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천문우주

Search Result 707, Processing Time 0.027 seconds

우주의 진화

  • Pecker, J.C.
    • The Bulletin of The Korean Astronomical Society
    • /
    • v.4
    • /
    • pp.18-18
    • /
    • 1979
  • PDF

한반도 상공 통과 인공위성에 대한 우주 감시 네트워크 시뮬레이션

  • 임홍서;문홍규;한원용;변용익;박선엽;박필호;임형철;안영숙
    • Bulletin of the Korean Space Science Society
    • /
    • 2004.04a
    • /
    • pp.64-64
    • /
    • 2004
  • 국가지정연구실 사업인 “인공위성 및 지구접근천체 감시연구(NEOPAT)”에서는 한국천문 연구원에서 개발한 인공위성 궤도 예보 프로그램인 KODAS(KAO Orbit Determination & Data Analysis System)를 이용하여 한반도 상공을 통과하는 인공위성에 대한 우주 감시네트워크에 대한 시뮬레이션 연구를 실시하였다. 인공위성의 궤도 정보는 미국 NORAD에서 발표하는 TLE(Two Line Elements)의 1007개 위성 자료를 이용하였다. (중략)

  • PDF

적외선 우주배경복사 관측실험 II

  • Lee, Dae-Hui
    • Bulletin of the Korean Space Science Society
    • /
    • 2009.10a
    • /
    • pp.25.1-25.1
    • /
    • 2009
  • 적외선 우주배경복사 관측실험 (Cosmic Infrared Background ExpeRiment, CIBER) II는 2009년 2월 25일 화이트샌드 미사일 기지에서 NASA 사운딩 로켓에 탑재, 발사된 CIBER I의 후속 프로젝트이다. 독립적인 Imager 2 대와 Spectrometer 2 대로 구성된 CIBER I과 달리 CIBER II는 하나의 주경과 부경으로 구성된 광학계를 4 대의 Imager가 beam splitter를 이용하여 관측하게 구성되어 있다. CIBER II는 NASA에서 공식적으로 승인되었으며, 한국천문연구원과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이 미국 NASA/JPL, Caltech 및 일본 ISAS와 국제 공동으로 개발할 계획이다.

  • PDF

"우주물체 전자광학 감시체계 기술개발" 소개

  • Park, Jang-Hyeon;Choe, Yeong-Jun;Jo, Jung-Hyeon;Im, Hong-Seo;Mun, Hong-Gyu;Park, Jong-Uk;Choe, Jin;Kim, Jae-Hyeok;Jo, Gi-In
    • The Bulletin of The Korean Astronomical Society
    • /
    • v.36 no.2
    • /
    • pp.130.1-130.1
    • /
    • 2011
  • 인류의 우주공간에 대한 영향력이 확대됨에 따라, 우주공간에서의 인위적인 활동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모든 종류의 상황들에 대한 이해가 최근 전 세계적으로 매우 중요한 이슈로 부상하고 있다. 이를 Space Situational Awareness (SSA)라고 하는데, 특히 근지구공간에서의 인위적, 자연적 우주물체는, 우주발사체의 지속적인 증가와 이리듐-코스모스 위성의 상호 충돌 및 중국 폐기위성 파괴 등과 같은 사건으로 기하급수적으로 증가된 우주물체의 개체수로 인해 대한민국 국적의 모든 위성에도 실제적인 위협 요인으로 대두되고 있다. 이에 기초 기술연구회와 한국천문연구원은 이러한 위협을 국가적으로 해결해야할 과제(National Agenda Project) 중의 하나로 정의하고, 이를 해결하기 위해 우주물체 전자광학 감시체계 기술개발(OWL; Optical Wide-field patroL) 사업을 시작하였다. 이 사업의 목표는 자국위성에 대한 궤도력을 독자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시스템을 개발하는 것이며, 이를 위하여 2011년부터 6년 동안 총 5개소의 해외 관측소에 50cm급 광시야 망원경을 각각 설치하여 자국위성을 자동으로 상시관측하고, 관측된 자료를 이용한 궤도계산을 통하여 독자적으로 궤도력을 유지할 계획이다. 또한, 우주잔해물 감시는 하나의 국가에서 단독으로 할 수 없기 때문에 2m급 우주물체 감시망원경을 개발하여 국제공동으로 진행할 계획이다. 사업 첫해인 2011년 4월 시스템 요구사항 분석을 완료하였고 10월말 시스템 기본설계를 완료할 예정이다. 최종 완성될 소구경 광시야 망원경과 우주물체 감시망원경의 주요 임무는 우주물체 관측이지만, 향후 광시야를 이용한 다양한 탐사천문학에도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한편, 자국위성에 대한 충돌 위험도 분석 및 회피기동에 관한 연구는 한국항공우주연구원이 이 사업의 협동연구로 참여하고 있다.

  • PDF

Ionospheric and Upper Atmospheric Observations in Korea (국내 우주환경 자료 보유 현황: 전리권/고층대기)

  • Lee, Changsup;Lee, Woo Kyoung;Division of Solar and Space Environment of KSSS,
    • Journal of Space Technology and Applications
    • /
    • v.1 no.2
    • /
    • pp.199-216
    • /
    • 2021
  • In 2020, the solar and space environment division at the Korea Space Science Society surveyed the status of data archives in solar physics, magnetosphere, and ionosphere/upper atmosphere in Korea to promote broader utilization of the data and research collaboration. The survey includes ground- and satellite-based instruments and developing models by research institutes and universities in Korea. Based on the survey results, this study reports the status of the ground-based instruments, data products in the ionosphere and upper atmosphere, and documentation of them. The ground-based instruments operated by the Korea Polar Research Institute and Korea Astronomy and Space Science Institute include ionosonde, Fabry-Perot interferometer in Arctic Dasan stations, Antarctic King Sejong/Jang Bogo stations, and an all-sky camera, VHF radar in Korea. We also provide information on total electron content and scintillation observations derived from the 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GNSS) station networks in Korea. All data are available via the webpage, FTP, or by request. Information on ionospheric data and models is available at http://ksss.or.kr. We hope that this report will increase data accessibility and encourage the research community to engage in the establishment of a new Space Science Data Ecosystem, which supports archiving, searching, analyzing, and sharing the data with diverse communities, including educators, industries, and the public as wells as the research scientist.

한국천문연구원-제53호

  • 한국천문연구원
    • KASI NEWSLETTER
    • /
    • s.53
    • /
    • pp.1-8
    • /
    • 2005
  • 오 명 부총리 겸 과학기술부 장관 우리 연구원 방문/ 창립 31주년 기념식 개최/ 동아시아 4개 지역, 동아시아 핵심 천문대 연합체(EACOA) 결성/ 국내 발견 소행성, '홍대용', '김정호'로 명명/ '대한민국 별 축제 2005' -아인슈타인 상대성이론 100주년 기념/ 2005 세계우주주간 축제 참가/ 성남학생 과학축제/ 화성축제 행사 개최/ ePoster 자체 제작 사용/ 추계 체육 행사실시/ 팀웍의 날 실시/ 직원 동정/ 학회동정/ 콜로키움 혁신으로 천문연구원 두 배로 키우기/ 혁신선포식 및 혁신 마인드 강화 워크숍 개최/ 혁신 리더 워크숍 개최/ 홍보사업팀-전산정보팀 혁신 워크숍/ 제안제도 활성화 방안 시행/ 우리는 이미 항구를 떠났다.

  • PDF

40 Years of Radio Astronomy Research

  • Cho, Se-Hyung
    • The Bulletin of The Korean Astronomical Society
    • /
    • v.45 no.1
    • /
    • pp.29.2-29.2
    • /
    • 2020
  • 1980년 3월 국립천문대에 들어와 14m 전파망원경 건설사업 준비 단계부터 시작한 전파천문연구는 이제 40년이 되었다. 1985년 일본 동경대에서 일본국립천문대 노베야마 45m 전파망원경을 사용하여 학위를 마친 후 귀국하여 한국천문연구원 대덕 14m 전파망원경의 설치 운영과 이를 활용한 관측연구 및 한국우주전파관측망의 추진, 건설과 그 관측연구에 이르기까지 그 간의 전파천문연구에 대해서 발표하고자 한다.

  • PDF

Preliminary plan for the establishment of Mt. Baekdu observatory (백두산 천문대 설립을 위한 기초 계획)

  • Yang, Hong-Jin;Yim, Hong-Suh;Byun, Do-Young;Chung, Jong-Kyun;Choi, Young-Jun;Yim, Insung
    • The Bulletin of The Korean Astronomical Society
    • /
    • v.44 no.1
    • /
    • pp.60.4-60.4
    • /
    • 2019
  • 2018년 7월 국회의원회관에서 백두산과학기지 구축 방안에 대한 포럼이 있었다. 포럼에서는 천문, 화산활동, 광물자원, 천연물에 대한 주제별 발표가 있었으며, 한국천문연구원은 백두산과학기지 내 천문대 구축에 대한 기초 계획을 소개하였다. 그리고 지난 11월 한국천문연구원에서는 백두산천문대 구축에 대한 포럼을 통해 광학, 전파, 태양 우주환경 그리고 전통천문 분야에 대한 연구 계획을 소개한 바 있다. 천국천문연구원은 지난 2015년부터 남북천문분야 교류를 통한 남북한 천문분야 공동 발전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 본 발표에서는 최근 백두산과학기지와 천문대 설립을 위한 현황과 천문 분야별 연구 방향에 대해 소개하고자 한다. 아울러, 백두산천문대 설립을 위한 최근의 활동과 앞으로의 계획에 대해서도 발표하고자 한다.

  • PDF

우주과학이 우주개발정책 및 경제 사회발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김두환
    • Bulletin of the Korean Space Science Society
    • /
    • 1993.04a
    • /
    • pp.21-21
    • /
    • 1993
  • 오늘날 모든 산업분야에서 기술혁신은 가속적으로 진행되고 있으며, 신세대의 기술을 도외시하고는 어느국가, 어느기업도 세계의 시장경쟁력에서 이겨내지 못한다. 이러한 시장 및 기술정쟁력에서 뒤지게 될 정우 우리의 산업과 정제는 성장하지 못하게 되고, 또한 나라 살림이 어렵게 되어 기초과학인 천문학이나 우주과학분야의 연구환경이 더욱 어렵게 되어 천문우주과학분야의 연구활동이 침체될 가능성이 있다. 나라마다 사정은 다르지만, 세계 각국은 과학기술개발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으며, 그나라의 실정에 맞추어서 연구개발투자를 위한 과학기술정책을 실시하고 있다. 대체로 보면 정계적\ulcorner사회적 needs에 따라 긴급성과 중요성을 기준으로 연구개발 우선순위가 결정되고 있으며, 우리나라처럼 경제사정이 어려운 나라일수록 이러란 경향이 높은 것은 당연한 일이다. 그리고 아직 국민들에게 낯설고, 정부에서도 관심이 없는 우주과학 분야의 연구개발의 우선순위가 매우 낮은 것도 사실이다. 그러나 실제로는 우주과학이 우주개발활동의 근본이 되고, 나아가서 우주개발사업의 성장은 세계의 정제와 사회발전에 맡은 기여를 했으며, 오늘날 고도정보화시대 및 첨단기술시대를 낳게한 원동력이 되고 있다. 이 논문에서는 그러한 우주과학이 우주개발정책 및 경제사회발전에 미치고 있는 영향을 구제적으로 분석연구하였고, 우주과학계의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