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참여교육

Search Result 5,869, Processing Time 0.033 seconds

멀티미디어 시대와 대학교육:상호참여형 '원격학습 두레'를 중심으로(하)

  • Hwang, Dae-Jun
    • 대학교육
    • /
    • s.83
    • /
    • pp.72-83
    • /
    • 1996
  • 원격교육에 대한 연구는 정보통신 기술과 멀티미디어 관련 기술의 발전과 더불어 새롭게 조명되고 있는 분야이다. 특히 정보 서비스 형태가 문자나 그래픽 위주의 단조로운 모노미디어로부터 멀티미디어로 점차 전환되고, 개인 위주의 독자적인 컴퓨터 사용으로부터 네트워크로 연결된 사이버스페이스를 중심으로 공동작업에 관여하는 상호참여 형태로 발전하고 있다. 세계적으로 볼 때, 아직까지는 네트워크 기반의 멀티미디어 원격교육 시스템에 대한 연구가 초기 단계에 있으나, 이 분야 기술의 파급효과가 클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에 우리의 일관된 노력과 투자가 절실한 시기라고 판단된다.

  • PDF

멀티미디어 시대와 대학교육:상호참여형 '원격학습 두레'를 중심으로(상)

  • Hwang, Dae-Jun
    • 대학교육
    • /
    • s.82
    • /
    • pp.58-65
    • /
    • 1996
  • 원격교육에 대한 연구는 정보통신 기술과 멀티미디어 관련 기술의 발전과 더불어 새롭게 조명되고 있는 분야이다. 특히 정보 서비스 형태가 문자나 그래픽 위주의 단조로운 모노미디어로부터 멀티미디어로 점차 전환되고, 개인위주의 독자적인 컴퓨터 사용으로부터 네트워크로 연결된 사이버스페이스를 중심으로 공동작업에 관여하는 상호참여 형태로 발전하고 있다. 세계적으로 볼 때, 아직까지는 네트워크 기반의 멀티미디어 원격교육 시스템에 대한 연구가 초기 단계에 있으나, 이 분야 기술의 파급효과가 클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에 우리의 일관된 노력과 투자가 절실한 시기라고 판단된다.

  • PDF

Analysis on the Parents Aware of the Need for the Elementary SW Education (초등 SW교육의 필요성에 대한 학부모의 인식 분석)

  • Han, Seonkwan;Kim, Soohwan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Information Education
    • /
    • v.19 no.2
    • /
    • pp.187-196
    • /
    • 2015
  • This study is conducted to analyze the parents' perceptions of policy and needs of the elementary SW education. We surveyed in targeting 273 parents who did not participate living in big and small cities and 74 parents participated in the SW-related event. And we analyzed the differences in policy and the need of the SW education of the groups. Analysis showed that parents who participated in the SW-related events were considered to be positive about education than parents who non-participated in the SW-related events. They who participated in the SW-related events also recognized that the SW education needs for the child' s future. Based on these results, in order to include the SW education in formal education curriculum in elementary education, we have to conduct a variety of SW-related events aimed at parents. And we could see the effort required for the promotion of the general public people.

The Awareness Comparison about Creative Converged Competence for the Capstone Design among Engineering Students (공과대학생의 종합설계에 대한 창의융합 인식 비교)

  • Yoon, Seok-Beom;Chang, Eun-Young
    • Journal of Practical Engineering Education
    • /
    • v.11 no.1
    • /
    • pp.9-15
    • /
    • 2019
  • We studied the perceived creative ability, convergent thinking and creative leadership related to converged capabilities among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the capstone design and graduation works and those who did not participate. In creative ability, students who participated capstone design and graduation works need more curriculum and non-curriculum activities for the idea generation through the understanding of various majors, but overall, they achieved higher positive results than the nonparticipating students. For creative leadership and convergent thinking, students with capstone design and graduation works showed a more positive capabilities, while students with nonparticipating students showed a slightly lack of creative thinking of higher order thinking, the logical analysis of complex phenomena, and overall understanding.

Analysis of Perception Changes of Residents According to the resident competency education in Non-Point Source Contaminated Areas (주민역량교육에 따른 비점오염관리지역 농민들의 인식변화 분석)

  • Jeongha Lim;Minhwan Shin;Nayeong Yu;Hyunjung Lee;Dongjin Kim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3.05a
    • /
    • pp.465-465
    • /
    • 2023
  • 집중호우시 농경지에서 발생하는 흙탕물은 수질 및 수생태계를 오염시키며, 환경오염에 따른 사회·경제적 문제를 지속적으로 초래하고 있다. 정부와 지자체는 흙탕물 발생이 심각한 지역을 '비점오염원관리지역'으로 지정·고시하여 흙탕물 저감사업을 추진하였으나, 뚜렷한 성과를 나타내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최근 정부의 흙탕물 저감사업은 저감시설 설치 등과 같은 구조적 방법에서 발생원관리 중심으로 패러다임이 전환되고 있다. 농경지에서 발생하는 비점오염원의 발생원관리를 위해서는 주민들의 적극적인 참여가 필수적이나, 아직까지 주민들의 비점오염원에 대한 인식이 낮은 수준에 머무르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주민참여 거버넌스를 구축하여 주민들의 인식을 개선하고, 주민들의 참여를 유도하여 농촌지역 실정에 맞는 주민참여형 농업비점오염 관리의 기반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지는 강원도 비점오염원관리지역인 가아지구 내 강원도 인제군 인제읍 가아2리 마을일원으로, 본 연구의 참여농가는 총 10농가, 참여농지 면적은 21.81 ha이다. 참여농가를 대상으로2022년 10월 9일, 10월 16일, 10월 23일 총 3회에 걸쳐 주민 교육을 실시하였으며, 주기적인 설문조사를 통해 교육 진행에 따른 주민 인식 변화를 측정하였다. 설문조사는 교육참여자를 대상으로 3회 실시하였으며, 농업비점오염 개념, 최적관리기법의 이해, 비점오염저감 활동참여 의지에 관한 내용으로 구성하였다. 설문조사 점수에 대한 기준은 전혀아니다(1점), 그렇지않다(2점), 보통이다(3점), 그렇다(4점), 매우 그렇다(5점)로 선정하였다. 설문조사 결과 농업비점오염원의 대한 이해도는 1차 62점, 2차 66점, 3차 80점, 최적관리기법의 이해도는 1차 59점, 2차 64점, 3차 75점, 비점오염저감 활동참여 의지도는 1차 61점, 2차 73점, 3차 80점으로 나타났다. 1차 설문조사 결과 대비 3차설문조사 결과 농업비점오염의 개념 및 최적관리기법의 이해도는 22.5, 21.3% 증가하는것으로 분석되었으며, 비점오염저감 활동참여 의지도는 23.8% 증가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조사 결과와 같이 교육을 통해 주민들의 인식이 전환된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비점오염원 저감활동에 대한 의지가 표준 이상으로 나타나 주민 참여 거버넌스 구축 연구를 통해 실질적인 농촌 비점오염 관리가 가능할 것이라 기대된다.

  • PDF

A Case Study on the Features of General Citizen's Scientific Participation and Action: Focus on the Case of Responding to Fine Dust Issue (일반 시민의 과학적 참여와 실천 사례 연구: 미세먼지 문제 대응 활동을 중심으로)

  • Chang, Jina;Lim, Insook;Park, Joonhyeong
    •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 /
    • v.45 no.2
    • /
    • pp.201-218
    • /
    • 2021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qualitatively two cases of general citizens' scientific participation and activities responding to fine dust problem. The processes of their scientific actions were investigated and categorized inductively based on three stages: problem recognition stage, information collection and analysis stage, and sharing and spreading stage. As a result, in the 'problem recognition' stage, two participants recognized the seriousness of the fine dust problem as they felt a threat to their health and began to act practically by questioning the accuracy of public data. In the 'information collection and analysis' stage, a participant collected as much information as possible and compared them in order to obtain more accurate information for her situation. On the other hand, another participant conducted various experiments in person to get the information which is appropriate to his situation. Finally, in the 'Sharing and Spreading' stage, both participants created and shared various materials based on online environment, and continued their activities with a sense of contribution through others assistance. Educational implications are discussed in terms of civic science education and scientific literac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