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천문학 교육과정

Search Result 51, Processing Time 0.021 seconds

Development and Fabrication of Astronomical Exhibitions

  • Baek, Chang Hyun;Kim, Cheolhee
    • The Bulletin of The Korean Astronomical Society
    • /
    • v.46 no.2
    • /
    • pp.55.2-55.2
    • /
    • 2021
  • 2020년 한국천문연구원 보현산천문대의 태양망원경이 국립중앙과학관으로 이전·설치되었다. 태양망원경 이전과 함께 신규로 건립된 국립중앙과학관의 천체관측소 운영을 활성화 하고 전시 및 교육 기능을 강화하기 위한 천문학 전시 콘텐츠를 개발하고 전시품을 제작하였다. 본 발표에서는 태양망원경 이전과정, 개발 중인 전시 콘텐츠와 제작된 전시품 등을 소개하고 앞으로 전국 지역 천문교육시설에서도 활용할 수 있는 천문학 전시 콘텐츠와 소규모 전시품 등을 제안해 보고자 한다.

  • PDF

Investigation of Astronomer's Perception of the Achievement Standard for Mandatory Experiments in 2015 Revised National Educational Curriculum (2015 개정 교육과정 내 천문영역 필수 탐구 실험 성취기준에 대한 천문학자의 인식 조사)

  • Kim, Milim;Sohn, Jungjoo
    • The Bulletin of The Korean Astronomical Society
    • /
    • v.44 no.2
    • /
    • pp.67.3-67.3
    • /
    • 2019
  • 이 연구는 2015 개정 교육과정 내 천문영역 필수 탐구 실험 성취기준에 대한 천문학자를 대상으로 인식 조사를 수행함으로써 천문학자들의 의견을 모아 차후 교육과정 내 천문분야의 개선 방향을 찾고자 한다.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 강조하는 핵심역량이 성취 기준상에 드러날 수 있도록 천문영역 학년 군별 필수 탐구에 제시된 역량과 보완점에 대한 천문학자들의 의견을 조사한다. 연구 결과를 통해 학년 군에 적절한 핵심 역량에 해당하는 필수 탐구 실험을 재배치해보고 차후 교육과정 내 천문분야의 성취기준 개선 방향에 대해 제안해보고자 한다.

  • PDF

Developing Experimental Method of Real-time Data Transfer and Imaging using Astronomical Observations for Scientific Inquiry Activities (과학탐구활동을 위한 천문 관측 자료의 실시간 전송 및 영상 구현 실험 방법 개발)

  • Kim, Soon-Wook
    •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 /
    • v.33 no.2
    • /
    • pp.183-199
    • /
    • 2012
  • Previous Earth Science textbooks have mostly lacked the latest astronomical phenomena frequently being reported in mass media such as popular science magazines. One of the main directions in the revision of the 2009 National Curriculum of Korea is to actively include those phenomena. Furthermore, despite a close link between astronomy and physics, the concept of modern physics has not been actively introduced in Earth Science textbooks and at the same time the linkage of physics to astronomy has rarely been studies in physics textbooks. Therefore, the concept of integration among different fields in science is emphasized in the new National Curriculum. Transient phenomena in the high energy astrophysical objects are examples that reflect such issu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troduce transferring a real-time data and making imaging of astronomical observations using e-Science. As a first step, we performed the first experiment for a large data transfer of astronomical observation between Korea and Japan using KOREN, a National Research and Education Test Network. We introduce actively on-going fields of e-Science in observational activities of astronomy and astrophysics, and their close interrelationship with scientific inquiry activities and public outreach activities. We discuss our experiment in the scientific and educational aspects to the primitive e-Science activity in the Korean astronomical society and, in turn, provide a prospective view for its application to the scientific inquiry activities and public outreach activities in the upcoming commercial Gbps-level internet environments.

김해천문대 운영 사례를 통한 우리나라 시민천문대 운영방향

  • Lee, Sang-Hyeon
    • The Bulletin of The Korean Astronomical Society
    • /
    • v.36 no.1
    • /
    • pp.77.1-77.1
    • /
    • 2011
  • 김해천문대는 2002년에 개관하여 대전, 영월을 이어 세 번째로 건립된 초기 시민천문대이다. 당시 지방자치단체에서 지방과학관 사업으로 국비를 받아 건립하였다. 초기에 개관한 시민천문대에 대한 국민들의 뜨거운 호응에 힘입어 이후 지방과학관 사업에서 대부분 시민천문대 형태로 건립되었는데, 현재 약 20개 정도의 지방자치단체에서 시민천문대를 건립하였다. 현재 도서관, 수련원, 교육과학연구원 등 기존의 교육 기관에 딸린 부설 천문대를 포함하면 청소년, 시민들이 이용할 수 있는 성격의 천문대는 전국적으로 약 80개에 이른다. 이러한 시민천문대의 등장은 국민들의 천문에 대한 관심을 높여 우리나라의 천문학 발전에 밑거름이 될 수 있기 때문에 매우 중요하다. 따라서 시민천문대에 대한 학계, 교육계의 관심과 협조가 향후 천문학 발전에 중요한 밑거름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시민천문대의 운영은 일반적인 과학관과는 달리 천체를 보여주는 등, 관측 활동을 중심으로 진행하기 때문에 창의적인 다양한 방법의 운영을 시도하는 것이 무엇보다도 중요하다. 특히 김해천문대의 경우 초기의 관람중심을 탈피하여 교육프로그램 중심의 운영함으로서, 소행성 탐사, 자체 기술개발 등 연구 활동이 가능할 정도로 발전하였다. 본 발표에서는 김해천문대에서 지난 9년간 진행된 다양한 사업과 프로그램을 소개하고 김해천문대 운영의 운영 변화 과정과 그 결과를 통해 향후 시민천문대의 운영 방향을 말하고자 한다.

  • PDF

돔영상물의 교육적 활용을 위한 매뉴얼 개발

  • Baek, Chang-Hyeon;Park, Sun-Chang;Lee, Gang-Hwan
    • The Bulletin of The Korean Astronomical Society
    • /
    • v.37 no.1
    • /
    • pp.53.2-53.2
    • /
    • 2012
  • 디지털 천체투영기의 보급은 천체투영관의 운영과 교육적 활용 방법에 변화를 가져왔다. 돔영상물 상영이 가능한 디지털 천체투영기를 도입한 천체투영관들의 교육적 활용을 높이기 위해서는 영상물을 활용한 교육 콘텐츠 개발이 선행되어야 하다. 이번 연구에서는 1)AMNH(American Museum of Natural History)에서 사용되고 있는 돔영상물의 교육자 매뉴얼들을 사례조사 하였고, 2)사례조사 결과와 2007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을 고려하여 돔영상물 Planets(Astronef Production제작, 2010)의 교육자 매뉴얼을 개발 하였다. 개발된 Planets 교육자 매뉴얼의 활용은 개관 예정인 국립대구과학관과 국립광주과학관 천체투영관의 운영 활성화와 교육활동을 극대화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국내에서 수행중인 천문학 프로젝트(KVN, GMT, KMTNet, SKA 등)들의 교육자 매뉴얼 제작에 참고자료로 활용되길 기대한다.

  • PDF

천체투영관을 활용한 천문교육 프로그램 개발

  • Baek, Chang-Hyeon;Lee, Gang-Hwan;Lee, Dong-Ju
    • The Bulletin of The Korean Astronomical Society
    • /
    • v.35 no.1
    • /
    • pp.85.1-85.1
    • /
    • 2010
  • 2010년 현재 국내에는 약 30여 개의 천체투영관(Planetarium)이 운영 중에 있으며 매년 2-3개의 천체투영관이 건설 되고 있다. 국내 다수의 천체교육시설은 천문학전공자가 아닌 비전문가들의 건설기획 운영으로 천체투영관의 근본적 역할과 기능을 다하고 있지 못한 실정이다. 천체투영관의 긍정적 운영과 교육적 활용을 높이기 위하여 1)현재 운영 중인 천체투영관의 운영실무자들에게 설문지를 배포하여 각 천체투영관 시설 현황과 운영 교육 프로그램을 조사하고, 2)설문조사 결과와 학년별 과학과 교육과정을 분석하여 천체투영관을 활용한 천문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려 한다. 본 발표에서는 설문조사 결과와 교육프로그램 개발 계획에 대해 이야기 하고자 한다. 향후 개발된 교육프로그램은 국립과천과학관에서 시범운영하고 설문결과를 얻어 발표할 예정이다.

  • PDF

국립고흥청소년우주체험센터의 우주체험시설을 이용한 교육현황 및 계획

  • Gwon, Sun-Gil;Gwon, Hyeok-Do;Lee, Yong-Jeong;Hong, Seung-Su
    • The Bulletin of The Korean Astronomical Society
    • /
    • v.35 no.2
    • /
    • pp.87.1-87.1
    • /
    • 2010
  • 국립고흥청소년우주체험센터는, 우리나라 청소년들에게 우주에서 벌어지는 제반 현상과 천체의 실상을 접하게 하고 또 그 현상과 천체 이면에 자리한 기본 원리를 체험과 실험을 통하여 스스로 터득하게 함으로써 저들을 우주시대를 이끌어갈 창조적 인재로 양성함을 목적으로, 2010년 7월 9일에 개원한 특성화 체험 국립 시설입니다. 우리나라 청소년들이 센터에 설치된 주요 우주체험장비 7종을 활용하여 우주왕복선과 우주정거장에서의 임무수행을 경험하며, 우주왕복선 지상통제센터 요원의 역할 및 우주선이나 항공기의 직접 조종도 체험 할수 있다. 또한 달의 저중력 상황을 체험해 볼 수 있다. 지름 15미터의 천체투영관이 12월 말에 완공될 예정이다. 하늘전망대에는 구경 14인치 광학망원경과 다수의 중소형 망원경들이 설치된다. 또한 우주인 기초체력단련훈련을 할 수 있는 야외 활동 공간을 확보하고 있다. 센터의 우주체험시설과 천문학 관련 시설들은 앞으로 청소년의 우주에 대한 관심을 유발하고 국민들의 과학에 대한 이해를 돕는데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현재 4개의 과정으로 우주체험캠프 프로그램을 구성하여 운영하고 있다. 또한, 2009년 개정 지구과학 교육과정과 연계한 우주체험프로그램을 개발 중이다. 여기서는 본 센터의 우주체험시설물 소개와 이들을 활용한 체험활동과 교육 현황 및 계획을 소개하고자 한다.

  • PDF

STEAM Training Program for Constellation Space Composition Using Laser Cutter and LED Light Source

  • Heo, Min;Yoo, Geoyung Han;Kim, Yonggi;KIM, HyoungBum
    • The Bulletin of The Korean Astronomical Society
    • /
    • v.46 no.2
    • /
    • pp.54.2-54.2
    • /
    • 2021
  • 지구과학 분야에서 가장 어렵게 느껴지는 내용인 천문분야는 다른 과학 분야와 달리 탐구 대상이 천체들이 먼거리에 있고, 쉽게 관측하기 어려우며, 실험실에서 동일실험과 반복 실험이 불가능하여, 추상적이고 직접 관측하기 어려운 개념에 관한 연구들이 많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레이저 커팅기를 사용해 지구과학교과 중 별자리를 구성하는 별들의 상대적 거리를 수학적으로 계산하는 과정과 고등학교 물리교과 중 LED 광원의 원리를 알고 LED 모듈을 제작하여 최종적으로 아름답고 과학적으로 가치가 있는 입체 별자리 교구를 제작하는 형태의 STEAM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시범학교 적용을 하였다. 이에 지능정보화 사회에 발맞춰 천문학 지식을 창의 교육의 형태로 교육하는 새로운 교육법을 실현한 연구결과들을 발표하고자 한다. 또한 개발한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검증하기 위해 STEAM 관련 태도 검사와 논리적 사고력 검사 및 만족도 검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개발된 프로그램이 STEAM 태도 검사와 논리적 사고력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천문수업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은 긍정적이었다. 따라서 후속 연구에서는 다양한 학년 및 위계에 맞는 프로그램의 개발과 다양한 지역 등의 현장 적용을 통한 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Comparison of the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Understandings of the Basic Concepts of Astronomy and Their Attitudes Toward Astronomy between Korea and Japan (한일 초등 예비교사들의 천문학 기초개념 이해와 천문학에 대한 태도)

  • Lee, Myon-U;Jang, Eun-Suk
    •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 /
    • v.28 no.7
    • /
    • pp.789-802
    • /
    • 2007
  • This study investigated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understanding of the basic concepts of and their attitudes toward astronomy in Korea and Japan. The survey instrument called the Astronomy Diagnostic lest (ADT) that was developed by the Collaboration for Astronomy Education Research (CAER) in 1998 was used and modified to tailor to the two countries' contexts, including 12 items written in the two languages, Korean and Japanese. The attitudes toward astronomy were examined by the Survey of Attitudes toward Astronomy (SATA), which was developed by Zeilik et al. in 1999. Cronbach's alpha of this sample of the study was 0.69, while the reliability of SATA was 0.87. All the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in both Korea and Japan showed a low-level understanding of the basic concepts of astronomy. 38% of Korean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had correct answers to the questions regarding the basic conceptions of astronomy, while 37% of Japanese participants had correct answers to them. Although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Korean and Japanese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Korean teachers scored higher than Japanese participants in SATA. A significant difference, however, was revealed in the categories of cognitive competence and value of the attitudes toward astronomy (p <.05).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both Korean and Japanese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scored less than 40% about the basic concepts of astronomy and that they obtained lower scores than the US college students with regard to the attitudes toward astronomy.

Comparative Study of Earth Science Curriculum and Textbooks of Secondary School of South Korea and North Korea (남북한 중등학교 지구과학 교육과정 및 교과서 비교 연구)

  • Lee, Yang-Rak
    •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 /
    • v.21 no.1
    • /
    • pp.1-12
    • /
    • 2000
  • The earth science curriculum and textbooks of the secondary school in South Korea and North Korea were analysed comparatively with the modified TIMSS curriculum frameworks. In the secondary school of North Korea, earth science is not provided with separate subject, but partly taught in geography. Geography is taught by two hour per week in the first to fifth grade of secondary school. Especially the first and the fifth grade geography are deeply related to earth science. The major aim of earth science education in South Korea is to develop creative problem solver having with interest and curiosity in searching natural phenomena and with basic science concepts and inquiry process skills. But on the other hand the aim of geography education of North Korea is to cultivate communist revolutionists who are faithful to IL-Sung Kim and Jung-IL Kim. In both Koreas the category of 'earth feature' and 'earth process' are dealt a lot, but 'earth in the universe' is rarely taught in North Korea, which suggests that separate subject of astronomy is instructed in the North. Generally the scope and sequence of earth science of North Korea comes under those of middle school of South Korea. Especially discrepancy in level of meteorology and astronomy area between North and South Korea is great.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