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천이지도

Search Result 9,990, Processing Time 0.059 seconds

인쇄해외투자 IMF이후 급증

  • Yun, Jae-Ho
    • 프린팅코리아
    • /
    • s.16
    • /
    • pp.58-59
    • /
    • 2003
  • 인쇄와 관련된 해외 투자건수가 1989년부터 한해 평균 3-4건에 불과하던 것이 지난 2001년에는 12건으로 가장 높은 투자건수를 기록했으며 2002년에는 10건, 올 상반기에는 4건으로 나타나 IMF 이후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투자금액도 IMF 이전인 1996년 383만5천달러에는 못 미치지만 예년에 비해 높아져 2001년에는 119만2천달러, 2002년에는 166만8천달러, 올 상반기에는 4건에 260만9천달러를 기록해 건수에 비해 투자금액이 증가하고 있다.

  • PDF

Assessment of Water Quality in Namdae-Stream, Yeongok-Stream and Sacheon-Stream Using Trophic Status and Epilithic Diatom Indices (부착규조지수와 영양단계 평가를 이용한 남대천, 연곡천과 사천천의 수질 평가)

  • Kim, Yong-Jin;Lee, Ok-Min
    • Korean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 /
    • v.43 no.1
    • /
    • pp.117-128
    • /
    • 2010
  • The water qualities of Namdae-stream, Yeongok-stream and Sacheon-stream were examined, by using physicochemical factors, trophic status and epilithic diatoms from May 2008 to February 2009. The physicochemical water qualities of three streams were, except for some construction areas and sites of downstream, generally good, having less concentration than BOD of $2\;mg\;L^{-1}$. As for the sites of downstream, there were ongoing pollution such as graduation of nutrients in Namdae-stream and Sacheon-stream, due to salinity of seawater and topographical feature of the closed estuary. The examination of trophic status of Namdae-stream showed mesotrophic status in all the sites. Also, eutrophication was in progress as from the upstream to the downstream of Yeongok-stream, and Sacheon-stream showed eutrophic status in all its sites. As a result of the biological water quality assessment, Namdae-stream, excluding the downstream site, came out to be $\beta\sim\alpha$-oligosaprobic, and biological water quality was good, having TDI less than 50. Some construction sites and downstream site of Namdae-stream are $\beta$-mesosaprobic, and with the TDI over 70, the biological water quality assessment came out to be polluted. Yeongok-stream is $\beta\sim\alpha$-oligosaprobic, and its biological water quality is good, having TDI less than 40. Sacheon-stream, excluding the upstream site on May 2008 and February 2009, is $\beta\sim\alpha$-mesosaprobic, and its TDI over 70 shows that it has been polluted. The correlation analysis showed a high correlation in both DAlpo and TDI. Also, biological assessment of water quality (DAIpo, TDI) showed higher correlation with TSI rather than BOD.

A Study on the Operation of the Seolma-Cheon Experimental Catchment (2005년 설마천 시험유역의 운영)

  • Kim, Dong-Phil;Jung, Sung-Won;Kim, Sung-Ho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6.05a
    • /
    • pp.683-687
    • /
    • 2006
  • 본 연구의 목적은 경기도 파주시 적성면 설마리에 위치한 설마천 시험유역을 대상으로 신뢰성 있는 수문자료를 지속적으로 수집하여 정확한 물순환 과정을 파악하는데 있다. 따라서 강우량, 수위, 유속, 유량, 수질, 부유사량, 기상 등의 기본적인 수문관측 자료를 축적하는 것이 일차적인 목적이고 최종적으로 수집된 자료를 이용하여 산지 소하천 유역의 수문특성을 규명하는데 있다. 2005년 설마천 시험유역 수문관측은 더욱 향상된 결과를 보였다. 노후화된 관측기기의 교체 및 추가 설치, 실시간 전송장비의 보완 및 운영, 각 관측소당 2기 이상의 동시 관측자료 확보 등을 통해 자료의 결측을 최소화하였고, 정확도를 개선하여 양질의 자료를 생성할 수 있었다. 관측된 우량과 수위 자료에 대해 일상적인 자료 검토 및 처리 과정을 보다 구체적으로 체계화하여 자료의 질이 향상될 수 있도록 하였다. 특히 유량측정 및 산정 방법을 국제 기준에 준하여 수행하고, 현장에서 실시간으로 측정 자료의 분석 및 검증이 가능한 유량측정용 PDA 시스템을 사용함으로써 보다 정도 높은 유량측정성과를 확보할 수 있었다. 이렇게 다각적인 방법으로 안정적인 관측 자료를 확보한 결과, 동절기를 제외한다면 전적비교와 사방교 지점에서 무결측의 유역평균우량과 유량자료를 구축할 수 있었다. 그리고, 본 연구에서는 실시간 전송장비와 설마천 시험유역 홈페이지(http://kict.datapcs.co.kr)를 통해 실시간으로 우량과 수위 자료를 인터넷과 PCS로 확인할 수 있도록 시스템을 운영하였으며, 이로 인해 언제 어디서나 설마천 시험유역의 현장상황을 신속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하여 자료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기반을 구축하여 운영 중에 있다.본 시험유역의 주요연구 내용으로는 관측시설물의 유지관리, 수문기상관측, 수문기상자료 정리 검토, 기본수문특성 분석, 수문관측방법의 비교 검토, 유량측정 정확도 제고를 위한 현장적용평가, 동절기 수위-유량자료 고찰 등을 수행하였으며, 기본 수문특성 분석 내용으로는 호우사상 현황 분석, 지속기간별 최대 강우량분석, 두 우량계간의 강우량 비교, 6개 지점간 강우량 비교, 주요 호우사상의 시 공간적 분포 특성, 연간, 월별, 주요 호우사상별 유출률 분석과 부유사량 및 수질분석 등을 수행하였으며, 이로써 산지 소하천 유역의 물순환 과정을 보다 명확히 규명하고자 노력하였다.

  • PDF

Historical Geography of Mu-Sim River and Nam-Suk Bridge in Chongju City (청주 무심천과 남석교에 관한 역사지리적 고찰)

  • Yeh, Kyong-Hee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regional geographers
    • /
    • v.9 no.4
    • /
    • pp.437-460
    • /
    • 2003
  • It is recorded that the orignal Nam-Suk Bridge is constructed at the first year of Oh-Bong(B.C. 57). But I believe that it can be back to the 19 year of Jin-Hung King(AD. 558) by discovered bibliographies. The Nam-Suk Bridge is improved and remodelled from past to the late of Zosun dynasty by the development of walled city of Chongju. By the late of Gojong Empire, the Nam-Suk Bridge has stone post and monument of Nam-Suk Bridge. Because the alternations of Mu-Sim River channel, heavy floods, extension of built, up area and Japanese unconcern, the stone post and monument of Nam-Suk Bridge is lost approximately by 1910s and Nam-Suk Bridge is completely buried by the early 1930s. The Mu-Sim Hiver has negative aspects from past to the Japanese rule but has increasingly the positive aspects after the liberation of Korea. We must reconstruct these buried cultural resources to highlight the cultural identity of Chongju City.

  • PDF

Simulation of runoff of rivers in Jeju Island using SWAT model (제주도 하천의 SWAT모형의 적용)

  • Han, Woong-Ku;Yang, Sung-Kee;Jung, Woo-Yul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8.05a
    • /
    • pp.1240-1243
    • /
    • 2008
  • 제주도는 연평균 강우량이 1,975mm에 달하는 우리나라 최대의 다우지역이며 투수성이 좋은 다공질 화산암류 및 화산회토로 이루어져 있어 총 강우량의 48.5%에 이르는 빗물이 지하로 침투하여 대부분의 하천들은 건천을 이루고 있다. 제주도의 143개 하천 중 6개의 하천을 제외한 전 하천들은 건천의 형태를 이루고 있어 지표수의 발달이 매우 빈약하다. 본 연구에서는 장기 강우-유출 모형인 SWAT(Soil and Water Assessment Tool) 모형을 적용하여 제주도 주요하천의 유출량을 산정하고자 한다. 143개 하천 중 제주도 동부유역의 천미천과 북부유역의 외도천을 연구대상유역으로 선정하여 SWAT 모형을 적용하였다. 연구 대상유역에 대한 SWAT 모형의 입력자료인 수문 기상자료(Precipitation, Solar Radiation, Wind Speed, Climate, Humidity)와 지형자료(DEM(Digital Elevation Model), Land Use, Soil Type)를 구축하였으며, 동시에 모형의 보정 및 검증을 위하여 천미천 외도천 유역의 실측 유출자료를 수집하여 정리하였다. 모델의 입력자료를 구축하고 SWAT 모형을 이용하여 천미천 외도천 유역의 유출 모의를 하였고, 유출 모의 결과를 바탕으로 하여 수문관련 매개변수들의 민감도 분석을 하였으며, 민감도 분석을 통하여 보정을 수행하였다. 보정을 수행한 결과를 바탕으로 하여 천미천 외도천의 유출모의 결과를 분석하였으며, 향후 제주도에 필요한 연구결과 활용방안에 대하여 검토한 이상의 결과들로부터 제주도 하천에 대하여 SWAT모형을 적용한 결과 장기 일 유출량 모의에 대하여 전체적으로 우수한 결과를 보이고 있다. 향후 많은 보다 많은 유출량 자료를 확보하여 본 연구의 결과와 비교 검정하여 SWAT 모형을 구축한다면 제주도 하천의 장기 일 유출량 모의를 할 수 있을 것이라 판단된다.

  • PDF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of Multiply Cascaded Phase-shifted Long-period Fiber Gratings and their Dependence on Initial Coupling Strength (직렬 연결 위상 천이 장주기 격자의 특성과 초기 커플링 세기 효과에 관한 연구)

  • Kim, Min-Sung;Han, Young-Geun
    • Korean Journal of Optics and Photonics
    • /
    • v.17 no.1
    • /
    • pp.18-22
    • /
    • 2006
  • The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of multiply cascaded phase-shifted long-period fiber gratings(LPFGs) were investigated theo-retically and experimentally. Their passband can be changed by increasing the number of p-shifted LPFGs. When two p-shifted LPFGs with different grating lengths are cascaded in series, the bandwidth of the rejection band and passband can be controlled by the pristine characteristics of two gratings. We also investigate the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of phase-shifted LPFG by exposing the half of LPFG region to UV laser. The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strongly depend on the initial coupling strength of the LPFG.

A Study on Hydrologic and Geographic-Characteristics and Design-Width-Determination of Small Rivers in Korea (우리나라 소하천의 수문지형학적 특성 및 계획하폭 결정에 관한 연구)

  • Lee, Dong Ryul;Lee, Joo Heon;Choi, Sung Uk;Jeong, Sang Man
    • KSCE Journal of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Research
    • /
    • v.11 no.3
    • /
    • pp.67-73
    • /
    • 1991
  • To define a small river in Korea. hydrologic- and geographic-characteristics. such as watershed area, channel slope, channel length and time of concentration are investigated and their limits are presented. The current equations of design-width-determination of the small rivers are examined and two equations for the design-width-determination of the small rivers have been suggested in this paper. A small river in Korea can be defined that watershed area is less than $10km^2$, channel length less than 6 km, channel slope over 0.02. time of concentration less than 30 minutes. As Band Q are defined as a design width and a design flood, respectively, the suggested equation to determine the design width is $B=1.235Q^{064}$ for less than $300m^3/sec$ of design flood. and when B and A are defined as a design width and a watershed area, respectively. the recommended equation is $B=8.794A^{0.56}$ for less than $10km^2$ of watershed area.

  • PDF

The Hydrological Survey of the Seolmacheon Catchment during 2011 year (2011년 설마천 유역의 수문조사)

  • Kim, Dong-Phil;Lee, Nam-Hu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2.05a
    • /
    • pp.678-682
    • /
    • 2012
  • 본 연구는 한국건설기술연구원의 주요사업인 "산지하천 유역의 홍수예측을 위한 수문조사(2011~2015년)"의 Test-bed 유역중의 하나인 설마천 유역(경기도 파주시 적성면)을 운영하면서 신뢰성 있는 수문자료를 지속적으로 획득함과 동시에 산지하천 유역의 홍수량 예측과 재해방지 설계기법을 개선하고 수문정보를 제공하는데 있다(Test-bed 유역중의 또 하나인 차탄천 유역은 2011년 수문관측 기반구축 완성). 이를 위하여 2011년에도 지속적인 수문조사를 하였으며, 수문자료의 품질 향상을 위한 관측기기의 유지관리와 수집된 자료의 처리절차를 통하여 신뢰성 있는 수문자료를 생성하고, 이들 자료를 바탕으로 유역의 수문특성을 분석하였다. 또한 홍수량 예측과 재해방지 설계기법 개선을 위해서는 관련 기술조사, 평가와 취약 설계인자를 도출하였으며, 정량화를 위한 시험 및 조사방법을 결정하는 과정을 진행하고 있다. 설마천-차탄천 수문정보시스템(http://seolmacheon.kict.re.kr)은 Test-bed 유역(설마천 유역 이외에 차탄천 유역 포함)에서 생성되는 수문자료를 수집, 저장, 공유하는 기능을 포함하고, 홍수예측 모형(집중형 모형)과 강우레이더 자료(RDAPS 자료)를 결합한 산지하천의 홍수예측을 모의할 수 있는 기능을 추가하였으며, 향후 모의의 정도를 개선하고자 다른 모형과 다른 강우레이더 자료 도입을 목표로 진행할 예정이다. 그리고 Test-bed 유역을 기반으로 한 홍수량 예측 모형의 적용성 평가를 통해 중 소규모 산지하천 유역에 적합한 실시간 홍수예보 시스템 개발과 유역 수문조사 지침서 작성을 통해 가이드를 제시하고자 한다. 2011년 설마천 유역에서 생성된 자료로는 6개 우량관측소의 우량자료, 2개 수위관측소의 하천수위 및 지하수위, 유량측정성과 등이 있으며, 이로부터 산정된 유역평균우량과 유량자료 등이 있다. 확정된 강우-유출자료를 이용하여 강우의 호우사상 분석(강우강도, 지속기간), 강우의 지속기간별 최대강우량, 강우의 시 공간 분포 특성 분석, 월별 유출 및 주요 호우사상의 유출특성 분석 등 기본적인 강우-유출 특성을 분석하였다. 그리고, 유량측정성과의 불확실도 분석을 통하여 측정한 유량자료의 정확도를 제고하였다. 설마천 유역에서 축적된 수문자료는 자료의 공유를 통하여 자료의 검증을 확보함과 동시에 연구성과가 수자원 개발 분야에 활용되기 위해서는 지속적이고 안정적인 자료확보와 수문관측 기술개발을 위한 노력과 투자가 더욱더 필요한 상황이다.

  • PDF

Analysis of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of Flowrate and Water Quality in Tributary at Chungcheongnam-do (충청남도 지류하천의 유량 및 수질 분포특성 분석)

  • Park, Sang-Hyun;Moon, Eun-Ho;Choi, Jeong-Ho;Cho, Byung-Wook;Kim, Hong-Su;Jeong, Woo-Hyeok;Yi, Sang-Jin;Kim, Young-Il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al Engineers
    • /
    • v.33 no.10
    • /
    • pp.739-747
    • /
    • 2011
  • The major 81 tributaries in Chungcheongnam-do were monitored for flowrate and water quality in order to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watershed and to select the tributary catchment for improving water quality. The value of flowrate in the tributaries at Nonsancheon catchment at the Geum-River watershed and Gokgyocheon, Muhancheon, Sapgyocheon at the Sapgyo-Reservoir watershed, which is located in the southern and northern area in Chungcheongnam-do, was relatively greater than the other watersheds. The concentration of water pollutants regardless of water quality parameters in Nonsancheon catchment at the Geum-River watershed, Gokgyocheon catchment at the Sapgyo-Reservoir watershed and the Anseongcheon watershed, which have a dense source of pollution, were higher than the other watersheds. However, 64 percent of the tributaries at the Geum-River watershed, 45 percent of tributaries at the Sapgyo-Reservoir watershed, 26 percent of tributaries at the Geum-River watershed all satisfied the Class II regulations in the Framework Act on Environment Policy, but all of the tributaries located in the Anseongcheon watershed exceeded the Class II regulations. Therefore, the policy for improving the water quality of the tributary in Chungcheongnam-do should be established in the following order: Anseongcheon, Seohae, Sapgyo-Reservoir watersheds. Consequently, the tributary catchment for improving water quality, which has a large flowrate and a high concentration of water pollutants, was selected at Ganggyeongcheon, Geumcheon, Nonsancheon, Seokseongcheon, Seungcheoncheon, Jeongancheon, Jeungsancheon (so far Geum-River watershed), Gokgyocheon, Namwoncheon, Maegokcheon, Muhancheon, Sapgyocheon Oncheoncheon, Cheonancheon (so far Sapgyo-Reservoir watershed), Gwangcheoncheon, Dangjincheon, Daecheoncheon, Dodangcheon, Waryongcheon, Cheongjicheon, Pangyocheon, Heungincheon (so far Seohae watershed), Dunpocheon, Seonghwancheon, Ipjangcheon (so far Anseongcheon watershed). The plans as installation of environmental facilities to reduce the source of pollution for improving the water quality of these tributary catchments should be urgently established and implemen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