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척추신경결찰

검색결과 2건 처리시간 0.028초

장기간 유지된 신경병증성 통증 흰쥐에서 선택적 COX2 억제제인 Celecoxib의 진통효과 (Effect of Celecoxib, a Cyclooxygenase-2-specific Inhibitor, has no Effect on Chronically Maintained Neuropathic Pain in Rats)

  • 박은성;김현정;이민주;이지윤;신터전;서광석;염광원
    • 대한치과마취과학회지
    • /
    • 제8권1호
    • /
    • pp.29-34
    • /
    • 2008
  • 배경: 신경병증성 통증은 스테로이드, 아편유사제 등의 진통제에 잘 반응하지 않는다. 하지만 염증성 매개물질들이 신경병증성 통증의 발생에 관여한다는 보고가 있다. 특히 선택적 COX2 억제제인 celecoxib의 신경병증성 통증에 대한 효과에 관해서 상반된 연구결과가 존재한다. 본 연구는 신경병증성 통증 모델인 척추신경 결찰모델을 이용 기계적, 냉각 이질통 및 온도감각 과민현상의 발현에 celecoxib이 미치는 영향을 관찰하여 celecoxib의 항통각효과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방법: 30마리의 쥐를 이용 척추신경을 결찰하여 신경병증성 통증을 유도하였다 celecoxib (1, 10, 100, and 300 mg/kg)을 경구 투여하였고 총 30마리 중 12마리의 쥐에서 열, 기계적자극에 대해서 통각과민, 냉각자극에 의해 이질통이 발생하였다. 약물 투여 후 30, 60, 120, 180분 후 von Frey, 냉각자극검사, Hargreaves검사를 시행하여 쥐의 행동변화를 관찰하였다. 결과: 신경결찰 후 5일 후에 celecoxib의 용량에 관계없이 열, 기계적 자극에 의한 통각과민, 냉각 자극에 대한 이질통을 감소시키지 않았다(P > 0.05). 또한 celecoxib투여에 의한 장기간의 항 통각효과는 관찰되지 않았다(P > 0.05). 결론: celecoxib을 경구로 투여하였을 때 장기간 유지된 신경병증성 통증 흰쥐에서 약의 투여용량, 투여기간에 따른 항 통각작용은 관찰되지 않았다. 따라서 조직 손상후 발생된 장기간의 신경병증성 통증에 있어서 celecoxib은 효과가 없는 것으로 사료된다.

  • PDF

척추신경결찰 흰쥐에서 척수강내로 투여한 Lamotrigine의 기계적 항이질통 효과 (The Mechanical Antiallodynic Effect of Intrathecal Lamotrigine in Rats with Spinal Nerve Ligation)

  • 송준걸;전인구;권미영;박종연
    • The Korean Journal of Pain
    • /
    • 제18권2호
    • /
    • pp.118-123
    • /
    • 2005
  • Background: A nerve ligation injury may produce a tactile allodynia. The effects of intrathecally delivered lamotrigine on allodynia induced due to fifth and sixth lumbar spinal nerves ligation in rats, using lumbar intrathecal catheters were examined. Methods: Sprague-Dawley rats (body weight 160-180 g) were prepared by tightly ligating the fifth and sixth left lumbar spinal nerves, with the implantation of a chronic intrathecal catheter for drug administration. Mechanical allodynia and allodynic threshold were measured using von Frey filaments and the updown method, respectively. After the baseline hind paw withdrawal thresholds had been obtained, lamotrigine (10, 30, 100 and $300{\mu}g$) was administered intrathecally. Thereafter, the dose-response curves and 50% effective dose ($ED_{50}$) were obtained. Motor dysfunction was assessed by observing the righting/stepping reflex responses and abnormal weight bearing. Results: Intrathecal administration of lamotrigine produced a dose-dependent antiallodynic action ($ED_{50}=61.7{\mu}g$). Mild motor weakness was observed with $300{\mu}g$ lamotrigine, but no severe motor impairment was found. Conclusions: It is suggested that intrathecal lamotrigine could produce moderate antagonism of mechanical allodynia at the spinal level in a rat neuropathic pain model with minimal motor weakne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