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천문학 교육과정

Search Result 51, Processing Time 0.026 seconds

Astronomy Education in The 2015 Revised National Curriculum (2015 개정 교과 교육과정에서의 천문학 교육)

  • Sohn, Jungjoo;Jo, Hoon;Jo, Hoon
    • The Bulletin of The Korean Astronomical Society
    • /
    • v.41 no.2
    • /
    • pp.46.1-46.1
    • /
    • 2016
  • 2015 개정 교육과정은 초,중,고등학교 학생들의 기초소양교육을 강화하고 핵심개념과 원리를 중심으로 학습내용을 적정화하고 학생 중심의 교실 수업으로의 개선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2015 개정 교육과정을 바탕으로 한 교과서가 집필되고 있는 중에 있으며 개발되는 교과서는 2018년부터 교육 현장에서 적용된다.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나타난 지구과학 과목 내 천문학 영역의 성취기준을 기존 교육과정과 비교해보고 새 교육과정의 핵심 역량을 살펴 교육 현장에서의 효과적인 천문학 교육에 대해 토의하고자 한다.

  • PDF

A Comparative Analysis of Keywords in Astronomical Journals and Concepts in Secondary School Astronomy Curriculum (최근 천문학 연구 키워드와 천체 분야 교육과정 내용 요소 비교 분석)

  • Shin, Hyeonjeong;Kwon, Woojin;Ga, Seok-Hyun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 /
    • v.42 no.2
    • /
    • pp.289-309
    • /
    • 2022
  • In recent years, astronomy has been snowballing: including Higgs particle discovery, black hole imaging, extraterrestrial exploration, and deep space observation. Students are also largely interested in astronom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iscover what needs to be improved in the current astronomy curriculum in light of recent scientists' researches and discoveries. We collected keywords from all papers published from 2011 to 2020 in four selected journals-ApJ, ApJL, A&A, and MNRAS- by R package to examine research trends. The curriculum contents were extracted by synthesizing the in-service teachers' coding results in the 2015 revised curriculum document of six subjects (Science, Integrated Science, Earth Science I, Earth Science II, Physics II, Convergence Science).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keywords that appear steadily in astronomy are 'galaxies: formation, galaxy: active, star: formation, accretion, method: numerical.' Second, astronomy curriculum includes all areas except the 'High Energy Astrophysical Phenomena' area within the common science curriculum learned by all students. Third, it is necessary to review the placement of content elements by subject and grade and to consider introducing new concepts based on astronomy research keywords. This is an exploratory study to compare curriculum and the field of scientific research that forms the basis of the subject. We expect to provide implications for a future revision of the astronomy curriculum as a primary ground investigation.

Development and Introduction of Virtual Reality Astronomy Education Program Development (가상현실 천문학 교육프로그램 개발 및 소개)

  • Ha, Sanghyun;Sohn, Jungjoo;Park, Soonchang
    • The Bulletin of The Korean Astronomical Society
    • /
    • v.46 no.2
    • /
    • pp.54.3-55
    • /
    • 2021
  • 지난 연구에서는 국립과학관 천체투영관 등에서 사용하는 천체시뮬레이션 소프트웨어를 활용하여 스크립트 제작 및 360° VR 영상 제작기술을 개발하였고, 비대면 환경에서도 개인휴대기기 등을 통한 몰입도 높은 천문학 교육을 구현할 수 있도록 연구를 진행하였다. 계속되는 연구로 천체시뮬레이션을 활용한 교육프로그램의 장점을 잘 나타낼 수 있는 주제들 중 2015 교육과정 중학교 3학년에서 다루는 '우주 탐사 성과와 의의'를 주제로 파일럿 프로그램을 개발 중이며 그 과정을 소개하고자 한다. 개발하는 프로그램은 과학관 천체투영관에 적용하여 실무자의 활용을 지원할 계획이며 다양한 교육콘텐츠 개발에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 PDF

A study on the effectiveness of STEAM education program applying 3D-modeling at astronomy Units

  • Kim, Sang-Geol;Kim, Hyoungbum;Kim, Yonggi;Choi, Hongsoon
    • The Bulletin of The Korean Astronomical Society
    • /
    • v.46 no.2
    • /
    • pp.54.1-54.1
    • /
    • 2021
  • 천문학은 시간적·공간적 규모가 크기 때문에 학습자의 수준에 따라 공감과 이해의 정도에 차이가 크다. 2015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에 따르면 초등학교 5학년부터 태양계에 대한 내용을 다루고 있다. 하지만 이를 설명하기 위한 교과서의 사진과 동영상 자료는 태양계를 명확하게 전달하기 어렵다. 이에 대한 대안으로 3D Modeling을 통한 체험 교육을 제안한다. 천문학 교과에서 3D Modeling의 적용은 학생들의 흥미, 태도의 향상 등 교육적 효과의 상승으로 이어진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3D Modeling의 도구 중 3D 프린터와 레이저 절단기를 이용해 융합교육(STEAM)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학생들에게 적용하여 창의적 문제해결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한다. 초등학교 교육과정에 제시된 태양계 관련 학습자료를 분석하였고, 융합교육(STEAM)에서 제안하는 상황제시, 창의적 설계, 감성적 체험의 교육단계 중 '창의적 설계' 단계에 3D 프린터와 레이저 절단기를 통해 개발한 kit를 이용하여 융합교육(STEAM) 프로그램에 적용하였다. 개발된 프로그램을 형식 교육의 장에 적용하여 개발된 평가지표를 토대로 사전·사후 평가를 실시한다. 향후 3D Modeling을 초등학교 교육과정뿐만 아니라 중·고등학교 교육과정 또한 분석하여 적용한다면, 천문대중화를 위해 큰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PDF

KMTNet 프로젝트의 교육적 활용

  • Baek, Chang-Hyeon;Park, Byeong-Gon;Kim, Seung-Ri;Lee, Chung-Uk;Lee, Jae-U;Lee, Dong-Ju;Lee, Gang-Hwan;Park, Sun-Chang
    • The Bulletin of The Korean Astronomical Society
    • /
    • v.37 no.2
    • /
    • pp.94.2-94.2
    • /
    • 2012
  • NASA는 지난 15년간 주요 과학미션 비용의 약 1%를 교육과 public outreach에 투자했으며 NSF 천문학분야 연구비의 약 6% 이상이 교육과 특별활동에 사용되고 있다는 보고가 있다. 국내 천문학 연구 프로젝트에서도 교육 및 public outreach에 대한 예산 할당과 프로젝트의 교육적 활용 및 대국민 홍보 활동을 위한 구체적인 연구가 필요한 상황이다. 이번 연구에서는 국내 천문학 연구 프로젝트의 교육적 활용을 위하여 1)NASA의 과학미션과 관련된 교육자 가이드들을 사례조사 하였고, 2)사례조사 결과와 2007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을 고려하여 KMTNet 프로젝트의 교육자 가이드를 e-book 형태로 개발 하였다. 이번 발표에서는 개발된 교육자 가이드의 배포 및 활용 방안과 국내에서 수행중인 천문학 프로젝트(KVN, GMT, SKA, ALMA 등)들의 교육자 가이드 제작을 위한 사업방안을 소개하고 산업체, 학교, 연구기관에 종사하는 분야별 전문가들로 부터 다양한 의견을 청취하고자 한다.

  • PDF

Vertual Reality Astronomy Education Using Planetarium Software (천체시뮬레이션 소프트웨어를 활용한 가상현실 천문학 교육)

  • Ha, Sanghyun;Sohn, Jungjoo;Park, Soonchang
    • The Bulletin of The Korean Astronomical Society
    • /
    • v.46 no.1
    • /
    • pp.40.2-40.2
    • /
    • 2021
  • 최근 COVID-19의 확산에 따라 비대면 학습의 중요성이 화두로 오르고 있다. 과학관과 같은 다중이용시설을 이용하는 방법에서 각 학교, 또는 가정에서 지도할 수 있는 교육 방법의 변화 또한 논의해야 할 때이다. 특히 천문학 교육의 장으로 활용되고 있는 천체투영관(Planetarium)은 다중이용시설로, 상황에 따라 여러 가지 제약을 가지므로 시·공간 제약을 받지 않는 교육프로그램의 개발이 필요하고 볼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천체시뮬레이션 소프트웨어를 활용한 스크립트 제작 및 360° VR 영상 제작기술을 개발하고 온라인 플랫폼을 활용하여 천체투영관을 방문하지 않은 비대면 환경에서 도 참가자개인의 휴대기기등을 통한 몰입도 높은 천문학 교육을 구현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새로운 환경에 대한 적용 기회를 제공하고자 한다. 나아가 개발한 프로그램을 천체투영관에 적용하여 천체투영관 활용 천문학 교육프로그램과 교육과정과 연계한 교육콘텐츠 개발에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 PDF

Teacher Training Program Improvement Study of Korea Astronomy and Space Science Institute

  • Jo, Hoon;Lee, Yonggyu;Sohn, Jungjoo
    • The Bulletin of The Korean Astronomical Society
    • /
    • v.44 no.2
    • /
    • pp.67.2-67.2
    • /
    • 2019
  • 이 연구는 한국천문연구원에서 진행한 2019 하계 교원천문연수의 초급·중급과정 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 조사 및 개선방안을 찾는데 목적을 두었다. 교육청에서 인정한 직무연수프로그램인 2019 하계 교원천문연수는 현대 천문학의 동향과 지식을 일선 학교에 전달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이 연수는 초등교원을 주대상으로 한 초급과정은 2019년 8월 5일부터 7일까지, 중등교원을 주대상으로한 중급과정은 8월 7일부터 9일까지의 일정을 두고 실시되었다. 본 연구는 각각의 교육 과정이 교원 직무연수프로그램의 교육 목표를 충분히 따르고 있는지를 알아보자 사전, 사후조사 설문지를 개발하여 초급과정과 중급과정에서 각각 30여명, 20여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이때 사전조사 설문지는 기본 인적정보, 연수 참여 동기, 천문 관측 활동 경험 여부에 관한 것으로 10문항이, 사후조사 설문지는 교수 학습 프로그램의 내용면에서 지적 및 정의적 만족도, 진로지도 유용성, 향후 수업 활용성, 개선사항에 관한 것으로 20문항이 개발되었다. 설문조사 결과가 도출 된다면, 본 직무연수프로그램이 내용적인 면에서 교사들의 천문학에 대한 지적·정의적 향상 및 향후 일선 학교에서의 프로그램 보급 활용성을 높이기 위해 어떻게 수정·보완해야할지 개선점을 제시해 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Astronomy Education in Planetarium

  • Baek, Chang Hyun
    • The Bulletin of The Korean Astronomical Society
    • /
    • v.41 no.2
    • /
    • pp.45.4-46
    • /
    • 2016
  • 천체투영관은 과학관이나 천문교육 시설에서 관람객이나 피교육자가 많이 찾는 인기 시설 중 하나이며 연간 200만 명이 방문하는 비형식학습의 준비된 장소이다. 현재 국내에 운영되고 있는 약 80여개의 천체투영관들은 대부분 별자리 해설과 돔영상물 상영, 과학콘서트, 천체관음악회, 전문가 강연 등의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이제 국내에서도 설계된 비형식 학습 환경을 갖춘 천체투영관을 천문학 교육에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학교교육과 연계된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운영하는 방안이 연구되어야 한다. 해외 과학관에서 운영되고 있는 비형식 과학교육과 학교 과학교육의 연계 프로그램의 사례 등을 조사하고 국내 천체투영관에서 활용할 수 있는 천문학 교육 연계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것이 시급하다. 이번 발표에서는 개편된 교육과정이 반영된 연계 프로그램에 대해 소개하고 천체투영관을 천문학 교육에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해 관계자들의 의견을 듣고자 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