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창업규모

Search Result 276, Processing Time 0.026 seconds

연구소기업의 기술지향성과 시장지향성이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권하람;양영석;김명숙
    • 한국벤처창업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23.11a
    • /
    • pp.179-186
    • /
    • 2023
  • 공공기술 사업화와 벤처창업 생태계 활성화를 위해 정부의 막대한 투자로 지난 2006년 부터 1,600호 이상의 연구소기업이 등록, '21년 기준 1.1조원 규모의 매출이 발생 등의 양적 성과에도 연구소기업 1개당 평균 매출액 등의 질적 성과가 지속적으로 하락하는 문제를 인식하였으며, 연구소기업 설립형태 중 가장 시장지향적인 합작투자 형태의 기업 성과가 가장 좋았다는 연구 데이터를 시작으로 질적 성과 하락의 원인을 경영자의 기술지향성과 시장지향성을 주목하게 되었다. 본 연구는 그동안 선행연구를 통해 입증되었던 기업의 기술지향성과 시장지향성이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이 연구소기업도 실제 적용되는지 실증적 연구를 수행하였다. 본 연구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총 1,289개의 현행 연구소기업을 연구대상으로 실증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를 예측해보면 첫째, 기술지향성의 기술우수성, 기술집약도, 기술혁신성 모두 경영성과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판단된다. 둘째, 시장지향성의 고객지향성, 경쟁지향성, 집입장벽 모두 경영성과에 유의한 영향을 미칠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기술지향성과 시장지향성 모두 연구소기업 경영성과에 직접적 영향을 미치며, 연구소기업 성장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 요인임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연구소기업 기술지향성과 시장지향성 강화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을 규명하고, 연구소기업 설립요건 변경, 지원사업 다각화 등 정책적 변화의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향후 연구에서는 연구소기업 기술지향성과 시장지향성을 높일 수 있는 정책 연구가 필요하고, 연구소기업 질적 성과 제고를 위한 다양한 관점에서의 연구가 지속될 필요가 있다고 판단된다.

  • PDF

The Effect of Planned Behavior of University Student who Participates in Education for Starting Agricultural Business on Entrepreneurship and Will to Start the Business (창업농교육 참여대학생의 계획적행동이 기업가정신과 창업의지에 미치는 영향)

  • Lee, So-Young
    • Asia-Pacific Journal of Business Venturing and Entrepreneurship
    • /
    • v.13 no.1
    • /
    • pp.145-155
    • /
    • 2018
  • The matter of cultivating entrepreneurship and will to start a business of university students majoring in agriculture and life sciences and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agriculture as a future leader in the sector is a very important object of study. However, the discussion on entrepreneurship, establishment of a business and venture based on creative technology and innovative management have been scarcely had, because traditionally the majority of agricultural business has been a small-sized and simple business run by a small farmer. Education for starting an agricultural business in agriculture industry has been ignored even in the developed countries. ICT and AI(artificial intelligence)-based smart agriculture in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Age is emerging as a new growth potential of our agriculture industry. Thus, the interest in farmers to start a business and venture agriculture is growing in the agriculture industry. Accordingly, the study draws the influence factors regarding the effect of the planned behavior of the university students who take part in the education course for starting an agricultural business and an agricultural venture business on entrepreneurship and will to start the business and conducts the empirical analysis. The businessmen who newly join the agriculture industry should perform the technical innovation and the creative business activities to be able to compete in the agriculture industry.

The Effect of Start-up Accelerating Manager's Enabling Characteristics on Their Full Commitment & Performance to Start-up Support Groups: In The Center of Manager's Self-Efficacy (창업지원 매니저의 역량 특성이 창업지원단 몰입도와 업무성과에 미치는 영향: 매니저의 자기효능감을 중심으로)

  • Kang, Hye Jung;Yang, Young Seok;Kim, Myung Seuk
    • Asia-Pacific Journal of Business Venturing and Entrepreneurship
    • /
    • v.17 no.1
    • /
    • pp.13-28
    • /
    • 2022
  • Korean Government Budget Supports for startups have been spiked and resulted in increasing the number and scaling up Startup Accelerating managers. It have skyrocketed the strong demand for their qualified roles. However, unclear role description and gap between required role and their capability have discouraged startup manager's self-efficacy resulted in declining their full commitment and causing poor role performance. The focus of this research falls on empirical analysis to the effect of startup accelerating manager's capability characteristics on their full commitment and performance to start-up support groups. This research is expected to deliver diverse policy alternatives to build up manager's core competencies to accelerate their self-efficacy leading their full role commitments and finally pushing up policy performance. In addition, this research will found more strong literature review for the following researches in this emerging fields. This research is brought four highlighting results with respect to four research problems. First, it propose proper concept of startup accelerating manager based upon its legal entitlement. Second, it drive required core competencies of manager for successful their accountability. Third, it analyze the unique features of startup accelerating manger's capabilities against business incubation manger. Fourth, it empirically analyze in coming with government startup funding, the effect of self-efficacy including employment status, job environment, etc. on their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job performance. This research reveal the required unique core competencies of manger into founder sourcing ability, project managing ability, startup proving and pivoting ability, consulting ability for successful investment raising. As of this empirical research results, First, manager's ability have positively effect on their job performance, full commitment, and self-efficacy. Second, self-efficacy have a mediating effect on manager's ability, job performance, full commitment. This research derive key policy implication of requiring to build up more accelerating ability, of manager from the basics to advance level by customized and algorithm based traing program. This accelerating ability buildup program will not only surge self-efficacy of manger resulting in making full commitment and better job performance, but also devote to categorizing the unique new feature and position of manger as seed investment and supporter.

The Effect of Hackaton Program on the Willingness of Entrepreneurship: The Moderating Effect of Entrepreneurship, Entrepreneurial Motivation and Team Culture (해커톤 교육이 창업의지에 미치는 영향: 기업가정신, 창업동기, 팀문화의 조절효과 검증)

  • Lee, Beom Guk;Nam, Jung Min;Kim, Ju Seop
    • Asia-Pacific Journal of Business Venturing and Entrepreneurship
    • /
    • v.10 no.6
    • /
    • pp.133-141
    • /
    • 2015
  • This study examines that how the effect of hackaton program on the willingness of entrepreneurship. In addition,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moderating effect of entrepreneurship, entrepreneurial Motivation and team culture. The results show that hackaton program has significant impact on the willingness of entrepreneurship. The three key elements such as entrepreneurship, entrepreneurial motivation and team culture that were expected to have a moderating effect on the entrepreneurial intend. but result of this study that just entrepreneurship motivation and team culture have moderating effect for the change in the degree of the willingness of entrepreneurship.

  • PDF

MOOC의 기업가정신 교육프로그램에 대한 사례분석 연구 -해외 주요 MOOC 플랫폼을 중심으로-

  • Han, Min-Jeong;Lee, U-Jin
    • 한국벤처창업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7.04a
    • /
    • pp.59-59
    • /
    • 2017
  • 21세기는 전 세계를 대상으로 디지털 네이티브가 활약하며 '틀이 없는 교육'을 지향하는 혁신 교육 패러다임 세상이다. 이미 세계 여러 나라에서는 ICT(Information & Communication Technology)를 미래를 대비한 교육 개선의 핵심사업의 일환으로 교육에 활용하고 있다. 이를 토대로 2012년 출현하여 현재 급성장하고 있는 대규모 공개 온라인 수업을 MOOC(Massive Open Online Course)라고 부른다. 세계의 많은 우수한 대학들이 앞장서서 수업을 공개하고 상호 소통하는 플랫폼 역할을 하는 MOOC(이하'무크'라고 한다)는 교육 분야의 다양한 영역에서 활용되고 있다. 또한, 세계경제의 장기적인 불황과 저성장을 극복하기 위해 기업가정신과 창업에의 관심이 매우 높아져 있는 지금, 미국과 유럽을 중심으로 기업가정신(Entrepreneurship)교육 프로그램 또한 무크 플랫폼을 통해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하지만, 국내에서는 아직까지 무크의 중요성을 인지하고 실제 다양한 교육과정에서 활용하는 이용자가 적은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해외의 주요한 무크 플랫폼의 사례분석과 학습자 및 교수자들의 인터뷰를 통한 질적 연구방법을 활용하여 '무크 플랫폼이 기업가정신 교육에 효율적인지에 관한 연구문제'를 설정하고 이러한 연구문제에 대한 분석을 통해 총체적인 관점에서 무크 현상의 본질적 가치와 의미를 이해 하고자 한다. 지금 급속도로 확산되고 있는 창업교육에 이러한 무크 플랫폼을 통한 가속화를 기대할 수 있을지, 또한 이러한 무크 플랫폼을 통한 교육효과는 우리가 기대할 수 있을만한지 본 연구를 통해 분석하려고 한다.

  • PDF

우수디자인제품 선정이 창업기업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

  • Yu, Jeong-Heon;Bae, Byeong-Yun;Jeon, Gi-Seok
    • 한국벤처창업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8.04a
    • /
    • pp.93-97
    • /
    • 2018
  • 본 연구에서는 한국디자인진흥원의 우수디자인제품 선정이 기업의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분석하고, 상대적으로 경쟁력이 낮은 창업기업을 중심으로 경영성과에 대하여 연구하고자 하였다. KIDP의 2013년 통계에 따르면 제품 판매에 미치는 요소 중 디자인이 27.53%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으며, 기업 규모에서는 대기업과 중기업에 비해 소기업이 제품판매에 미치는 요소 중 디자인 요소가 제일 높은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또한 이번 연구를 위해 수집한 데이터의 업종별 추이를 살펴보면 기술 기반 업종이 도 소매업을 비롯한 기타 업종에 비해 증가율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본 연구는 어려운 경영여건에서도 디자인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KIDP로부터 우수디자인제품 선정을 받은 기업 중 186개(2013년, 2014년, 2015년)를 대상으로 업력이 7년 이하인 창업기업과 업력이 7년 이상인 계속기업의 경영성과에 차이가 있는지를 실증 분석하였다. 또한 우수디자인제품 선정기업 중 디자인의 역할이 상대적으로 크게 나타나는 제조업과 비제조업 간의 경영성과(매출액)의 차이에 대해서도 분석하였다. KIDP의 우수디자인제품 선정이 기업의 경영성과에 효과가 있는지를 선정연도를 전후 비교하여 "창업기업이 계속기업에 비해 경영성과(매출액)에 더욱 긍정적 효과를 미칠 것이다"라는 가설을 설정하고 실증분석을 한 결과는 창업기업이 경영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우수디자인제품 선정이 제조업과 창업기업 내의 제조기업 경영성과에도 유의미한 영향으로 나타나고 있다.

  • PDF

Research for Key Success Factors about Technological Entrepreneurs - Case in Korea (연구개발 기업에 대한 창업 성공 요인 분석 - 국내 사례를 중심으로)

  • Shin, Yu-Sub;Choi, Myeong-Gil
    • Proceedings of the KAIS Fall Conference
    • /
    • 2009.05a
    • /
    • pp.554-560
    • /
    • 2009
  • 연구개발 자원을 활용하여 창업하는 경우 초기 연구개발에 대한 투자가 선행되어야 하며 이에 따라 물적, 인적 자원 등의 투입 여부, 규모와 시기, 방법의 적절성 등이 성공적인 창업 단계로 발전 할 수 있는 중요한 요소라 할 수 있다. 또한 세계적인 기술의 흐름과 시장의 흐름을 파악하여 시장을 선도할 수 있는 제품과 서비스의 개발이 이루어져야 창업 단계로의 성공적인 발전에 대한 확률이 높아 질 수 있을 것이다. 이 밖에도 관련 있는 여러 요소가 있을 수 있다고 가정한다면, 이 여러 가지 요인들 중 초기 단계의 연구개발 기업의 경우 성공적인 창업단계에 이를 수 있는 주요한 요소들의 특성과 외부의 환경적인 영향이라 할 수 있는 변수들은 무엇이며 각 요소 및 변수들의 성공적인 창업 단계로의 발전과의 상관, 인과 관계를 연구, 고찰해 보며 주요한 요소들 각각의 상관관계를 연구하여 이를 토대로 초기 단계의 연구개발 창업 기업에 있어서 성공적인 창업 단계로의 발전에 대한 주요 성공 요인을 해외에서의 창업 성공 요인에 대한 비교 연구와 국내의 사례에 대한 연구를 통하여 고찰하여보고자 한다.

  • PDF

The Differences in Strategic Behaviors and Economic Performances Between Serial and Novice Entrepreneurs (연쇄창업의 행태와 성과에 대한 실증연구: ICT 창업초기 벤처기업을 대상으로)

  • Jo, Yuri
    • Asia-Pacific Journal of Business Venturing and Entrepreneurship
    • /
    • v.11 no.3
    • /
    • pp.17-25
    • /
    • 2016
  • This study aims to empirically examine serial entrepreneurship in Korea. Using the ICT startups survey data, I compare serial entrepreneurs with their novice counterparts in terms of business behaviors and performances. I found that serial entrepreneurs are more likely than novice ones to co-found a business with other entrepreneurs, enter a market with relatively large assets and expand their business into overseas market. They tend to put more importance on large-scale production and expansion strategy than first-time entrepreneurs. They are more likely to cooperate with suppliers and customers but less likely with the governments. From their experience of founding and operating businesses, the findings suggest that serial entrepeneurs are more market-oriented and more capable of managing internal human relations and external network of supply chain. Consequently, serial entrepreneurs show stronger early financial performance than novice entrepreneurs especially when they team up to found a business.

  • PDF

A Study on the Needs Analysis of University-Regional Collaborative Startup Co-Space Composition (대학-지역 연계 협업적 창업공간(Co-Space) 구성 요구도 분석)

  • Kim, In-Sook;Yang, Ji-Hee;Lee, Sang-Seub
    • Asia-Pacific Journal of Business Venturing and Entrepreneurship
    • /
    • v.18 no.1
    • /
    • pp.159-172
    • /
    • 2023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a collaborative start-up space(Co-Space) configuration plan in terms of university-regional linkage through demand analysis on the composition of university-regional linkage startup space. To this end, a survey was conducted for request analysis, an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through the t-test, The Lotus for Focus model. In addition, FGI was implemented for entrepreneurs, and the direction of the composition of the university-region Co-Space was derived from various aspect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the analysis of the necessity of university-community Co-Space, the necessity of opening up the start-up space recognized by local residents and the necessity of building the start-up space in the region were high. In addition, men recognized the need to build a space for start-ups in the community more highly than women did women. Second, as a result of analysis of demands for university-regional Co-Space, the difference between current importance and future necessity of university-regional Co-Spac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Third, as a result of analysis on the composition of the startup space by cooperation between universities and regions, different demands were made for composition of the startup space considering openness and closeness, and for composition of the startup space size. The implication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Co-Spaces need to be constructed in conjunction with universities in accordance with the demands of start-up companies in the region by stage of development. Second, it is necessary to organize a customized Co-Space that takes into account the size and operation of the start-up space. Third,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n experience-based open space for local residents in the remaining space of the university. Fourth,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 Co-Space that enables an organic network between local communities, start-up investment companies, start-up support institutions, and start-up companies.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proposed the regional startup ecosystem and the cooperative start-up space structure for strengthening start-up sustainability through cooperation between universities and local communitie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be used as useful basic data for Co-Space construction to build a regional start-up ecosystem in a trend emphasizing the importance of start-up space, which is a major factor affecting start-up companies.

  • PDF

국내 공모 부동산펀드의 임대형과 대출형 간 수익률 결정요인 비교분석

  • Gang, Won
    • 한국벤처창업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9.08a
    • /
    • pp.141-160
    • /
    • 2009
  • 본 연구에서는 국내 공모 부동산펀드를 임대형과 대출형으로 나누어 이들 펀드수익률의 결정요인을 분석하여 보았다. 펀드수익률은 왜도와 첨도가 매우 높은 분포를 따르기 때문에, 본 연구에서는 회귀분석으로 추정된 잔차가 정규분포를 따르도록 극단 관찰치를 충분히 제거한 표본을 사용하였다. 분석 결과, 부동산펀드의 (초과)수익률에 영향을 주는 유의적인 요인으로 규모, 운용보수, 기간 등이 발견되었다. 또한 특이하게도 이들 결정요인은 두 유형에 대해 각기 상반된 방향으로 영향을 주고 있다. 임대형 부동산펀드의 경우는 규모, 운용보수가 펀드수익률에 유의미한 음의 영향을 미치는 반면, 대출형 부동산펀드의 경우는 규모, 운용보수 및 기간도 펀드수익률에 유의적인 양의 영향을 주었다. 이러한 결과는 국내 공모 부동산펀드는 임대형과 대출형이 매우 다른 경제적 성격을 가지고 있으며 향후 연구에서도 두 유형을 분리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