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질적간호

검색결과 693건 처리시간 0.021초

전문직 간호의 질적보장 (Professional Nursing Quality Assurance)

  • Kim, Hea-Sook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22권2호
    • /
    • pp.248-259
    • /
    • 1992
  • 질적 보장은 전문직 종사자에 의하여 수혜받는 대상자를 보호하기 위하여 전적으로 필요한 프로그램이다. 이러한 질적보장을 통하여 전문직의 자율성과 책임을 튼튼히 할 수 있는 의무는 전문직 종사자 모두의 관심사가 되어야 한다. 미국에 있어서 질적 간호에 대한 관심은 이제 새로운 이유가 아니다. Beyers(1988)는 건강체계 지도자 사이에 가장 중요한 문제로 강조하는 것이 수혜자의 이용의 용이성(Access), 숫가(Cost) 그리고 질적인 제공(Quality)이 라고 피력 하였다. 미국 건강사업 평가자와 조정자(Regulator)들은 질(Quality)을 위한 자율적인 프로그램에 많은 에너지를 투입하여 전반적인 건강사업 즉 의료계의 질보장, 더 나아가서는 간호의 질을 향상 시키기 위한 많은 프로그램을 분석 연구한다. 이 논문은 간호에 있어서 질적 보장을 위한 내용으로 주요점은 질적 보장에 사용되는 용어, 역사적 배경, 질적 보장을 강조하는 이유, 질적 보장제도의 개발, 질 사정(euali assessment)과 질적 보장에 있어서 간호 전문직 개입을 차례대로 설명하였다. 구미의 경우 1970년대부터 간호직에 있어서는 질적보장제도개발에 우선순위를 두게되어 미 간호협회에서는 Professional Standards Review Organizations (PSRO)에 근거하여 간호실무를 위한 표준을 내어놓았다. 질적보장을 위한 평가방법으로 구조, 과정, 결과 그리고 수혜자가 간호계획을 세우는데 사정에 참여하는 방법 등 4가지를 간략하게 설명하였다. 질적 보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전문직과 공공의료기간이 서로 협동체가 되어 중추역할을 해야함을 강조하고 이렇게 서로 협력하므로써만이 비로서 우리의 목적을 성취할 수 있다고 생각된다.구 등이 이용된다. $^{166}$ Ho, $^{198}$ Au, $^{32}$P, $^{90}$ Y, $^{169}$ Er, $^{186}$ Rc, $^{131}$ I, $^{211}$ At 등 의 방사성 핵종의 교질, 미소구 또는 단세포군 항체표지 형태로 직접 종양내 또는 공동이나 체강에 투여하는 치료법이 있다. 류마치스 관절염의 슬관절에 $^{165}$ Dy colloid를 주사하는 $^{166}$ Ho-MAA도 활발히 이용되고 있다. and computed groundwater levels. 본 논문에서는 가파른 산사면에서 산사태의 발생을 예측하기 위한 수문학적 인 지하수 흐름 모델을 개발하였다. 이 모델은 물리적인 개념에 기본하였으며, Lumped-parameter를 이용하였다. 개발된 지하수 흐름 모델은 두 모델을 조합하여 구성되어 있으며, 비포화대 흐름을 위해서는 수정된 abcd 모델을, 포화대 흐름에 대해서는 시간 지체 효과를 고려할 수 있는 선형 저수지 모델을 이용하였다. 지하수 흐름 모델은 토층의 두께, 산사면의 경사각, 포화투수계수, 잠재 증발산 량과 같은 불확실한 상수들과 a, b, c, 그리고 K와 같은 자유모델변수들을 가진다. 자유모델변수들은 유입-유출 자료들로부터 평가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해서 본 논문에서는 Gauss-Newton 방법을 이용한 Bard 알고리즘을 사용하였다. 서울 구로구 시흥동 산사태 발생 지역의 산사면에 대하여 개발된 모델을 적용하여 예제 해석을 수행함으로써, 지하수 흐름 모델이 산사태 발생

  • PDF

간호사가 지각한 질적간호에 대한 내용분석 (Content Analysis of Quality Nursing Care Perceived by Nurses)

  • 권성복;지성애;백경선;유수옥;주숙남;김복자;이혜숙;안옥희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31권3호
    • /
    • pp.380-390
    • /
    • 2001
  • Purpose: This study was designed to explore the perceptions of quality nursing care among nurses. Method: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content analysis.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19 nurses who worked at diverse clinical areas in 8 general and university hospitals with over 400 beds. Result: 1. The attributes of quality nursing care were categorized into 7 hierarchies in the order of 'caring' (40.65%), 'specialty' (29.03%), 'nurse attainments' (15.48%), 'patient- centered nursing management' (6.45%), 'sincerity' (5.16%), 'kindness' (2.58%), 'satisfaction' (0.65%). 2. The concept of quality nursing care were defined as 'giving a satisfaction both to patients and nurses through patient-centered nursing management with specialty and caring in the ground of the kindness and sincerity'. Conclusion: Based on there findings, we suggest that the study results should be used for development of a quality assurance tool in nursing practice, patient care in hospital setting, education of nurses and nursing students. In addition, further repeated studies need to be conducted.

  • PDF

Nursing Management - Based on the role of head nurse

  • Kim Moon Sil
    • 대한간호
    • /
    • 제25권4호통권137호
    • /
    • pp.62-74
    • /
    • 1986
  • 한국경제 수준의 향상과 보험제도의 도입으로 병원을 찾는 대상자의 수가 증가하게 되었다. 아울러 저렴한 보험숫자가 병원슷가가 병원의 경영난을 초래하게 되므로 병원주는 이를 극복하기 위한 과학적이고 체계적인 병원관리에 관심을 갖게 되었다. 특히 간호부(과)에서도 목적 지향적인 계획과 업무수행에 관심을 갖게 되어 그 관리체계나 간호의 질이 향상하기 시작하였다. 간호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한 간호관리란 그 내용이 방대하므로 본 논문에서는 수간호원의 역할에 중점을 두었다. 즉 간호의 질 향상을 위한 평가 중 소급평가로써 퇴원환자 기록지 감사, 퇴원예정환자면접 및 병실 집담회에 관한 내용과 동시 평가로써 환자 기록지 감사 및 환자 면접 내용에 관해서 논하였다. 또한 인력관리를 위해서는 간호원-환자간의 관계, 간호원-의사간의 관계, 직무평가, 업무평가 및 간호인력 활용에 관해서 미국과 한국의 차이점을 제시하였다. 결론적으로 한국의 간호관리는 병원표준화 심사실시 및 간호원의 계속적인 노력으로 많은 향상을 보았으나 아직까지는 간호업무 수행절차에 관한 평가에 불가하므로 목적 지향적인 업무체계화와 한국병원상황에 적합한 평가도구의 틀개발과 질적간호를 위한 적정간호인력의 확보에 관한 노력이 계속되져야 한다고 본다.

  • PDF

간호사의 재난간호 융복합경험에 관한 질적 메타합성 연구 (Disasters Nursing Convergence Experiences of Nurse's : A Meta-synthesis Study)

  • 정현숙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8권7호
    • /
    • pp.331-337
    • /
    • 2020
  •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 간호사의 재난간호 경험을 탐색한 질적연구의 결과를 메타합성 하여 그 현상에 관한 이해를 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연구방법은 질적 메타합성연구로, Thomas와 Harden의 방법으로 분석하였는데 이는 개별 연구에 관한 질평가 탐색, 분석을 위한 자료 추출, 결과를 메타합성 하는 단계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5가지 합성 주제로 나타났다. 1)불안과 두려움으로 시작되는 재난간호, 2)재난간호 과정 : 고립과 단절 속에 외로움과 부담감 마저 느끼는 분위기, 3)재난간호 과정 : 열악하고 다양한 부족한 환경 속에 처함, 4) 재난간호 과정 : 소진되지만 버티고 극복해냄. 5)재난간호 이후 : 사명감과 자긍심을 넘어선 발전을 위한 도약. 따라서 본 연구는 향후 간호사의 재해간호 프로그램 및 교육 프로그램 개발과 적용에 유용한 기초자료가 되리라 본다.

질적간호를 위한 환자사정도구 사용의 실증적 연구 -신체적 상태를 중심으로- (An Empirical Study on Using the Patient Assessment Tool for Quality of Nursing Care)

  • 이향련;김광주;김귀분
    • 대한간호
    • /
    • 제23권1호통권124호
    • /
    • pp.36-56
    • /
    • 1984
  •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he patient who was hospitalized for more than 5$\~$7 days in the medical unit (including I.C.U.), the general surgery unit, the neurosurgery unit, or the orthopedic surgery unit of the K. University Medical Cent

  • PDF

간호대학생의 병원미생물학 수강 경험: 질적 내용분석 (Experience in Microbiology Course of Nursing Students: Qualitative Content Analysis)

  • 한미영;김미숙
    • Journal of Korean Biological Nursing Science
    • /
    • 제20권4호
    • /
    • pp.244-251
    • /
    • 2018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nursing students' experience in microbiology courses. Methods: Data were gathered through 4 focus group interviews and 1 in-depth personal interview, by 19 nursing students who attended microbiology courses. Data were collected June 15-July 20, 2018. Conventional content analysis was used for data analysis. Results: The result of this study revealed 4 categories: "facing the challenge", "types of learning", "lack of learning motivation", "acquiring knowledge of infection". Conclusion: Findings suggest that it is important to identify nursing students' perspectives, to improve microbiology curriculum in the educational process. Also, it is necessary to connect continuously, between educational and practical environments, for effective management of microbiology courses.

질적 간호의 결과적 지표 (Outcome Indicators of Quality Nursing Care)

  • 지성애
    • 간호행정학회지
    • /
    • 제3권1호
    • /
    • pp.107-118
    • /
    • 1997
  • This study was designed to obtain basic data for development of evaluation tool which would be needed to measure the outcome of general quality nursing care of individual patien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and classify the outcome indicators of quality nursing care. The 29 articles of quality nursing care and outcome measures were selected coveniently, and analyzed to classify the outcome indicators of quality nursing care using open coding method.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Quality nursing care was defined as level of excellence of nursing care to achieve good patient outcome. 2. The 6 domains of which were health status, satisfaction, self care, patient progress and prognosis, and compliance were identified in outcome indicators of quality nursing care 3. Seven indicators of health status domain which were perceived health status, quality of life, well-being, daily activities, physical-physiological status, psychoemotional status, and social role functioning were identified. 4. Two indicators of satifaction domain which were patient satisfaction and family satisfaction were identified. 5. Three indicators of self care domain which were skill, knowledge, and home management were identified. 6. Seven indicators of patient progress and prognosis domain which were change of clinical status, resolution of nursing diagnosis and problem, days of stay, dicahrge state, recovery state, survival were identified. 7. compliance with therapeutic direction compliance was identified as an indicator of compliance domain. 8. It was sugested that studies for development of evaluation tools for outcomes of quality nursing the results of this study could be executed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