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착색이상

검색결과 188건 처리시간 0.03초

Co2O3 첨가가 알루미나의 액상소결 및 기계적 물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Co2O3 addition on liquid phase sintering behavior and mechanical properties of commercial alumina)

  • 오복현;윤태규;공헌;김남일;이상진
    • 한국결정성장학회지
    • /
    • 제30권4호
    • /
    • pp.150-155
    • /
    • 2020
  • 구조용 세라믹재료로 주로 사용되는 알루미나(Al2O3)는 우수한 기계적 특성을 위해 치밀한 미세구조를 요구하며, 소결온도를 낮추기 위해 상업적으로 액상소결(liquid phase sintering)이 적용된다. 본 연구에서는 SiO2, MgO, CaO를 액상소결 조제로 사용하는 92 % 상업용 알루미나의 액상소결 시, 착색제(coloring agent)로 주로 사용되는 산화코발트(Co2O3)의 첨가량과 다양한 소결온도가 알루미나의 미세구조 및 기계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고찰하였다. 약 11 w t% 산화코발트 첨가에 따라 1200℃부터 고상입자 재배열에 의한 수축이 시작되었고 1300℃ 이상의 온도에서 용해 재석출 및 합체(coalescence)에 의한 알루미나의 결정립 성장이 관찰되었다. 1400℃ 이상의 열처리 온도 혹은 과량의 Co2O3 첨가는 액상의 점도를 낮추어 소결밀도를 감소시켰고, 이와 함께 경도값도 감소하였다. 산화코발트를 11 w t% 첨가하여 1350℃에서 소결할 경우, 3.86 g/㎤의 밀도와 12.32 GPa의 경도를 갖는 치밀한 소결체 제조가 가능하였다.

국산원료(國産原料)를 활용한 복합분(複合粉) 및 제품개발(製品開發)에 관한 연구(硏究) 제4보 보리 및 고구마복합분(複合粉)을 이용한 면류(麵類)의 Texture 특성(特性) (Development of Composite Flours and Their Products Utilizing Domestic Raw Materials IV. Textural Characteristics of Noodles made of Composite Flours Based on Barley and Sweet Potato)

  • 장경정;이서래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6권2호
    • /
    • pp.65-69
    • /
    • 1974
  • 밀가루 대체원료(代替原料)로써 쌀보리가루 또는 고구마가루를 활용한 복합분(複合粉)으로 국수를 만들고 그들의 품질(品質)을 조사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면대(麵帶) 및 건면(乾麵)생산에 있어서 밀가루에 대한 보리가루 대체율(代替率)은 100%까지, 고구마가루 대체율(代替率)은 70%까지 가능하였으며 품질개량제(品質改良劑)로서 glyceryl monostearate 및 sodium polycrylate의 첨가는 이들 제품의 texture 특성(特性)을 향상시켰다. 2) 면대(麵帶)와 건면(乾麵)의 texture 특성치(特性値)인 견고성(堅固性), 응집성(凝集性), gumminess는 보리가루나 고구마가루의 배합에 의하여 떨어졌으나 첨가제의 효과가 뚜렷하였고 면대(麵帶)는 견고성(堅固性) 6.2 이상, gumminess 430 이상, 건면(乾麵)은 견고성(堅固性) 6.8 이상이 필요하였다. 3) 조리면(調理麵)에 있어서 밀가루 대체(代替)와 첨가제의 사용은 texture 특성(特性)을 떨어뜨리는 경향이 있었으며 조리특성(調理特性)으로 보아 보리가루는 60%까지, 고구마가루는 40%까지 대체(代替)할 수 있었다. 4) 조리면(調理麵)의 색깔, 맛, texture에 관한 관능(官能)시험에서 20% 대체복합분(代替複合粉)은 밀가루와 5% 수준에서 유의차(有意差)가 없었으며 품질저하(品質低下)는 주로 착색(着色)에 기인(起因)하였다.

  • PDF

반다공성 재질에 유류된 지문의 CA 훈증 후 p-dimethylaminobenzealdehyde(DMAB) 형광시약 적용 시 표면적과 주변 온도, 기압이 형광착색에 미치는 효과에 관한 연구 (Enhancement of cyanoacrylate-developed marks using p-dimethylaminobenzaldehyde (DMAB) on semi-porous surfaces and analysis of the influence factors on fluorescence intensity)

  • 유제설;김주하
    • 분석과학
    • /
    • 제27권4호
    • /
    • pp.187-195
    • /
    • 2014
  • 잠재지문이 유류된 배경과 지문과의 대조비를 높이기 위한 증강작업 시에 잠재지문의 훼손을 최소화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본 실험은 반다공성 표면에 유류된 잠재지문을 시아노아크릴레이트 훈증 처리 후 p-dimethylaminobenzealdehyde (DMAB) 증강시약을 사용하여 그 효과를 확인하고, 증강효과에 미치는 환경적 요인을 분석한 것이다. 실험에 사용된 모든 지문은 시아노아크릴레이트 진공 훈증 후 실온에서 24 시간 건조해 사용하였다. 시아노아크릴레이트 훈증물의 DMAB 형광염색을 위해 표면적, 온도, 기압을 달리한 조건에서 12 시간 단위로 48 시간 동안 승화시켰다. 표면적 영향에 대한 실험에서 물질의 입자크기와 용기의 크기는 DMAB의 승화속도와 형광세기에 영향을 주었다. 또한 무용매접촉법을 적용한 DMAB 형광염색은 36 시간 승화 후 최대 형광세기를 보였고, 일정 표면적 이상에서는 형광세기에 미치는 영향이 저조하였다. 온도에 관한 실험에서 DMAB는 $20^{\circ}C$의 실온에서 가장 잘 승화하였고, 최대형광 세기를 얻을 수 있는 승화시간이 48 시간에서 36 시간으로 단축되었다. 또한 $30^{\circ}C$이상의 상온에서는 오히려 적정 형광세기를 나타내는 승화시간이 길어지고, 형광세기에 미치는 영향도 미약했다. 또한 압력에 관한 실험에서는 압력의 변화가 매우 크지 않는 이상 형광세기가 비진공상태에서의 형광세기보다 약했다.

동중국해에 출현한 대서양날개멸(Bregmaceros atlanticus Geode et Bean) 자치어의 형태 발달 (Morphological Development of Larvae and Juveniles of Codlets, Bregmaceros atlanticus in the East China Sea)

  • 이은경;유재명;김성;이태원;공용학
    • Ocean and Polar Research
    • /
    • 제26권3호
    • /
    • pp.425-431
    • /
    • 2004
  • 본 연구는 2001년 5월과 2002년 9월에 동중국해에서 채집한 대서양날개멸(Bregmaceros atlanticus) 자치어의 형태를 관찰하였다. 채집된 대서양날개멸 자치어는 총 47개체로 체장은 $2.41{\sim}17.18mm$였다. 채집된 표본은 발육단계별로 자어기와 치어기로 나눌 수 있었다. 체장 2.41mm 자어는 난황이 완전히 흡수되어 있고, 두부가 크며 흑색소포는 두정부와 가슴지느러미 기저부, 몸통 뒷부분과 척색 말단의 밑부분에 크고 진하게 분포하였다. 체장 2.54mm 이상의 자어는 몸이 가늘고 길게 측편되었다. 5.00mm 이상에서 두부의 크기가 현저히 작아지고, 체고도 낮아졌으며, 흑색소포는 몸 전체에 분포하였다. 제 1등지느러미(후두골줄기)는 4.01mm부터 관찰되었고, 체장이 커짐에 따라 제 1등지느러미도 성장하였으나 제2등지느러미의 시작부분에는 미치지 못했다 체장 9.82mm이상의 개체들은 모든 지느러미 줄기가 정수에 달하여 치어기로 이행하였다. 흑색소포가 몸 전체에 조밀하게 분포하였으며, 등지느러미와 뒷지느러미 뒷부분 그리고 꼬리지느러미 시작부분이 진하게 착색되었다.

Crude MDI의 정제 및 Monomeric MDI의 안정화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tabilization of Monomeric MDI and Purification of Crude MDI)

  • 정종원;김영철;박남국
    • 공업화학
    • /
    • 제7권3호
    • /
    • pp.588-596
    • /
    • 1996
  • Crude MDI를 정제하여 고순도의 Momeric MDI와 반응성이 양호한 Polymeric MDI를 얻기 위해 1차 및 2차 증류의 최적조건을 검토하였으며, Monomeric MDI의 변색 및 중합방지를 위하여 첨가제 사용 실험을 하였다. 또한 Polymeric MDI는 표준 Polyol system으로 우레탄 반응을 유도하여 반응성을 조사하였다. 1차 증류에서 증류분이 약 32wt%일 때 4,4'-MDI의 함량이 98wt% 이상으로 유지되었으며, 2차 증류에서는 2,4'-MDI의 혼입을 최소화하기 위해 초류분을 약 20wt% 분리하고 잔류분으로 약 9wt%를 남겼다. 환류비를 2이상으로 유지했을 때 최종 증류분인 Monomeric MDI의 응고점은 $38.4^{\circ}C$ 이상으로 나타났다. Monomeric MDI는 매우 불안정하여 착색이 용이하고 자체 중합체를 형성한다. 따라서 이를 방지하기 위해 페놀계 1차 산화방지제 및 인계 2차 산화방지제, UV 흡수제, Hindered amine계 광안정제를 조합하여 사용하고, 중합방지제로는 Benzoyl chloride를 사용한 결과 45일 경과 후에도 색은 APHA 20이하이고, Dimer 생성율은 0.36wt% 이하로 유지되었다.

  • PDF

생선의 Allergen성 판정과 Allergen성을 감소시키는 가공학적 방법 (Evaluation of Allergenicity for Fish and Method for Reduction of Allergenicity by Food Technological Treatment)

  • 이부웅;장운기;오동규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114-124
    • /
    • 2000
  • In this research the results showed that Evans blue stain causes vascular permeation at antibody injection site by the passive cutaneous anaphylaxis(PCA) screening of octpus minor so we concluded. Octopus minor causes allergy. Psedosciaena Polyactis, Raja Kenojei, Metapenaeus joyneri also showed allergenicity. Microwave and autoclaving appeared to reduced allergenicity(up to 99%) during the technological treatment processing. On the other hand, UV light didn't seem to change the protein structure of allergens affect the allergenicity. Therefore, the technological treatment processing of fish such as canning and microwave would possibly reduce the allergenicity. Among the ultrafiltration fraction of Octopus minor, Pseudosciaena Polyactis, Raja Kenojei and Metapenaeus joyneri, those fraction over 100,000 contained allergen and those under 100,000 and when screening allergenic fish went through 10,000∼100,000 ultrafiltration, only the fraction of over 100,000 showed the anaphylactis activity for PCA. However whether screening fish would cause anaphylaxis in human or not is questionable. The future clinical experiment will verify this result with clinical experiment patients. 본 연구 결과로 낙지의 PCA검색으로써 항체주사 부위에 Evan's Blue 착색으로 인하여 vascular permation이 일어나 allergynicity 반응이 인정되므로 낙지는 allergy가 있다고 할 수 있다. 조기, 홍어, 새우도 역시 allergenicity성이 나타난 것을 볼 수 있었다. 또한 공정 중 microwave와 autoclaving은 4가지 수산식품 낙지, 조기, 홍어, 새우의 allergenicity를 현저히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자외선은 단백질로 구성된 allergen의 구조는 크게 변화시키지 못하는 것으로 보여진 것을 알 수 있다. 그러므로 생선의 가공방법은 통조림 가공이나 microwave 처리가 allergenicity성을 감소시킬 수 있는 것으로 보여진다. 낙지, 조기, 홍어, 새우의 한외여과 fraction중 고분자인 100,000이상에서만 allergenicity가 나타났다. 따라서 이 allergen들의 분자량은 100,000 이상으로 추정되며 검색된 allergynicity 생선을 10,000∼100,000으로 한외여과 하였을 때 100,000 이상의 fraction에서만 PCA에 의해 allergenicity가 있는 것으로 인정되었다. 그러나 이 검색된 생선이 anaphylaxis가 인간에게서까지도 반응할지는 의문이다. 이 연구의 결과는 차후 임상실험환자에 의하여 최종 검증되어야 한다.

  • PDF

응집 처리한 Alcaligenes eutrophus 균체로부터 poly(3-hydroxybutyrate)의 회수 (Recovery of Poly(3-hydroxybutyrate) from the Coagulated Cells of Alcaligenes eutrophus.)

  • 조경숙;홍은화;류희욱;장용근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26권3호
    • /
    • pp.206-212
    • /
    • 1998
  • 생분해성 고분자인 poly(3-hydroxybutyrate, PHB)를 생산하는 Alcaligenes eutrophus의 배양액에 응집제를 첨가하여 회수한 균체로부터 용매추출법 에 의한 PHB 회수와 순도에 미치는 응집제의 영향을 조사하였다. 응집제는 Al계 3종류와 Fe계 2종류를 사용하였다. 균체로부터 PHB는 30%로 희석한 hypochlorite 용액과 chloloform 혼합용액을 이용하여 추출 회수하였다. Al계 응집제들의 경우, 응집제의 첨가량이 1,000 mg-Al/L 이하의 농도에서는 PHB 회수율이 응집제를 첨가하지 않은 경우의 회수율(82%)과 거의 비슷하였고, 1000 mg-Al/L 이상의 농도에서는 응집제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PHB 회수율이 감소하였다. PHB 추출에 사용한 hypochlorite 용액의 농도를 50%로 증가시키면, 응집제를 2000 mg-Al/L까지 높은 농도로 첨가하여도 90% 이상의 PHB 회수율을 얻을 수 있었다. 회수된 PHB의 순도는 응집제의 종류와 용량에 관계없이 98% 이상으로 매우 높았다. Fe계 응집제의 경우, 응집제의 용량은 PHB의 회수율에 거의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나, 회수된 PHB중의 잔류 Fe의 농도가 높았고, 잔류 Fe에 의해 정제한 PHB가 엷은 적색으로 착색되었다. 세포의 회수와 PHB의 정제 공정에 적합한 응집제로는 응집효율, 잔류 Al과 Fe 및 정제 PHB의 색상 등을 고려할 때 Fe계 보다는 Al계 응집제가 적합하였다.

  • PDF

Streptococcus mutans biofilm에 대한 광역동 치료의 최적조건에 관한 연구 (Optimum Treatment Parameters for Photodynamic Antimicrobial Chemotherapy on Streptococcus mutans Biofilms)

  • 최서정;박호원;이주현;서현우;이시영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42권2호
    • /
    • pp.151-157
    • /
    • 2015
  • 할로겐 광중합기를 광원으로, 치면세균막 착색제인 erythrosine을 광감각제로 사용하여 S. mutans biofilm에 대한 광역동 치료를 시행할 때의 최적조건을 알아보기 위해서 erythrosine의 농도와 광조사 시간 및 광감각제의 접촉시간에 따른 광역동 치료의 효과를 비교하였다. erythrosine의 농도를 0, 10, 20, 40, $80{\mu}M$로 변화시킨 결과 농도가 증가할수록 항균효과가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40{\mu}M$$80{\mu}M$의 두 군에서 통계적 유의성이 나타났다. 광 조사 시간을 0, 5, 15, 30, 60, 75초로 변화시킨 결과 조사 시간이 길어질수록 항균효과가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30초, 60초, 75초의 세 군에서 통계적 유의성이 나타났다. erythrosine 처리시간을 0분, 1분, 2분30초, 5분으로 변화시킨 결과 erythrosine과의 접촉시간이 늘어날수록 항균효과가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2분30초 군과 5분 군에서 통계적 유의성을 보였다. 이상의 결과로 광감각제로 사용한 erythrosine의 농도를 $20-40{\mu}M$, 광원으로 사용한 할로겐 광중합기의 광 조사시간을 30초 이상, 광감각제인 erythrosine을 2분30초 이상 처리하여 사용하는 것이 치아우식 예방을 위한 광역동 치료에 효과적임을 알 수 있다.

LED diffuser용 green color 유백유리에 있어서 산화철 함량에 따른 특성 (Characteristics of green colored opal glass with contents of iron oxide for LED light diffuser)

  • 구현우;임태영;유설;김진호;이미재;황종희;신동욱
    • 한국결정성장학회지
    • /
    • 제24권3호
    • /
    • pp.120-126
    • /
    • 2014
  • LED 조명등의 내구성 문제를 개선할 목적으로 폴리카보네이트 광확산판 소재를 대체하기 위한 반투명 녹색 컬러유백유리를 제조하였다. 녹색 컬러유백유리의 원료로는 유백제로서 인산칼슘을, 착색제로서 산화철을 사용하였고, $1550^{\circ}C$에서 용융하였다. 그 결과로서 LED 조명등의 광확산판으로서 90 % 이상의 높은 헤이즈 값과 1 %의 낮은 평행광 투과율을 가짐에 따라 직사광에 의한 눈부심이 없어 일반 컬러유리에 비해 매우 우수한 광학특성을 나타내는 반투명의 녹색 컬러유백유리가 얻어졌다. 따라서 녹색 컬러유백유리가 높은 열저항성과 내구성을 가지고 폴리카보네이트 광확산판을 대체하기 위한 LED 조명등의 광확산판 소재로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모델식품을 이용한 맨드라미 적색색소의 식품학적 평가 (Evaluation of Red Pigment of Cockscomb Flower in Model Food Systems as a Natural Food Colorant)

  • 이상열;신용철;변시명;조재선;조숙자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18권5호
    • /
    • pp.389-392
    • /
    • 1986
  • 맨드라미 붉은 색소의 식품학적 평가를 위하여 모델식품으로 젤리포(중간수분 식품), 캔디(고상식품) 및 샤베트(냉동식품)를 선택하여 맨드라미 붉은 색소로서 빨갛게 착색시켰다. 저장중 색도변화는 Hunter 색도계, Lovibond tintometer 및 분광광도로서 측정 분석하였고 아울러 색도관능 시험도 행하였다. 실험 결과로서 맨드라미 붉은 색소는 특정한 조건의 식품; 수분 활성도가 낮은 식품 및 냉동 식품에 성공적으로 활용할 수 있음을 알았다. 각 측정기기 사이에서 얻은 실험 결과는 밀접한 상관 관계가 존재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