tracking by Controlling Pan-Tilt Camera using Motion Detection)

  • 박천주;박희정;이재협;전병민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권2호
    • /
    • pp.17-26
    • /
    • 2002
  • 본 연구에서는 연속된 비디오 프레임을 대상으로 움직임을 검출하고, 이에 따른 움직임 벡터를 이용하여 카메라를 좌우 상하로 제어함으로써 이동 객체 중심의 비디오 프레임을 지속적으로 확보할 수 있는 웹 기반의 이동 객체 추적방법을 제안한다. 비디오 스트림에서 두 프레임간 일정 간격의 격자점에서의 차분을 계산하고, 임계치 이상의 차분을 갖는 격자점들에 대한 수평 및 수직 투영 히스토그램을 이용하여 움직임의 방향과 거리를 결정한다. 이 방향과 거리 정보를 이용하여 RCM을 제어함으로써 이동 객체의 움직임 영역이 비디오 스트림의 중앙에 위치하도록 한다. 실험 결과, 움직임이 있는 부분이 비디오 프레임의 중앙에 위치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웹상의 서버/클라이언트 방식으로 구현함으로써 인터넷을 이용하여 원격의 클라이언트가 비디오 스트림을 모니터할 수 있었다.

  • PDF

쌍선형 워핑 및 쌍선형 보간을 이용한 성형 시스템 (A Cosmetic Surgery Simulation System using Bilinear Warping and Bilinear Interpolation)

  • 박천주;이재협;전병민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권2호
    • /
    • pp.27-35
    • /
    • 2002
  • 본 연구는 얼굴 성형을 시뮬레이션하거나 성형 상담 자료로 활용할 목적으로 한 쌍의 제어점을 이용한 쌍선형 워핑 및 쌍선형 보간에 의한 성형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우선, 주어진 영상을 대상으로 제어점을 설정하고, 이 제어점을 이용하여 워핑 영역을 결정한다. 그리고, 이 워핑 영역은 제어 점을 한 꼭지점으로 하는 4개의 부분 영역으로 나눈다. 그런 후, 4개의 부분 영역 각각에 대한 역방향 사상의 워핑 계수를 구한다. 결과 영상의 부분 영역에 있는 모든 화소 위치에 대하여 대응하는 워핑 계수를 적용하여 원 영상에서 대응되는 화소 위치를 구한다. 이 위치에 최인접하는 네 화소값을 이용하여 쌍선형 보간에 의해 결과 영상의 화소에 대한 화소값을 구한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4개의 부분 영역에 대하여 동일하게 처리함으로써 성형 효과를 얻게 된다. 실험 결과, 워핑 영역의 경계에서 끊김이 없는 자연스런 성형 효과를 얻을 수 있었다.

  • PDF

표준화된 2D CAD와 3D Digital Modeling을 이용한 옥천천주교회의 연혁 기록 (Documentation of the History of Ok-Cheon Catholic Church by standardized 2D CAD and 3D Digital Modeling)

  • 김명선;최순용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2권1호
    • /
    • pp.523-528
    • /
    • 2011
  • 옥천천주교회는 1955년 건립된 이후 4차례에 걸쳐 변형되었다. 앞의 세 차례 변화는 창호와 지붕재료의 간단한 변경이었다면, 1991년 증축이 가장 큰 규모로 일(一)자형 평면에서 장십자형 평면으로 변경되면서 규모 구조 형태에 변화가 생겼다. 현재 이러한 건물연혁은 텍스트로만 정리되어 있을 뿐 시각자료로 구축되어 있지 않다. 이 연구는 옥천천주교회의 시기별 건물 연혁을 내장한 표준화된 2D CAD 도면을 작성하고 3D Digital Modeling을 통해 건물연혁 및 현재 상태를 쉽게 판별할 수 있는 3차원 시각자료를 구축하였다. 이를 통해 등록문화재로 지정된 이 교회의 연혁이 시각자료로 통합되었다. 이 자료는 건물의 보존 및 관리에 효과적으로 이용되며 향후 변경이나 증축, 복원이나 재활용 등에도 기초로 활용될 것이다.

중완혈에서 췌장으로 이어지는 새로운 순환적 연결 (Novel circulatory connection from the acupoint Zhong Wan(CV12) to pancreas)

  • 김민수;성백경;;최천주;김민수;강대인;소광섭
    • 대한약침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13-19
    • /
    • 2008
  • 목적 : 피부의 경혈(CV12)로부터 췌장으로 액체가 흘러가는 경로가 있음을 보임. 방법 : 생쥐의 중완혈에 푸른색 염료(Alcian blue) 1% 용액을 주입하고, 2시간이 경과한 후 개복하여 내장장기의 표면들을 실체 현미경으로 관찰한다. 결과 : 췌장 위에 있으며, 췌장의 머리부분과 꼬리부분, 췌장과 위장, 췌장과 비장을 연결해주는 망막상의 지방줄(omental fat band)에 Alcian blue가 도달, 착색되었다. 결론 : 중완혈로부터 췌장을 경과하여 망막상의 지방줄에 이르는 액체 순환경로가 있다.

골결손부에서 Bioactive glass와 차폐막의 골재생 효과 (THE EFFECT OF BIOACTIVE GLASS AND A RESORBABLE MEMBRANE ON B ONE REGENERATION OF THE MANDIBULAR BONE DEFECTS IN RABBIT)

  • 유선열;박세찬;윤천주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Oral and Maxillofacial Surgeons
    • /
    • 제26권6호
    • /
    • pp.613-619
    • /
    • 2000
  •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Bioactive glass on bone regeneration in the experimental mandibular bone defects. Five rabbits, weighing about 2.0kg, were used. Three artificial bone defects, $5{\times}5{\times}5mm$ in size, were made at the inferior border of the mandible. In the experimental group 1, the bone defect was grafted with $Biogran^{(R)}$ and covered with $Bio-Gide^{(R)}$ resorbable membrane. In the experimental group 2, $Biogran^{(R)}$ was grafted only. In the control group, the bone defect was filled with blood clot and was spontaneously healed. The animals were sacrificed at 1, 2, 4, and 8 weeks after the graft. Microscopic examination was performed. Results obtained were as follows: In the control group, the osteoid tissue was observed at week 1 and the bone trabeculi were connected each other and matured at week 2. The lamellar bone formation appeared at week 4, and the amount of bone tissue was increased at week 8. In the experimental group 1, the fibrous tissue was filled between the granules of Bioactive glass and the cartilage formation was found adjacent to the normal bone at week 1. The bone tissue was formed between the granules at week 2, while the amount of bone tissue increased and the lamellar bone formation was observed at week 4. The lamellar bone was increased at week 8. Histologic findings were Similar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s 1 and 2, although the amount of Bioactive glass granules lost was increased in the latter. These results suggest that new bone formation is found around the Bioactive glass granules grafted into the bone defects, and the membrane plays a role in keeping the granules and preventing the fibrous tissue invasion.

  • PDF

압력면윙렛/흡입면스퀼러형 터빈 동익 팁누설영역에서의 3차원유동 및 압력손실 (Three-Dimensional Flow and Aerodynamic Loss in the Tip-Leakage Flow Region of a Turbine Blade with Pressure-Side Winglet and Suction-Side Squealer)

  • 천주홍;강동범;이상우
    • 대한기계학회논문집B
    • /
    • 제38권5호
    • /
    • pp.399-406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압력면윙렛/흡입면스퀼러형 터빈 동익 팁에 대하여 익렬 하류에서 3차원 유동 및 압력손실을 측정하였다. 팁간극비 h/s = 1.36%에 대하여, 흡입면스퀼러의 높이는 $h_s/s$ = 3.75%로 일정하게 유지하고, 압력면윙렛의 폭은 w/p = 2.64%, 5.28%, 7.92%, 10.55% 등으로 변화시키면서 실험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본 연구의 팁은 평면팁 대비 통로와류 영역에서 압력손실의 저감 효과가 매우 뛰어났지만, 팁누설와류 영역에서는 오히려 압력손실을 크게 증가시켰다. 본 연구의 질량평균 압력손실은 평면팁에 비해 크게 낮았지만, 전면스퀼러팁보다는 더 크게 나타났다. 압력면윙렛의 폭이 증가할수록 질량평균 압력손실은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압력면익단소익이 터빈 동익 압력면스퀼러팁 하류의 팁누설유동 및 압력손실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Pressure-Side Winglet at an Elevation of Tip Surface on the Tip-Leakage Flow and Aerodynamic Loss Downstream of a Turbine Blade Equipped with Pressure-Side Squealer Tip)

  • 천주홍;이상우
    • 대한기계학회논문집B
    • /
    • 제40권10호
    • /
    • pp.645-651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압력면익단소익의 폭이 터빈 동익 압력면스퀼러팁 하류의 팁누설유동 및 압력손실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팁간극비 h/s = 1.36%에 대하여, 흡입면스퀼러의 높이는 $h_p/s=3.75%$로 일정하게 유지하고, 압력면익단소익의 폭은 w/p = 2.64%, 5.28%, 7.92%, 10.55% 등으로 변화시키면서 실험을 수행하였다. 일반적으로 압력면익단소익의 폭이 증가할수록, 통로와류 영역에서의 압력손실은 감소하였지만 팁누설유동 영역에서는 압력손실이 오히려 증가하였다. 그 결과 익단소익의 폭이 증가할수록, 질량평균 압력손실은 매우 소폭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본 연구 결과, 압력면스퀼러팁에 설치된 압력면익단소익은 압력손실 저감에 거의 기여를 하지 못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남조세균 흔들말목(Cyanobacteria, Oscillatoriales) 해양 균주의 16S rRNA와 rpoB 유전자 변이 (Molecular Divergences of 16S rRNA and rpoB Gene in Marine Isolates of the Order Oscillatoriales (Cyanobacteria))

  • 천주용;이민아;기장서
    • 미생물학회지
    • /
    • 제48권4호
    • /
    • pp.319-324
    • /
    • 2012
  • 본 연구는 남조세균 흔들말목(Cyanobacteria, Oscillatoriales)의 16S ribosomal RNA (rRNA) 및 RNA polymerase beta subunit(rpoB) 유전자를 대상으로 염기서열 변이 및 분자계통학적 특성을 분석한 것이다. 흔들말목 rpoB 유전자는 16S rRNA보다 유전자 변이(유전거리: rpoB=0.270, 16S=0.109)가 큰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Student t-test, p<0.001). 흔들말목 16S rRNA와 rpoB의 계통분석에서 유사한 계통 분지형태를 보였으며, rpoB 유전자가 높은 해상도를 갖고 있어 흔들말목 분류군을 더 명확하게 구분하였다. 또한, parsimony 분석을 통해 rpoB 유전자가 16S rRNA 보다 2.40배 빠르게 진화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본 연구결과는 rpoB 유전자가 흔들말목의 분자계통 및 종 분류 연구에 매우 유용하다는 것을 제시해 준다.

문효세자 보양청계병의 보존과 채색 분석 (Conservation and Analysis of Pigments and Techniques for Crown Prince Munhyo Boyangcheong Folding Screen Painting)

  • 안지윤;천주현;김효지;지주연
    • 보존과학회지
    • /
    • 제29권2호
    • /
    • pp.149-159
    • /
    • 2013
  • <문효세자 보양청계병>은 정조의 첫 번째 아들 문효세자(1782-1786)가 1784년 1월, 보양청에서 주관하여 첫 스승으로 모시게 될 보양관과 처음으로 만나 인사를 나누는 의식을 기록한 조선시대 궁중행사도이다. 전체 8폭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과거에 수리된 적 없이 18세기 조선 궁중행사도병의 원형을 그대로 유지하고 있었다. 원본 장황의 조사를 통해 조선시대 병풍의 형태에 대해 살펴보고 이를 바탕으로 보존처리를 하였다. 안료분석 결과 채색 안료로 연백, 연단, 진사, 석청, 석록, 황단, 먹 등을 사용하였고, 현미경 확대 관찰한 결과 거의 대부분이 화면의 뒷면에서 배채법으로 채색한 후, 앞면에서 세부묘사 및 부분적으로 엷은 안료를 이용하여 채색하는 방법을 사용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18세기 서화유물 배접지의 특성(제1보) - 배접지의 원지 특성 및 해부학적 특성 - (Characteristics of the Lining Papers Separated from the 18th Century Paintings and Calligraphic Works (Part 1) - Physical and Morphological Properties of Lining Papers -)

  • 정희원;이상현;천주현;최태호
    • 펄프종이기술
    • /
    • 제44권3호
    • /
    • pp.22-33
    • /
    • 2012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of the lining papers which had been separated from six pieces of paintings and calligraphic works of the 18th and the 20th century. A total 20 kinds of lining papers were examined on the physical properties, colors, fiber morphology, and color reactions. The grammage and thickness of lining papers which had been used hanging-scroll type works were higher than those of folder types. On the other hand, the grammage and thickness of the first layer lining papers which had been separated from silk ground works were lower than those of paper ground works. All kinds of lining papers were colored from yellow to yellowish red because of unbleaching and deterioration. Through the examination on fiber morphology and color reactions, lining papers were verified that all of those were made from paper mulberry bast fiber but the first layer of the Mukjukdo. The lining paper which of the first layer of the Mukjukdo was verified that it was made from mixture of paper mulberry, hemp, and spruce pulp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