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처리약제

검색결과 856건 처리시간 0.027초

결핵약제 부작용과 처리방법

  • 류우진
    • 보건세계
    • /
    • 제40권11호통권447호
    • /
    • pp.15-17
    • /
    • 1993
  • 결핵의 성공적인 치료는 적절한 약제의 사용에 달려 있다. 치료실패의 주요 원인은 불규칙한 약제복용이나 조기중단 그리고 부적절한 치료처방이지만 약제의 부작용으로 인하여 성공적인 치료에 지장을 일으키기도 한다. 결핵 치료에서는 최소한 2가지 이상의 약을 동시에 사용 하므로 부작용 발생시 그것이 어떤 약제와 관련된 것인지를 명확히 밝혀내어 적절히 처리할 수 있어야 한다. 물론 그러기 위해서는 사용하는 약제들의 부작용을 정확히 알아야만 할 것이다. 먼저 약제의 부작용에는 어떠한 종류들이 있는지 살펴보고, 그 다음에는 각각의 결핵약제에서 흔히 접하는 부작용들과 그에 대한 처리방법을 알아보도록 한다.

  • PDF

결핵치료 부작용과 처리방법

  • 류우진
    • 보건세계
    • /
    • 제41권1호통권449호
    • /
    • pp.10-12
    • /
    • 1994
  • 결핵의 성공적인 치료는 적절한 약제의 사용에 달려 있다. 치료 실패의 주된 원인은 불규칙한 약제복용이나 조기중단 그리고 부적절한 치료처방이지만 약제의 부작용으로 인하여 성공적인 치료에 지장을 일으키기도 한다. 결핵 치료에서는 최소한 2가지 이상의 약을 동시에 사용하므로 부작용 발생시 그것이 어떤 약제와 관련된 것인지를 명확히 밝혀내어 적절히 처리할 수 있어야 한다, 물론 그러기 위해서는 사용하는 약제들의 부작용을 정확히 알아야만 할 것이다. 먼저 약제의 부작용에는 어떠한 종류들이 있는지 살펴보고, 그 다음에는 각각의 결핵약제에서 흔히 접하는 부작용들과 그에 대한 처리방법을 알아보기로 한다.

  • PDF

결핵치료 부작용과 처리방법

  • 류우진
    • 보건세계
    • /
    • 제40권12호통권448호
    • /
    • pp.4-7
    • /
    • 1993
  • 결핵의 성공적인 치료는 적절한 약제의 사용에 달려 있다. 치료실패의 주요 원인은 불규칙한 약제복용이나 조기중단 그리고 부적절한 치료처방이지만 약제의 부작용으로 인하여 성공적인 치료에 지장을 일으키기도 한다. 결핵 치료에서는 최소한 2가지 이상의 약을 동시에 사용 하므로 부작용 발생시 그것이 어떤 약제와 관련된 것인지를 명확히 밝혀내어 적절히 처리할 수 있어야 한다. 물론 그러기 위해서는 사용하는 약제들의 부작용을 정확히 알아야만 할 것이다. 먼저 약제의 부작용에는 어떠한 종류들이 있는지 살펴보고, 그 다음에는 각각의 결핵약제에서 흔히 접하는 부작용들과 그에 대한 처리방법을 알아보도록 한다.

  • PDF

Triazole계 살균제의 살포 및 훈증처리에 의한 포도 흰가루병(Uncinula nectator)의 방제 (Control of Powdery Mildew (Uncinula necator) in Vineyards by Spraying and Vapor-Action Treatments of Triazole Fungicides)

  • 오정행
    • 한국식물병리학회지
    • /
    • 제12권3호
    • /
    • pp.316-323
    • /
    • 1996
  • 비가림재배 포도원에서 발생하는 흰가루병에 대하여 triazole계 살균제 flusilazole, myclobutanil, difenoconazole, penconazole, triflumizole, triadimefon의 방제 효과를 검정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살균제 처리구의 이병과방율과 이병엽율은 무처리구에 비해 현저히 감소하였고, 이들의 방제가는 과방에서 약제에 따라 94.7∼97.9%, 잎에서 85.5%∼90.9%였으며 대조약제인 polyoxin B의 방제가와 유사한 정도를 보였다. 공시살균제의 보호효과는 살균제를 병발생 1주일전에 살포하는 경우, 살포 3주 후에 방제가는 약제에 따라 72.2∼90.5%였으나 4주 후에는 21.2∼41.6%로 감소하여 대조약제 polyoxin B의 52.5%보다 감소시켰으나 myclobutanil의 발아억제 효과는 약제 농도증가에 크게 영향받지 않았다. 살균제에 침지한 cheesecloth를 포도원 선반에 매달아 조사한 공시살균제의 훈증효과는 살포농도의 2배로 처리했을 때 처리점으로부터 반경 30cm이내의 포도송이에서는 약제에 따라 57.2∼71.1%의 방제가를 보였으나 전체 식물체에서는 49.1∼65.8%로서 10일 간격으로 3회 살포한 것 보다 낮은 방제가를 보였다.

  • PDF

토마토 유묘(幼苗)의 Quinclorac에 의한 生育 저해(沮害) 정도(程度)의 품종간(品種間) 차이(差異) (Varietal Difference of Growth Inhibition by Ouinclorac in Tomato Seedling)

  • 이영만;신서호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14권4호
    • /
    • pp.291-297
    • /
    • 1994
  • 토마토 품종간의 제초제(除草劑) Quinclorac에 대한 생육(生育) 저해(沮害) 정도의 차이를 알아 보기 위하여 토마토 8개 품종에 Quinclorac 0, 1, 2, 3, 4, 5g ai/ha을 토마토 유묘의 본엽 2 엽기에 토양 표면에 산포(散布)하였다. 약제 처리후 일주일 간격으로 초장을 조사하였고 약제 처리 28일후에 식물체의 건물중을 측정하였다. 무처리(無處理)에 대한 초장(草長)의 비율은 약제 처리 7일후에 최고 약량 5g ai/ha 에서 69-81%였고 나머지 약량에서는 무처리와 차이가 없었다. 약제 처리후 시간 경과에 따라 초장의 무처리에 비한 단축율(短縮率)이 커져 갔으며 약제 처리 28 일후에는 5g ai/ha에서 (2-26)*836038과(TR*VC8-1)-1-2F4가 각각 무처리의 88%와 89%로 높았고 나머지 6개 품종은 무처리의 61-68%로 낮았다. 약제 처리 28일후의 무처리에 대한 줄기의 건물중(乾物重) 비율은 초장보다 더 커서 최고 약량인 4-5g ai/ha에서 (TR*VC8-1)-1-2F4가 59%와 51%, (2-26)*836038이 각각 43%와 45%로 초장에서와 같이 가장 감소율(減少率)이 적었다. 뿌리의 건물중은 무처리보다 높았다. 줄기와 뿌리를 합한 식물체 전체의 건물중도 줄기와 동일한 경향이었다.

  • PDF

모내기전 벼이삭선충(Aphelenchoides besseyi Christie)의 약제방제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Chemical Control of White-tip Nematode, Aphelenchoides besseyi Christie, before Transplanting)

  • 이영배;박중수;한상찬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37-40
    • /
    • 1972
  • 벼 이삭선충의 효율적이고 능율적인 방제를 위한 약제의 종류 및 방법을 구명하기 위하여 본 시험을 수행하였다. 1. 종자에 대한 약제처리 : 선충피해 종자를 Malathion $80\%$ EC 등 6종의 약제 500, 1,000 배액에 각각 12, 24, 36시간 침종한 후 선충을 Baermmann씨법으로 분리, 조사한 결과 Malathion $80\%$ EC, Sumithion $50\%$ EC, Lebaycid $50\%$ EC, 등의 약제에 12-24시간 처리하는 것이 효과적이었으며 실용성이 있었다. 2. 못자리시기의 입제처리 : $30\times40cm$의 밧드에 피해종자를 파종하고 모내기 15일전에 PSP-204 $5\%$ G등 6종의 약제를 $15g/3.3m^2$의 비율로 시용하여 $20\times18cm$ 폿트에서 재배하여 효과를 조사한 결과 PSP-204 $5\%$ G, Diazinon $3\%$ G, Nemagon $20\%$ G, Terracurr-P $5\%$ G 등의 약제가 이삭선충의 방제효과가 높았다. 3. 모내기전의 침근처리 : 밧드에서 육묘한 피해묘를 모내기직전에 뽑아서 Sumithion $50\%$ EC 등 6종의 약제 1,000배액에 침근처리한 후 $20\times18cm$ 폿트에서 재배하여 효과를 조사한 견과, Sumithion $50\%$ EC, Lebaycid $50\%$ EC Nemagon $80\%$ EC 등의 약제가 가장 효과적이었다.

  • PDF

모낸 후의 벼이삭 선충(Aphelenchoides besseyi)에 대한 약제방제에 관하여 (On the Control Effects of Some Chemicals to Rice White-tip Nematode (Aphelenchoides os besseyi) after Transplanting of Rice)

  • 이영배;한상찬;박중수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15권4호
    • /
    • pp.193-197
    • /
    • 1976
  • 벼이삭 선충에 대한 피해 증상 발현 후의 약제 방제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ethoprop를 포함하는 4개의 약제를 피해 증상이 나타난 직후에 처리하였으며 약제 처리의 적기를 찾기 위하여 carbofuran을 처리 시기 및 횟수를 달리하여 처하였다. 가. 약종별 효과에 있어서는 ethoprop와 carbofuran이 대단히 좋았으며 diazinon과 fenthion도 무처리에 비하여는 효과적이었으나 전자의 효과에는 미치지 못했다. 나. 약제처리 시기 및 횟수 시험에서는 3회 처리구가, 그리고 일찍 처리할수록 피해 경율과 수량에 좋은 효과를 보였는데 여러 면으로 보아서 선충에 의한 피해가 벼에 나타난 직후에 처리하는 것이 본 선충의 피해를 효과적으로 경감시킬 수 있는 방법이라 생각된다.

  • PDF

5종의 네오니코티노이드계 약제에 대한 솔수염하늘소의 살충활성과 꿀벌독성 (Insecticidal Activity of Japanese Pine Sawyer (Monochamus alternatus) and Toxicity Test of Honeybee (Apis mellifera) using 5 Kinds of Neonicotinoids)

  • 조우성;정대훈;이재선;김현경;서상태;김길하
    • 농약과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33-41
    • /
    • 2017
  • 5종의 살충제를 사용하여 솔수염하늘소(Monochamus alternatus) 성충에 대한 약제 감수성과 잔효성을 조사하였고 꿀벌(Apis mellifera)에 대한 급성 및 엽상접촉독성과 엽상잔류독성을 평가하였다. 약제 처리 후 48시간 기준 충체 분무법을 이용하였을 시 5종의 네오니코티노이드계 약제 모두 80% 이상의 살충률을 보였다. 그러나 가지침지법에서 80% 이상의 살충률을 보인 약제는 acetamiprid ME, acetamiprid+buprofezin 2종이었다. 솔수염하늘소 성충에 사용한 5종의 약제에 대한 잔효성 실험에서는 모든 약제에 대하여 60-80%의 살충활성이 나타났으나, 약제처리 1일 후에는 약효가 급격히 감소하였다. 솔수염하늘소 성충에 사용한 5종의 약제에 대한 꿀벌의 급성독성과 엽상접촉독성실험에서는 acetamiprid ME가 가장 낮은 독성을 보였다. 꿀벌에 대한 엽상잔류독성을 조사한 결과에서는 acetamiprid ME와 acetamiprid+buprofezin 2종의 약제에서 매우 낮은 잔류독성을 보였다. 그러나 약제처리 1일 후에서는 모든 처리약제의 잔류독성이 10-30% 이하로 감소하였고, 시간이 지남에 따라 잔류독성은 더욱 감소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서 본 실험은 5종의 네오니코티노이드계 약제 중 acetamiprid ME가 솔수염하늘소에는 높은 살충활성을 보인 반면에 꿀벌에 대해서는 비교적 낮은 접촉 및 잔류독성을 보였기에 소나무재선충병 매개충 방제에 acetamiprid ME가 효율적으로 이용 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흰개미 토양처리제 효과 평가 및 시험방안 연구 (A Study on the Evaluation Method of Soil Treatment Termiticide)

  • 임익균;정선혜;정용재
    • 보존과학회지
    • /
    • 제35권2호
    • /
    • pp.177-186
    • /
    • 2019
  • 국내 목조문화재 흰개미 방제법 중 하나인 토양처리법에 적용되는 약제는 우천이나 지중의 수분 거동에 의해 방의 효력 저하가 진행되어 재처리가 요구되지만 현재 해당 기준 및 평가 방안은 전무한 실정이다. 이에 따라 약제의 방의 효력 평가 및 재처리 기간 산정을 위한 기초 실내 평가 방안을 제시하였다. 먼저 약제 방의력 평가를 위해 흰개미에 대한 기피성 및 접촉 독성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이번 실험에 사용된 약제는 비기피성이며, 접촉에 의한 사멸이 확인되었다. 이후 모의 강우 실험과 토양 관통 시험을 통해 토양 내 약제의 방의 효력 임계점을 산정하는 지속성 평가를 실시하였고 해당 자료를 기상 자료와 비교하여 재처리 기간을 산정하였다. 지속성 평가 결과, 약 160~170 mm 이상의 지속적인 수분 노출 이후에는 약제 처리 토양에 대한 흰개미의 천공이 확인되었다. 해당 결과를 최근 5년간 기상 자료와 비교한 결과, 본 실험에서 사용된 농도의 약제는 우리나라 장마철과 여름철 집중호우 기간이 지난 9월 이후 처리할 경우 약 1년 정도 방의 효력이 유지될 것으로 예상된다. 본 연구는 향후 국내 흰개미 방제를 위한 토양처리용 약제의 선정 매뉴얼 작성과 재처리 기간 산정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얼굴인식 알고리즘을 활용한 잠금해제 및 자율주행 약제배송로봇 개발 (Development of An Autonomous Medicine Delivery Robot Using Facial Recognition for Unlocking Mechanisms)

  • 김유경;김예린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23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 /
    • pp.874-875
    • /
    • 2023
  • 본 논문은 COVID-19와 같은 전염병 확산 방지를 위해 비대면 약제배송로봇을 제안한다. 제안한 로봇은 OpenCV와 Q-Learning기반의 모델을 사용하여 실시간 영상처리로 사람의 얼굴을 식별한다. 환자의 얼굴, 나이, 전달 약제 등을 환자 데이터베이스에 등록한다. 카메라로 인식된 환자의 얼굴과 데이터베이스 내 환자의 얼굴이 일치할 경우 잠금장치를 해제시켜 환자의 약제 수령을 허용한다. 또한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약제가 올바르게 전달되었는지 2차적으로 확인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 제안한 로봇은 비대면으로 환자에게 약을 전달함으로써 입원병동에서 발생할 수 있는 전염병 확상의 방지에 효과적으로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