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창업역량지표

Search Result 30, Processing Time 0.021 seconds

The Relationship between Entrepreneurial Competence Index and Entrepreneurial Performance in Small Business (자영업자의 창업역량지표와 창업성과의 관계)

  • Kim, Daeyop;Ahn, Seungkwon;Park, Jaehwan
    • Asia-Pacific Journal of Business Venturing and Entrepreneurship
    • /
    • v.14 no.4
    • /
    • pp.133-142
    • /
    • 2019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verify whether the entrepreneurial capacity indicator utilized by the pre - founder can predict the start-up's performances in advance. The questionnaire for this study was measured at a single point in food, clothing, cosmetics, and coffee industries, which account for more than 50% of self-employment in korean economy. A total of 1,600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and retrieved. And the final results were obtained through regression analysis. The empirical results show that the entrepreneurial capability index was related to the entrepreneurial performances. In particular, job satisfaction was found to be significant, but some significant results were found in the detailed indicators of financial aspect, and the significance was confirmed in terms of the necessity of further research among the entrepreneurial competency indicators composed of single indicators. From the policy point of view, it was suggested that entrepreneurial capability index can be a good tool to increase the entrepreneurial performance of the entrepreneur. In particular, it was confirmed that personal characteristics, entrepreneurial knowledge, entrepreneurial execution capacity, and external environment items were closely related to job satisfaction among measured competency indicators. Self-employed businesses, such as cosmetics and food, ware based on their own know-how and technology, and therefore, they were more likely to be influenced by their ability to run and business environment than others.

청소년 기업가정신 교육이 기업가적 태도와 진로개발역량에 미치는 효과에 대한 연구

  • Bae, Hye-Gyeong;Lee, U-Jin
    • 한국벤처창업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20.06a
    • /
    • pp.95-100
    • /
    • 2020
  • 본 연구는 과학기술의 발전과 이에 따른 급속한 사회변화 속에서 청소년의 진로를 탐색하고 역량을 높이기 위해 운영되고 있는 기업가정신 교육의 효과성을 밝히는데 목적이 있다. 청소년기는 미래인재로서 진로탐색을 위해 다양한 시도를 해야 할 필요성이 있는 시기이므로 청소년들에게 다양한 기회를 발견하고 활용하여 문제 상황을 해결해보는 경험이 필요하다할 수 있다. 기업가정신의 구성요인은 일반적으로 위험감수성, 진취성, 혁신성을 포함한다. 위험감수성은 불확실한 결과가 예상됨에도 과감히 도전하려는 의지이고, 진취성은 새로운 기회를 선제적 및 적극적으로 포착하기 위한 노력이며, 혁신성이 새로운 변화와 혁신을 선호하고 추구하면서 문제를 해결하려는 노력이라는 점에서 기회와 창의성, 문제해결력이 기업가정신에 중요한 요인에 포함됨을 판단할 수 있다. 청소년 기업가정신 교육의 효과성 측정항목으로 기업가적 태도와 진로개발역량으로 정하고, 기업가적 태도 하위항목으로 기회발견과 창의성 역량을, 창의성 역량의 세부지표로 창의적 문제해결능력, 협력적 의사소통능력, 혁신적 업무행동능력 선정하였다. 진로개발역량의 하위항목으로 진로설계, 개척정신을 정하였으며 진로설계의 세부지표로 자기탐색, 직업탐색, 직업가치관, 진로태도를, 개척정신의 세부지표로 차별화태도, 도전정신을 선정하였다. 이의 측정을 위해 청소년 기업가정신 교육 프로그램을 경기도 소재 중학교 학생들을 대상으로 2020년 9월부터 10월까지 실시하였다. 본 연구결과로 기업가정신 함양 프로그램을 수강한 학생들이 교육을 통하여 어떠한 역량이 높아졌는지에 대한 검증이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이러한 효과측정을 통하여 더 나은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할 수 있는 계기의 마련과 기업가정신 교육에 대한 이해의 폭을 넓혀 기업가정신 교육의 활성화를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 PDF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an Assessment Index for Selecting Start-ups on Balanced Scorecard (균형성과표(BSC) 기반 창업기업 선정평가지표 개발)

  • Jung, kyung Hee;Choi, Dae Soo
    • Asia-Pacific Journal of Business Venturing and Entrepreneurship
    • /
    • v.13 no.6
    • /
    • pp.49-62
    • /
    • 2018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n assessment index for the selection of promising start-ups, which will enhance the efficiency of program that support start-ups. In order to develop assessment models for selecting start-ups, three major research steps were conducted. First, this study attempted to theoretically redefine the assessment index from the perspective of the Balanced Scorecard (BSC) through a literature review. Second, major assessment index were derived using Delphi technique for experts in start-up areas. Third, weights were derived by applying AHP technique to calculate the importance of each index.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is study attempted to apply the assessment model for selecting start-ups from the Balanced Scorecard (BSC) view through the previous study review. Second, the final major questions were derived with sufficient opinions collected and structured survey of leading start-up experts in areas related to research subjects and elicited the most representative questions. Third, the results of applying the weights of the main selected assessment index, commercialization viewpoint is the most priority, followed by market view, technology development viewpoint, and organizational capability viewpoint. In the middle section, th ability to make products in the commercialization viewpoint, market competitiveness in the market, product discrimination capacity in the technology development perspective, and the ability of the entrepreneur in the organizational capacity perspective were important. Overall important items were found to be in the order of the capabilities of entrepreneurs, market competitiveness, product fire capability, and product discrimination. The importance of small items was highest priority for comparative excellence of competing products, and the degree of marketability, capacity of entrepreneurship, ability to raise capital, desire for entrepreneurship, and passion were shown. The results of this study presented a conceptual alternative to the preceding study on the development of existing selection assessment indexes. And it provides meaningful and important implications as an attempt to develop more sophisticated indicators by overcoming the limitations of empirical research on only some of the evaluation metrics.

재도전 소상공인의 역량모델링에 관한 연구

  • Im, Jin-Hyeok;Park, Seong-Hui;Chae, Yeon-Hui
    • 한국벤처창업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22.11a
    • /
    • pp.59-65
    • /
    • 2022
  • 본 연구는 코로나 팬데믹과 같은 외부 환경의 영향뿐만 아니라 경쟁 환경 및 시장변화에 적절하게 대응하지 못하는 등 역량부족의 문제로 사업 실패률이 높아진 소상공인들의 성공적인 재기를 돕고자 이들에게 요구되는 역량을 모델링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1977년부터 2022년까지 발행된 관련 문헌을 분석하였고 7인의 재도전 소상공인을 대상으로 행동사건인터뷰(BEI)를 진행하였으며, 역량개발 및 HRD 전문가를 섭외하여 세 차례에 걸처 초점집단인터뷰(FGI)를 실시하는 과정을 통해 역량초안을 도출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12명의 관련분야(창업, 소상공인, 심리/역량) 전문가를 섭외하여 3회에 걸친 델파이기법(Delphi Analysis)을 통해 재도전 소상공인의 성공적인 재기에 도움이 되는 역량을 2개의 역량군(소상공인, 실패회복), 8개의 세부역량(사업기회포착, 사업기획, 사업차별화, 운영관리, 판로개척, 제품과 서비스 연구개발, 긍정적 자기조절, 실패경험 극복 및 대처), 22개의 역량요소, 72개의 지식·기술·태도(KSA)가 표시된 행동지표로 도출하였다. 이와 같이 진행된 본 연구는 국내 최초로 재도전 소상공인에게 요구되는 역량을 구체화했다는데 학술적 의미가 있다. 또한 본 연구 결과는 재도전 소상공인 대상 역량기반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거나 지원 프로그램에 적합한 대상자 선별하는 등에서 활용될 수 있으며 소상공인 스스로 사업 성공을 위해 역량을 진단하며 자기개발을 촉진하는데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 PDF

국내 창업교육센터 대학별 차이점과 성공 운영 요인에 관한 연구

  • Kim, Seong-Il;Lee, U-Jin
    • 한국벤처창업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8.04a
    • /
    • pp.123-125
    • /
    • 2018
  • 본 연구는 우리나라 대학의 창업교육센터(Entrepreneurship Education Center)에 대한 조사를 수행하여 선행 조사DB와 비교 분석하였다. 창업교육센터 실태조사를 바탕으로 대학별 정량적 정성적 지표를 측정하여 상위그룹과 하위그룹의 구분하고 두 집단의 차이점과 성공운영 요인을 분석하였다. 창업교육센터의 일반 현황과 특성, 교직원(교수자수, 교원창업자수), 교과목(과목, 수강인 원수), 학내외 프로그램(창업동아리, 창업경진대회, 창업캠프), 재정운영(예산, 전담인력) 등의 계량 지표는 대학정보공시(대학 알리미)와 중앙일보 대학평가 DB를 기초하여 조사하였다. 그리고 운영상의 문제점, 센터의 성과측정 항목 등 정성지표는 창업교육센터장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하였다. 또한, 국내 창업교육센터의 표본특성을 살펴본 후 상위그룹과 하위그룹의 차이를 규명하여 상위그룹이 보유하고 있는 인적 물적 역량과 프로그램의 분석하여 창업교육센터의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교육부의 "산학협력 선도대학(LINC) 육성사업 (2012년~2106년)"에서 창업교육을 총괄 지원하기 위해 2012년 대학에 설치된 전담조직인 61개 창업교육센터의 성과를 분석하고 대학평가에서 상위 순위에 있는 대학 그룹들의 차이점을 도출하는데 의미가 있다. 또한 2017년에 새롭게 지정된 LINC+ 사업 ('17년~) 창업교육 분야의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한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문헌연구와 창업교육센터 운영에 대한 구조적 설문지를 개발하여 실태를 분석하였다. 이 결과는 창업교육센터의 효율적 운영을 위해 대학교직원 연구자 공무원 학생 및 창업교육센터를 포함한 창업지원 기관의 이해 관계자에게 향후의 발전을 위한 자료로써 의미가 있을 것이다.

  • PDF

스타트업의 특성이 창업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엑셀러레이터 역할의 매개효과 중심으로

  • Kim, Yong-Tae;Heo, Cheol-Mu
    • 한국벤처창업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22.11a
    • /
    • pp.89-93
    • /
    • 2022
  • 정보통신기술(ICT -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Technology)의 발달, 정부와 민간의 스타트업 발굴 및 투자 규모의 확대로 인해 혁신적인 아이디어를 기반으로 우수한 성과를 창출하는 스타트업들이 증가하고 있다. 이를 롤모델로 삼고 창업을 준비하는 예비 창업자들도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나, 성공을 경험으로 연쇄창업을 도전하는 창업자와 달리 초기 스타트업들은 팀원 채용, 기술 개발, 자금 유치 등 다양한 문제에 직면하게 된다. 엑셀러레이터는 스타트업들이 직면하게 되는 다양한 문제 해결을 돕기 위해 교육, 멘토링, 컨설팅, 네트워크 연계, 초기 투자 등의 활동을 통해 스타트업이 성장할 수 있도록 멘토와 투자자의 역할을 동시에 수행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스타트업의 특성과 창업성과과 어떠한 상관관계를 가지고 있는가를 조사하고, 엑셀러레이터의 역할이 스타트업의 창업성과에 매개역할을 하는지 분석 하는데 있다. 최근 국내에서는 다시 벤처 붐이 일어나고 있으며, 유니콘 기업의 양적 질적 증가, 정부 지원을 통한 초기 스타트업의 성과 등 창업생태계에서 의미 있는 지표들을 볼 수 있다. 스타트업의 성과와 관련된 지표들은 직/간접적으로 엑셀러레이터와 관련이 있으나, 그동안 국내에서 창업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스타트업의 창업가의 기업가정신이나 창업가의 역량을 기반으로 주로 연구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스타트업의 특성으로 대표되는 독립변수 혁신성, 조직 문화, 재무적 특성, 네트워크 지향성과 학습지향성이 종속변수인 창업성과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가설을 검증하며 매개변수인 엑셀러레이터의 역할의 효과를 확인하고자 한다.

  • PDF

A Study on the Verification of Significance of Assessment Items for Selecting Start-ups: Focusing on Project Fostering Start-ups through Leading Universities (창업기업 선정평가지표 유의성 검증에 관한 연구: 창업선도대학육성사업을 중심으로)

  • Jung, Kyung Hee;Sung, Chang So
    • Asia-Pacific Journal of Business Venturing and Entrepreneurship
    • /
    • v.13 no.4
    • /
    • pp.13-22
    • /
    • 2018
  • In this study, we examined the accuracy of the assessment items for selecting start-ups used in the project to support start-ups and verified their validity in determining whether they are appropriate assessment items based on selection criteria. The results of 973 start-ups that applied for the project fostering startup leading universities were collected and logistic regression was performed using SPSS 18.0. The study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differences in characteristics of start-ups were identified in terms of selection. Second, the impact of selection by assessment items was gender in 2015, capability of the founder, business establishment in 2016, performance and potential in the global market, and business startup in 2017. Third, the overall selection accuracy analysis for the last three years confirmed that the accuracy of the selection is lower each year and that the accuracy of the selection is lower than the accuracy of the non-selection. This means that the current assessment items for selecting start-ups are inaccurate for selection, and that changes in the items due to changes in the start-up environment each year have led to lower accuracy of selection. It is meaningful that this study raised the importance of assessment items and the need for improvement of assessment items for the screening functions of good start-ups to enhance efficiency of the policies for startup support.

기술창업 성과 제고를 위한 예비창업프로그램 도입에 관한 연구

  • Gil, Un-Gyu;Sim, Yong-Ho;Kim, Seo-Gyun
    • 한국벤처창업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6.04a
    • /
    • pp.79-83
    • /
    • 2016
  • 기술창업에 대한 관심과 기대가 증가하며, 다양한 정책이 마련되었다. 창업 이후에는 다양한 지원이 마련되어 있으나, 창업 이전에 성공적인 창업을 유도하기 위한 방안이 필요한 시점이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기술 창업의 성과를 제고하고, 기업가 역량을 향상시키기 위해 예비창업프로그램 도입을 제안한다. 예비창업프로그램 도입의 근거로 본 연구에서는 예비창업프로그램의 만족도와 창업기업의 성과 간의 인과관계를 파악하기 위하여 단순 회귀 분석을 실시하였다. E 연구원의 예비창업프로그램을 거치고 법인을 설립한 기업을 대상으로 만족도 조사를 수행하였으며, 창업기업의 성과로서 고용 지표를 선택하였다. 분석 결과 예비창업프로그램이 창업기업의 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예비창업프로그램 도입은 출연연 또는 대학의 연구원들에게 창업 성공을 촉진하는 기제로 작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A Study on Competency Modeling of Micro Entrepreneurs Recovering From Failure (재도전 소상공인의 역량모델링에 관한 연구)

  • Im, jinhyuk;Park, Seonghee;Kim, JaeHyoung;Chae, yeonhee
    • Asia-Pacific Journal of Business Venturing and Entrepreneurship
    • /
    • v.17 no.6
    • /
    • pp.71-88
    • /
    • 2022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the competencies to help micro entrepreneurs who have experienced failure to successfully re-challenge. To this end, relevant literature published from 1977 to 2022 was analyzed, behavioral event interviews (BEI) were conducted with 7 successful micro entrepreneurs, and focus group interviews (FGI) were conducted three times by inviting competency development and HRD experts. Based on these research activities, the draft about competencies for micro entrepreneurs who had have failure was derived. And then inviting 12 experts in related field for Delphi Analysis, the final competency model that helps micro entrepreneurs successfully recover were developed as follows : Competency Groups(small business owners, recovery from failure), 8 detailed competencies(seize business opportunities, business planning, business differentiation, operation management, market exploration, research and development of products and services, positive self-regulation, overcoming and coping with failure experiences), 22 competency factors, and 72 behavioral indicators. This study has an academic significance in that it developed the competencies required for micro entrepreneurs recovering from failure. In addi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sed to develop a competency-based education program for micro entrepreneurs and to select suitable candidates for support programs.

Exploratory Study on Developing Entrepreneurship Survey Index(ESI) in Korea (창업동향지수개발을 위한 탐색적 연구)

  • Lee, Dong-Ho;Song, Yoon-Hee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v.11 no.7
    • /
    • pp.2386-2395
    • /
    • 2010
  • The entrepreneurship is a key success factor of industrial development in global competitive environments. but there is no entrepreneurship index/indicator which gives comprehensive advantages for monitoring and forecasting entrepreneur environments in Korea. The purpose of the study is developing Entrepreneurship Survey Index(ESI) which considering various significant entrepreneur factors. The suggested ESI in this exploratory study consists of entrepreneurship business index(EBI), entrepreneurship environment index(EEI) and entrepreneurship preparation index(EPI). The EBI is composed of overall business factors which revised from practical studies and expert reviews. The EEI is mainly retrieved Global Entrepreneurship Monitor(GEM) and partially modified by an expert advisor to identify entrepreneur environments. The EPI is developed for evaluating and confirming the capability, plan and intention of the pre-entrepreneurship. The practical survey of using the proposed ESI will enhance the power of forecasting the entrepreneurship environment changes and provide effective entrepreneurship policy making for stakehold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