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질소산화물 농도

검색결과 170건 처리시간 0.026초

시멘트산업에서 배출되는 NOx의 환경영향 예비실태조사 (A pilot study of NOx concentration emitted from cement industry)

  • 김윤신;이태형;이철민;문정숙;이지철;전형진
    • 한국대기환경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대기환경학회 2003년도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235-236
    • /
    • 2003
  • 시멘트 업계에서 필연적으로 다량 배출되는 질소산화물(NOx)의 법적 규제치는 350ppm(산소 농도 13% 기준)이나 대부분의 시멘트 사업장에서 기준치를 초과하여 배출되고 있는 실정이다. 시멘트 산업은 석회소성로의 고온운전과 다량의 연료사용 등 시멘트 제조의 공정특성상 타 산업에 비해 많은 질소산화물을 배출하여 왔으나, 사업장 주변지역 환경에 질소산화물이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가 전혀 이루어지지 않아 이에 대한 자료가 전무한 실정에 있다. (중략)

  • PDF

선박용 디젤엔진에서 이단지연분사에 따른 배기 배출물 저감에 관한 실험 연구 (Experimental Study on Reduction of Emissions for Marine Diesel Engines with a Double Post Injection)

  • 이원주;최재혁;조권회
    • Journal of Advanced Marine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제39권4호
    • /
    • pp.418-424
    • /
    • 2015
  • 국제해사기구 해양환경보호위원회는 2016년 1월 1일부터 배출통제지역을 통항하는 선박에 대해서 Tier III를 적용하여 질소산화물 배출 규제를 더욱 강화하기로 결정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질소산화물 배출 저감을 위한 연구의 일환으로 한국해양대학교 실습선 한바다호를 이용하여 실제 운항 중에 주기관을 단일분사와 이단지연분사의 두 가지 조건으로 운전하여 부하별 배기가스, 실린더 압력, 연료소모량 등을 계측하였다. 그 결과 두 가지 운전조건 모두 엔진의 부하가 증가할수록 질소산화물과 이산화탄소 배출량도 함께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일산화탄소의 농도는 감소하였다. 또한 이단지연분사 시에는 최대폭발압력이 약 10% 이상 감소하였고, 이로 인해 배기가스 내 질소산화물의 농도는 약 25~30% 정도 감소하였다. 하지만 질소산화물 배출 저감의 긍정적인 결과에 반하여 연료소비율이 약 3~5% 정도 증가하는 상반관계가 확인되었다.

선박 발전기관용 SCR 촉매의 셀 밀도차에 따른 NOx 저감 특성 (NOx Reduction Characteristics of Ship Power Generator Engine SCR Catalysts according to Cell Density Difference)

  • 임경선;임명환
    • 해양환경안전학회지
    • /
    • 제28권7호
    • /
    • pp.1209-1215
    • /
    • 2022
  • 선택적 촉매 환원법(SCR)은 질소산화물(NOx)을 저감하는 매우 효율적인 방법으로 알려져 있으며 발생된 질소산화물(NOx)을 질소(N2)와 수증기(H2O)로 환원시키는데 촉매 작용을 한다. 질소산화물(NOx) 저감 성능을 결정하는 요소 중 하나인 촉매는 셀 밀도가 증가하면 촉매효율이 증가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실습선 세계로호에 설치되어 있는 발전 기관의 배기가스 조건을 모사한 실험장치를 통하여 100CPSI(60Cell)촉매의 부하에 따른 질소산화물(NOx) 저감 성능을 확인하고 세계로호에 설치되어 있는 25.8CPSI(30Cell) 촉매의 기존 연구 자료와의 비교를 통해, 셀 밀도가 질소산화물(NOx)의 저감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실험용 촉매는 셀 밀도만 변화를 주었고 형태는 벌집형(honeycomb), 조성물질은 V2O5-WO3-TiO2를 동일하게 사용하여 제작하였다. 실험결과 100CPSI(60Cell) 촉매의 질소산화물(NOx) 농도 저감율은 평균적으로 88.5%이며 IMO specific NOx 배출량은 0.99g/kwh로 IMO Tier III NOx 배출기준을 만족하였다. 25.8CPSI(30Cell) 촉매의 경우, 질소산화물(NOx) 농도 저감율은 78%, IMO specific NOx 배출량은 2.00g/kwh 이었다 두 촉매의 NOx 농도 저감율과 IMO specific NOx 배출량을 비교하였을 때, 100CPSI(60Cell)촉매가 25.8CPSI(30Cell) 촉매보다, NOx 농도 저감율은 10.5% 높고 IMO specific NOx 배출량은 약 2배 적은 것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촉매의 셀 밀도를 높임으로써 효율적인 탈질효과를 기대할 수 있으며 향후 실선 테스트를 통하여 검증한다면 촉매의 부피 저감을 통한 제작 비용을 줄이고 협소한 선박 기관실을 효율적으로 사용하기 위한 실용적인 자료로서 기대된다.

촉매 공정의 배기가스 질소산화물 저감 성능에 미치는 오존주입의 영향 (Effect of Ozone Injection into Exhaust Gas on Catalytic Reduction of Nitrogen Oxides)

  • 윤은영;목영선;신동남;고동준;김경태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27권3호
    • /
    • pp.330-336
    • /
    • 2005
  • 본 연구에서는 촉매공정의 질소산화물 제거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배기가스에 오존을 주입하였다. 배기가스에 오존을 주입하면 배기가스에 포함되어 있는 NO의 일부가 $NO_2$로 빠르게 산화되며, NO와 $NO_2$ 혼합물은 촉매반응기에서 $N_2$로 환원된다. 오존의 발생을 위해 유전체 장벽 방전 반응기가 사용되었고 촉매로는 상용 $V_2O_5-WO_3/TiO_2$ 촉매가 사용되었다. 질소산화물의 환원제는 암모니아였다. 촉매반응기 전단의 $NO_2$ 함량은 오존 주입량에 의해 변화될 수 있었으며, $NO_2$ 함량 변화가 촉매의 질소산화물 저감성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살펴보았다. $NO_2$ 함량이 촉매반응기의 성능에 미치는 영향은 다양한 조건에서 수행되었는데, 주요 변수로 선정한 것은 반응온도, 초기 $NO_x$ 농도, 암모니아 농도, 그리고 배기가스 유량이었다. 오존주입에 의한 $NO_2$ 함량 증가는 촉매공정의 질소산화물 제거 성능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었으며, 이러한 성능 향상 효과는 반응온도가 낮을수록 두드러졌다. 본 연구의 오존 주입 방법은 기존 촉매 공정의 개선에 크게 유용할 것으로 판단된다.

대향분출염(對向噴出焰) 연소방법(燃燒方法)에 의(依)한 NOx 생성저감(生成低減)과 연소특성(燃燒特性) 연구(硏究)( II ) (A Study on NOx Pollutant Reduction and Combustion Characteristics of Impinging-Jet-Flame Combustion Process( II ))

  • 정인석;조경국
    • 한국자동차공학회논문집
    • /
    • 제2권2호
    • /
    • pp.124-131
    • /
    • 1994
  • 자동차엔진의 연소과정에 상사하는 밀폐정적연소실을 주연소실과 대향 2개 부연소실로 분할하고 오리피스로 연결하였다. 이때 부연소실로부터 주연소실로 분출하는 대향분출염 연소에 의한 질소산화물 배출저감특성을 연소방식, 연소실형상 그리고 연료종류를 변경한 수종의 실험으로 조사하였다. 질소산화물농도, 연소실 최고압력, 화염전파과정의 고속도슐리렌사진 가시화를 수행한 결과, 대향분출염 연소방식을 도입하연 연소실의 중앙부공간이 상대적으로 넓은 경우에 고부하운전과 동시에 질소산화물의 배출량도 저감할 수 있었다. 그러나 연료의 종류는 질소산화물생성에 매우 영향이 적었다.

  • PDF

디젤엔진의 NOx 배출 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for NOx Discharge Characteristics of Diesel Engines)

  • 남정길;최주열
    • Journal of Advanced Marine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제27권3호
    • /
    • pp.373-380
    • /
    • 2003
  • According to the NOx regulations of annex Vi to IMO MARPOL 73/78, all diesel engines with a power output of more than 130 kW should be delivered so as to comply with the IMO speed dependent NOx limit. It is inevitable to adopt this regulations for marine engines Therefore, most of diesel engines which are being currently built should be designed and tested in accordance with the NOx technical code In this study, NOx concentrations of 4 type engines were measured with portable NOx measuring system recommended by ISO-8178. As the results NOx concentrations of each engine by variation of engine speed and engine load were visualized Also these results can be utilized for the basic design and development of diesel engine for NOx reduction.

파일럿 규모 반응기에서 Hybrid SNCR-SCR 공정의 질소산화물 저감 특성 (DeNOx Characteristics of Hybrid SNCR-SCR Process in a Pilot Scale Flow Reactor)

  • 엄원현;유경선;김성준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49권1호
    • /
    • pp.89-94
    • /
    • 2011
  • 하이브리드 SNCR-SCR 공정의 질소산화물 저감특성을 파일럿 규모의 흐름반응기를 이용하여 고찰하였다. SNCR 공정의 질소산화물 저감효율은 $970^{\circ}C$에서 80% 수준이었으며 하이브리드 SNCR-SCR 공정은 NSR = 2.0, $940{^{\circ}C}$에서 92%의 저감율을 보였다. SNCR 단일 공정과 비교할 때, 하이브리드 SNCR-SCR 공정은 $940^{\circ}C$보다 낮은 저온영역에서 보다 효과적이었다. 암모니아 유출농도는 비교적 높은 공간속도조건에서 1 ppm 이하로 유지되었으며 요구되는 촉매양은 SCR 단일공정과 비교할 때 2/3 수준으로 감소하였다. 질소산화물 저감을 위한 하이브리드 SNCR-SCR 공정의 주요인자는 SNCR 공정에 분사되는 요소용액의 질소산화물에 대한 선택도와 생성되는 암모니아 농도로 조사되었다.

열병합발전소 질소산화물 확산에 관한 전산유체역학 simulation 연구 (Study on Computational Fluid Dynamics(CFD) simulation for NOx dispersion around combined heat and power plant)

  • 김지현;박영구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2권1호
    • /
    • pp.62-71
    • /
    • 2015
  • 세계적으로 급증하는 전력수요에 대처하고, $CO_2$ 배출을 줄이고자 인구가 밀집되어 있는 도심지에 복합화력 발전소가 건설되고 있다. 환경규제가 계속적으로 강화됨에 따라 NOx 배출량을 줄이고자 저 NOx 버너, SCR 등 여러 가지 설비들을 설치하고 있다. 본 연구는 경기도 고양시 소재의 일산열병합발전소 1개소에서 배출되는 질소산화물을 TMS를 이용하여 배출계수를 산정하여 이를 전산유체동역학(CFD)에 적용하여 질소산화물의 거동을 살펴보고, 현장 실측 결과와 비교 검토하였다. 실측 기간 중 측정 시간에 따른 주 풍향 풍속의 순간적인 변화로 인해 실측 결과와 CFD 모델링 결과의 차이가 나타날 수 있으나, 모델링 결과와 실측 결과는 대부분 예측지점에서 유사한 농도로 나타났다. 향후 주변농도를 고려한 기여농도를 산출하여 실측농도에 가까운 예측농도 도출이 가능 할 것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