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집괴

검색결과 152건 처리시간 0.025초

Hordein 분석을 통한 보리 국가목록등재품종의 품종식별 (Hordein Fingerprinting for Cultivar Discrimination in National List of Barley)

  • 소은희;고은별;최수정;이종호;송인호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49권3호
    • /
    • pp.256-260
    • /
    • 2004
  • 보리 국가목록등재 48품종의 hordein 밴드패턴의 다양성을 보고 이러한 hordein 밴드패턴을 D/B화하여 기존(참고)품종으로 관리, 활용하면서 품종구별 및 출원품종과 비교될 대조품종의 선별 가능성에 대하여 검토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보리 48품종의 hordein SDS-PAGE 결과, 총 22개의 hordein polypeptide밴드를 읽을 수 있었으며 다양한 15종류 의 hordein 밴드패턴을 볼 수 있었다. Hordein 밴드패턴에 따라 48품종을 집괴분석한 결과, 전체 유사도지수 0.54∼1.00 범위에서 3개군으로 분류되었고 주로 보리의 조성에 따라 분류되었다. Hordein polypeptide 밴드패턴 자체가 보리품종의 형태적 특성을 나타내는 유전적거리와 반드시 비례하는 것은 아니므로 현재의 UPOV관점과 마찬가지로 품종보호권 설정에 직접적인 근거를 제공할 순 없다고 판단되었지만 hordein polypeptide 밴드패턴 그 자체를 신품종의 구별성에 대한 보완적 자료로 이용할 수 있으리라 사료되었다.

핵심 Microsatellite 마커를 이용한 한국 콩 품종에 대한 Fingerprinting 분석 (DNA fingerprinting analysis for soybean (Glycine max) varieties in Korea using a core set of microsatellite marker)

  • 권용삼
    • Journal of Plant Biotechnology
    • /
    • 제43권4호
    • /
    • pp.457-465
    • /
    • 2016
  • 핵심 microsatellite 마커를 활용하여 우리나라에서 품종보호출원 및 등록된 콩 148 품종에 대한 DNA 프로파일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한 다음 유전적 유사도 분석을 통한 품종 식별력 정도를 조사하였다. 콩 148품종을 120개의 microsatellite 마커로 검정하고 밴드의 패턴이 명확하고 다형성 정도가 높은 핵심 마커 16개의 대립유전자의 수는 6 ~ 28개로 나타났고 평균 대립유전자의 수는 12.75개였다. PIC 값은 0.753 ~ 0.951 사이에 분포하였고 평균값은 0.863으로 아주 높았다. 콩 148 품종에 대하여 Jaccard 방법에 따라 유전적 유사도를 설정한 다음 비가중 산술평균결합에 의해 집괴분석하여 계통도를 작성하였을 때, 콩의 품종 유형 및 품종 육성 계보에 따라 5개의 대그룹으로 나누어졌으며 모든 품종이 식별이 가능하였다. 본 연구에서 콩 품종식별용 핵심 microsatellite는 품종보호출원 품종의 구별성, 균일성, 안정성의 확인, 품종진 위성과 관련된 종자분쟁, 종자 순도 관리에 매우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Phytophthora capsici의 유전적 특성 분석을 위한 Repetitive DNA Probe의 개발 (Development of Repetitive DNA Probes for Genetic Analysis of Phytophthora capsici)

  • 송정영;김홍기
    • 한국균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66-72
    • /
    • 2002
  • Phytophthora capsici 집단의 유전적 특성 분석용 DNA marker를 선발하고자 HindIII로 처리된 P. capsici 95CY3119 균주의 genomic DNA library를 임의로 cloning 시킨 후 southern blot 분석을 실시하여 선발된 clone들의 특성을 조사하였다. Probe로 사용하기 위해 선발된 clone 내에 삽입된 DNA 단편들은 HindIII로 처리된 P. capsici 95CY3119의 genomic DNA와 특이적으로 강하게 반응했다. 조사된 probe 중 PC9은 HindIII로 처리된 국내 P. capsici 균주들의 genomic DNA와 Southern 분석시 많은 밴드를 형성하였으며, 분리포장 단위별 균주들 간에는 물론 동일 포장 분리균주들 간에도 그 차이를 나타냈다. 그 밴드 양상을 기초로 집괴분석을 실시한 결과, 각 균주의 유전적 다양성이 잘 나타났다. Prove PC22는 다른 Phytophthora속과 Pythium속 균주들의 genomic DNA들과의 Southern hybridization에서는 반응을 나타내지 않았지만 특이적으로 P. capsici 균주들과는 다수의 밴드를 형성하였다. 이들 P. capsici 종특이적 DNA probe들은 추후 국내 및 전세계에 분포하는 P. capsici 집단의 유전적 다양성 분석 및 종동정에 유용한 marker로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동해 강릉 연안의 사질 퇴적물에 서식하는 대형 저서무척추동물의 분포양상 (Distributional Pattern of Macrobenthic Invertebrates on the Shallow Subtidal Sandy Bottoms near Kangrung, East Coast of Korea)

  • 제종길;이재학;임현식;최진우
    • 한국해양학회지:바다
    • /
    • 제5권4호
    • /
    • pp.346-356
    • /
    • 2000
  • 본 연구는 강릉 연안역의 사질퇴적상에 서식하는 저서동물군집의 분포양상을 보기 위해 1993년 4월부터 1994년 2월까지 계절별로 조사하였다. 전체 출현종수는 봄철에 109종으로 가장 많았고, 겨울철에 70종으로 가장 적었다. 다모류가 종수와 개체수에 있어서 가장 우점한 동물군이었고, 생물량에 있어서는 연체동물이 가장 우점한 동물군이었다. 전체 대형저서동물의 서식밀도는 여름철에 1,995개체/m$^2$로 최대치를 보였고,가을철에 631개체/m$^2$로서 최소치를 보였다. 조사해역의 주요 우점종은 전 계절에 걸쳐 점하였던 다모류의 Spiophanes bombyx를 포함하여 Prionospio sp., 연체동물의 Alvenius ojianus, 갑각류의 Wecomedon sp.와 Urothoidae spp.였다. 집괴분석 결과 조사해역의 저서동물은 크게 수심이 얕은 연안역과 수심이 깊은 외해역으로 구분되어져 수심에 의해 군집조성이 달라짐을 보였다. 그러나 가을철과 겨울철의 경우에는 남대천과 군성강 등 소규모 하천 주변해역에서는 외곽의 해역과는 군집조성이 차이를 보였다.

  • PDF

다양한 환경 조건의 하수처리시설 반응조 내 세균 및 고세균 군집 (Bacterial- and Archaeal Communities in Variously Environmental Conditioned Basins of Several Wastewater Treatment Plants)

  • 조순자;하달수;이영옥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0권8호
    • /
    • pp.674-684
    • /
    • 2020
  • 하수의 종류(생활하수, 축산폐수) 및 다양한 처리 공정에 따른 미생물군집구조를 비교하기 위해 A2O공법으로 운영되는 생활하수처리시설(안심·서부·신천)의 10개 생물학적 반응조와 축산폐수처리시설의 활성슬러지를 채취해 DNA 유전체를 추출한 후 세균은 프라이머 27F/518R, 고세균의 경우, 프라이머 Arch519F/A958R를 이용해 유전체를 증폭시켰고 그 염기서열을 Roche 454 GS-FLX Titanium을 이용한 pyrosequencing 법으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 생활하수와 축산폐수에 따른 미생물 군집구조의 차이는 컸지만 A2O공법에 따른 산소 유무 등의 환경 변화와 관련된 군집구조의 변화는 크지 않았다. 혐기조 및 무산소조 반응조들에서만 분석한 고세균 군집 결과에서는 동일 하수처리시설의 반응조들의 고세군군집들끼리만 모이는 하수처리시설별 집괴현상을 나타냈다. 세균다양성 및 종 풍부도가 높은 서부처리시설이 다른 시설보다 더 높은 질소 및 인 제거율을 나타냈다.

재조합 DNA probe에 의한 Fusarium oxysporum 분화형간의 분류 및 유전적 변이 분석 (Classification and Genetic Variation Analysis Among Formae Speciales of Fusarium oxysporum by Using Recombinant DNA Probes)

  • 김영태;김홍기
    • 한국균학회지
    • /
    • 제25권4호통권83호
    • /
    • pp.362-368
    • /
    • 1997
  • 재조합 DNA probe를 이용하여 국내 Fusarium oxysporum 분화형간의 분류 가능성을 탐색하고 그들의 유전적 변이를 분석하였다. F. oxysporum f. sp. lycopersici, cucumerinum, fragariae, garlic, sesami 등 5종의 분화형을 공시하여 RFLP 분석을 실시하였다. Repetitive copy clone인 세종의 재조합 클론 pFC46, pFC52, pFC57을 이용하여 HindIII로 처리한 F. oxysporum의 genomic DNA에 대해 southern hybridization한 결과 나타난 밴드의 양상은 분화형에 따라 차이가 명확히 밝혀져 이들을 이용한 분류가 가능하였다. 또한 RFLP 분석 결과 f. sp. sesami는 다른 분화형에 비해 다소 변이가 심했으나 다른 분화형들은 변이가 거의 없어 f. sp. sesami를 제외한 f. sp. lycopersici 등 4종의 Fusarium oxysporum 분화형의 균주들은 채집 지역에 관계없이 대체로 유전적으로 안정되어 있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Hybridization밴드의 양상에 기초하여 유전적 유연관계를 집괴 분석한 결과 각 분화형별로 유사도가 매우 높게 별도의 유사군을 형성하였다.

  • PDF

국내 포도나무 혹병(Agrobacterium vitis) 균주의 유전적 다양성 (Genetic Diversity of Agrobacterium vitis Strains in Korea)

  • 김종군;최재을;강희완
    • 식물병연구
    • /
    • 제13권3호
    • /
    • pp.137-144
    • /
    • 2007
  • 거봉 포도나무에 혹병을 일으키는 A. vitis 균주간의 DNA 다양성 평가를 하기 위하여 12종류의 URP primer 적용 성을 조사한 결과 URP1F, URP2F, URP2R, URP4R, URP17R primer가 균주 간 DNA 다형성검정에 유용하였다. 국내외에서 분리한 59 A. vitis 균주를 URP-PCR 증폭하였던 바 균주간의 매우 다양한 PCR 다형성 밴드를 형성 하였으며 12 strain type으로 나눌 수 있었으며 거봉포도로부터 분리된 A. vitis 균주는 4 strain type의 비교적 단순한 유전적 다양성으로 나타났으나, 거봉이외의 다른 포도 품종이나 국외에서 도입된 A. vitis 균주는 8 strain type의 많은 유전적 다양성을 보여 거봉품종 유래 국내 균주와는 PCR 다형성 type에 있어 차이점을 보였다. URP-PCR 다형성 밴드를 집괴 분석하여 UPGMA dendrogram을 작성한 결과 7개의 대 Group으로 분류할 수 있었으며, 그룹 간에는 $62{\sim}100$%까지 다양한 유전적 유사성이 나타났다.

삼천포시 근해역의 다모류군집 (Polychaetous community is the Coastal Zone Off Samchunpo, Southern Sea of Korea)

  • 신현출;고철환
    • 한국해양학회지
    • /
    • 제28권4호
    • /
    • pp.305-312
    • /
    • 1993
  • 본 연구는 남해안 삼천포시 근해역의 저서다모류군집의 특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1989년 9월 10월에 수행되었다. 다모류는 전체저서동물중 개체수에 있어서 61.7%를 점 하는 가장 우점하는 동물군으로서 총 50종이 채집되었으며, 평균서식밀도는 112 indiv.m/SUP -2/이었다. 대체로 삼천포항과 사량상도 부근에서 출현종수가 많았고 서 식밀도가 높았다. 우점하는 다모류는 Terebellides horikoshii (17.1%), Lumbrineris longifoli (14.7%), Mediomastus sp. (11.5%) 등이었다. 집괴분석 결과 조사지역은 사 량도를 중심으로 내만역과 외만역으로 구분되었다. 내만역에는 Terebellides Hetermastus 군집, 외만역에는 Lumbrineris-Mediomastus 군집이 형성되었다. Terebellides-Heteromastus 군집보다 Lumbrineris-Mediomastus 군집에서 다양한 종이 높은 밀도도 서식하였다. 특히 Heteromastus sp. 는 Terebellides-Heteromastus 군집 에서만, Mediomastus sp.는 Lumbrineris-Mediomastus 군집 출현하였다.

  • PDF

상관적 방법과 수리군락분류학적 방법에 의한 경북 북부지방 산지의 삼림식생의 식물사회학적 연구 (Phytosociological Study of the Forest Vegetation in the Mountainous Areas of the Northern Part, Kyungpook Province using the Methodology of Physiognomy and Numerical Syntaxonomy)

  • 송종석;노광수;정화숙;송승달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22권5호
    • /
    • pp.241-254
    • /
    • 1999
  • 상관적, 수리군락분류학적 방법에 의해 경상북도 북부지역의 일월산, 청량산, 미림산, 홍림산, 영등산, 아기산, 607고지 일대에 분포하는 삼림식생을 분류, 기슬하였다. 우점도에 기본을 두어 교목층의 종조합에 따른 상관적 의미의 분류에서는 크게 세 군(소나무군, 굴참나무군, 신갈나무군)에 통합되는 10군락이 구분되었다. 이 상관적 의미의 분류를 몇가지 군으로 통합할 때, 그것은 cluster분석의 결과와 잘 일치하였다. 그러나 TWINSPAN에 의한 분류에서는 크게 두 군락으로 구분되었으며, 상관적 의미에 있어서 굴참나무군과 소나무군의 차이는 뚜렷하게 나타나지 않았다. DCA서열은 TWINSPAN의 분류 결과와 잘 조화되었으며, 몇가지 환경경도를 설명하였다. 이상의 결과는 교목층의 종조합이 군락분류에 의미가 있음을 암시하였다. 또 위의 군락분류를 ZM식물사회학의 기존 군락체계와 비교, 고찰하였다.

  • PDF

독도 암반조간대 무척추동물군집의 공간적 분포 (Spatial Distribution of Marine Invertebrate Communities on Intertidal Rocky Shore in Dokdo)

  • 차재훈;김미경
    • 환경생물
    • /
    • 제30권2호
    • /
    • pp.143-150
    • /
    • 2012
  • 독도 조간대 해양무척추동물의 공간적인 분포를 밝히기 위해서 2009년부터 2011년까지 10차례에 걸쳐 현장조사를 실시하였다. Bray-Curtis 유사도를 이용한 집괴분석을 통하여 3개의 군집을 밝혔으며, 첫 번째 군집은 자갈해변군집으로 이동성 복족류인 보말고둥과 깜장각시고둥 그리고 밤고둥이 우점종으로 나타났으며, 두 번째 군집은 잔잔한 암반해안으로 보말고둥, 큰뱀고둥 그리고 군소가 우점종으로 나타났으며, 마지막 군집은 두 종의 고착형 절지동물인 검은큰따개비와 거북손이 우점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 군집은 독도 암반조간대의 기질의 종류와 수리역학적인 조건에 의해 결정되었으며, 환경적인 조건이 해양생물의 생물다양성을 유지하고 증가시키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