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창고건물

검색결과 33건 처리시간 0.026초

군산의 근대 창고건물 현황 및 산업유산으로서의 가치에 관한 연구 (A Study on Characteristics of the Modern Warehouse in Gunsan and Its Value as Industrial Heritage)

  • 박성신
    • 건축역사연구
    • /
    • 제20권6호
    • /
    • pp.21-39
    • /
    • 2011
  • This research is to analyze the modern warehouses in Gunsan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They were the spatial and urban symbol of City of Rice, Gunsan.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rvey the modern warehouses in the original center of city, to find their architectural characteristics and to set up a possibility of reuse. 7 existing warehouse buildings are located at Jangmi-Dong and Jooksung-Dong, and they have been built between 1935 and 1940. The warehouse buildings have a module of 6m and they are generally 12m wide, 24~48m long and 8m high. Their structure is composed of reinforced concrete and wooden truss. All warehouse buildings have a rectangular form. Now the diverse commercial programs occupy the original space. Modern warehouse in Gunsan has the spatial and symbolic value as industrial heritage.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respect the original value of modern warehouse and to create a reusing space for the current generation. It is also essential to verify restoring possibility of three symbolic warehouse buildings in the harbour that were demolished.

옥내소화전의 관리실태 조사연구 (A Study of on management of indoor fire hydrant)

  • 문석진;심규형;이동호
    • 한국화재소방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화재소방학회 2011년도 춘계학술논문발표회 논문집
    • /
    • pp.3-8
    • /
    • 2011
  • 현재 국내 건축물은 일반주택, 빌라 등을 제외한 대부분의 건물에 소방시설을 적용하고 있다. 그렇지만 소방시설의 활용은 이천물류창고 화재, 코리아 냉동창고 화재, 대구지하철 참사와 최근 부산의 고층 오피스텔 화재 등을 볼 때 제대로 작동하지 않았다. 이처럼 실제 화재시 소방설비가 제대로 작동이 되지 않아 인명과 재산피해 등이 계속해서 발생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소방시설 중 가장 널리 사용되고 초기 소화에 중요하게 사용되는 옥내소화전의 관리 실태를 파악하고 그것에 대한 문제점을 데이터화하여 실제 화재시 소방시설의 적극적인 활용을 위한 해결점을 찾고자 한다.

  • PDF

고리원자력발전소 건설계획 개요 (A summary of the Ko-Ri nuclear power plant construction plan)

  • 문희성
    • 전기의세계
    • /
    • 제20권3호
    • /
    • pp.42-46
    • /
    • 1971
  • 한전은 WEICO 본 공사의 수행에 차질이 일어나지 않도록 각종 대비공사를 실시하도록 되어있는바, 이를 위해 지난 1970년 9월 1일에는 고리 현장에 원자력건설사무소를 신설 발족시키고 격지정지공사, 호안 및 물상장설치 공사, 동력 및 통신 설비, 공사용 가건물 및 창고 신축 공사등 여러가지 작업을 계획대로 추진시키고 있으며 드디어 지난 3월 19일 박대통령을 비롯한 국내외귀빈들을 모시고 고리현지에서 역사적인 기공식을 거행하였다. 다음에 고리원자력발전소 건설계획의 개요를 살펴보고자 한다.

  • PDF

소방시설의 관리실태 조사 분석 (Survey Analysis of the Management of Fire Fighting Equipment)

  • 문석진;이동호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25권6호
    • /
    • pp.98-103
    • /
    • 2011
  • 현재 국내 건축물은 일반주택, 빌라 등을 제외한 대부분 건물에 소방시설을 적용하고 있다. 그러나 소방시설의 활용은 이천물류창고 화재, 코리아 냉동 창고 화재, 대구지하철 참사와 최근 부산의 고층 오피스텔 화재 등에서 나타낸 문제점과 같이 제대로 작동하지 못함으로서 인명과 재산피해 등이 지속적으로 발생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소방시설 중 가장 널리 사용되고 초기 화재에 중요하게 사용되는 자동화재탐지설비, 비상경보설비, 피난설비, 옥내소화전의 관리 실태를 파악하고 이에 대한 문제점을 데이터화하여 실제 화재시 소방시설의 적극적인 활용을 위한 해결점을 찾고자 한다.

토석류 유동특성을 고려한 재해저감시설 설치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Installation of Disaster Reduction Facility Considering Debris Flow Characteristics)

  • 조항일;전계원;장창덕;강배동;이영우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23년도 학술발표회
    • /
    • pp.478-478
    • /
    • 2023
  • 우리나라는 기후변화로 인해 태풍과 집중호우에 의한 산지재해 피해가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산지재해를 저감하기 위해 토석류 수치모의를 하여 피해규모를 예측하거나 저감시설을 설치한다. 토석류 저감시설에는 사방댐, 방호벽, 유도수로 등이 있다. 국내에서는 사방댐을 많이 설치하고 있으나 사방댐을 설치할 시 주변 시설물의 규모와 위치를 고려해야 하는 어려움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토석류를 저감하기 위한 시설 중 사방댐의 대안으로 방호벽을 설치하여 저감효과를 분석하였다. 2022년 8월 토석류 피해가 발생한 강원도 횡성군을 대상지역으로 선정하고 수치 지도를 이용하여 DEM자료를 구축하였다. 그리고 토석류 수치모의가 가능한 FLO-2D 모형에 적용하여 유동특성을 분석하였다. 또한 저감효과를 분석하기 위해 방호벽을 창고 주변과 주택 주변에 설치하여 해당 위치에서의 유동특성을 비교·분석하였다. 방호벽을 설치하고 토사가 퇴적되기 시작한 부분을 고려하여 설치한 후 건물 주변에서의 토석류 저감효과를 분석한 결과 창고 주변과 주택 주변에 단일로 설치하여 저감효과가 나타났으나 한계점이 나타났다. 한계점을 보완하고자 방호벽을 이중으로 설치하고 모형을 적용하여 저감효과를 비교·분석하였다.

  • PDF

밀폐공간에서의 화재 위험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fire risk in an enclosure room)

  • 김수영;김홍식;한동훈;이성룡;김주석;육근환;천성수
    • 한국화재소방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화재소방학회 2009년도 춘계학술논문발표회 논문집
    • /
    • pp.449-453
    • /
    • 2009
  • 기존 주택 및 고층건물화재에서 발생하는 화재 폭발 사고에 대해서는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으나, 이천 냉동창고 화재와 같이 많은 인명피해가 발생되는 작업환경에서의 화재 특히 밀폐공간에서의 화재 폭발 위험성 및 특성은 주택 및 고층건물화재에 비교하여 높은 폭발위험성 및 빠른 화염전파 특성을 보이나 이에 관한여 구체적인 연구는 미비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밀폐공간 작업환경에서의 화재 폭발 위험성 특성 분석을 위하여 밀폐공간에서 작업 시 발생되어지는 가연성 가스의 확산 특성 분석 및 폭발 위험성 분석 방법에 관한 연구와 밀폐공간에서의 화염 확산 특성에 관한 연구논문 이다.

  • PDF

소방설비의 실질적 사용을 위한 기초데이터 연구 (Fire Protection of the basic data for practical use)

  • 문석진;심규형;이동호
    • 한국화재소방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화재소방학회 2010년도 추계학술발표회 자료집
    • /
    • pp.48-51
    • /
    • 2010
  • 현재 국내건축물은 주택, 빌라 등을 제외한 대부분의 건물에 소방시설을 적용하고 있다. 그렇지만 소방시설의 활용은 이천물류 창고 화재, 부산 노래방화재, 대구 지하철 참사와 최근 부산의 고층 오피스텔 화재 등을 볼 때 제대로 작동하지 않고 있다. 이처럼 우리나라의 실제 화재시 소방설비가 제대로 작동이 되지 않아 인명피해, 재산피해 등이 계속해서 발생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소방시설 중 가장 널리 사용되고 초기소화에 가장 중요하게 사용되는 경보설비 및 피난설비의 관리 실태를 파악하고 그것에 대한 문제점을 데이터화하여 실제 화재시 소방시설의 적극적인 활용을 위한 해결점을 찾고자 한다.

  • PDF

풍납토성 기와건물지의 성격과 위상 (Characteristics and Status of Roof Tile Buildings of Pungnaptoseong Fortress)

  • 소재윤
    •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 /
    • 제56권3호
    • /
    • pp.46-59
    • /
    • 2023
  • 풍납토성에서는 미래마을부지 마-1호 건물지를 비롯하여 백제 지상식 건물지가 여럿 확인되었다. 그러나 기와가 건물지와 직접적으로 관련되어 출토된 건물지는 마-1호 건물지가 유일하다. 마-1호 건물지와 비견되는 마-2호 건물지와 라-1호·2호 건물지 등의 경우에는 적심시설 및 건물 구조로 보건데 지붕에 기와가 올라갔을 가능성이 매우 높은 건물지라 하겠다. 비록 반지하식의 수혈건물지일지라도 내외부 기와 출토상황상 가-30호 수혈건물지나 현대아파트부지 가-5호 주거지 혹은 지상식에 가까운 경당지구 44호 유구처럼 지붕에 전면 즙와가 아닌 부분즙와의 형태로 기와건물이 조성되었을 수도 있다. 지붕에 기와를 사용한 초기 배경에는 여러 이유가 있을 수 있으나 주요한 배경으로는 건물의 위세적 기능이 우선적으로 고려되었을 것으로 여겨진다. 중국과 일본에서 궁전, 사찰, 예제성 건축물(禮制性 建築物) 등 국가적으로 중요한 건물에 기와를 사용하기 시작한 사례로 보아, 백제도 중앙집권화된 시점부터는 적극 사용하였을 것으로 추정된다. 백제 초기 기와건물은 대형화된 건물을 염두에 두고 화재예방과 구조적 안정성을 고려한 결과, 초보적 주거 건축기술에서 고도화된 공공 건축기술로의 변화가 뒤따라오게 된 것으로 여겨진다. 특히 미래 마-1호 건물지는 고대(高臺)나 지하초석과 같은 구조적인 특징상 국내에 유사사례를 찾아보기 힘들고, 오히려 중국과 일본에서 유사 기술을 사용한 중요 건축물을 찾아볼 수 있다. 중국에서는 주로 장안성 등 궁전 주변에 조성된 예제성 건축물에서 유사 건축기술을 발견할 수 있었다. 이를 토대로 보면 마-1호 건물지 등 현재까지 발견된 기와 건물지는 예제성 건축물 성격과 매우 관련 있어 보이며, 라-1호·2호 건물지와 같은 지상식 건물은 국영 창고와 관련된 중요 시설물로 공공시설물과 연계되어 백제 초기의 도성구조와 관련하여 많은 시사점을 주고 있다.

일본(日本)의 고상식(高床式) 건축(建築)에 관(關)한 연구(硏究) (A study on the Upper Risen Architecture of Japan)

  • 이병건
    • 건축역사연구
    • /
    • 제12권3호
    • /
    • pp.19-38
    • /
    • 2003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architectural character of the upper risen architecture(高床式 建築) in Japan. There are few upper risen architecture and architectural remains in Korea. Until now most of Korean researcher recognized that the upper risen architecture is southern regions' form. But there are a few numbers of upper risen buildings in northern regions of Korea and China. Therefore we need to compare northern and southern regions' upper risen architecture. The scope of this study is architectural remains, sites and present buildings about upper risen architecture in Japan. The period of this study is from third to eighth century. The method of this study is the analyses of site plan(the ratio of front and side length) and construction about Japanese Architecture. And then this study compare Japanese with other countries in Korean and Chinese upper risen architecture. Results of the study are below. 1. In Japan, upper risen architecture was introduced into southern regions(southern China and southeast Asia) with rice farming culture. 2. After introduced upper risen architecture, they were influenced many architectural technique of Korean and Chinese. 3. There were many technical improvement(such as foundation stone standing method, high technical wooden frame structure and adaptable triangle frame wall at moisture) the Japanese upper risen architecture in Nara Period(奈良時代). 4. As the results, I found out that there were many similarity Korea and Japan in upper risen architecture. I think that we will try continuous to study another regions' upper risen architecture in order to define conclusion.

  • PDF

영국 뉴카슬/게이츠헤드의 도시재개발사업에 관한 연구 : 정책 거버넌스를 중심으로 (Governance of Urban Regeneration Policies of Newcastle/Gateshead England)

  • 신동호
    • 한국경제지리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131-145
    • /
    • 2012
  • 선진공업국들은 1970년대 이후 2차 산업의 사양화로 인해 탈공업화 현상을 경험하기 시작하였다. 탈공업화 현상은 대량 실업 및 도시환경의 파괴, 도시기반시설의 피폐 등과 같은 문제를 야기하였는데, 철강산업, 자동차산업, 조선산업의 중심도시들이 큰 피해를 보았다. 영국의 글라스고우, 뉴카슬, 맨체스터 등을 비롯하여 미국의 버팔로, 디트로이트 등이 그 대표적인 예이다. 그러나 1980년대 이후 그러한 도시의 일부는 문화예술활동을 도입하여 기업파산과 환경오염으로 얼룩진 탈공업도시의 경제와 환경, 그리고 지역정체성을 회복하고 있다. 영국의 뉴카슬과 그에 인접한 게이츠헤드는 1980년대 중반부터 시 정부가 중심이 되어 역사적인 의미가 있고 예술적 가치가 있는 대형 조형물을 조성하고, 방치된 창고건물을 보수하여 예술품 전시장으로 개조하는 한편, 황폐한 공간에 대형 음악당을 건축하고 그 주변을 정화하여 고급 주거 및 여가 공간으로 개발하였다. 이 연구는 뉴카슬/게이츠헤드의 이러한 도시재개발사업의 추진형태와 거버넌스 구조를 조사, 분석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