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질량측정

검색결과 918건 처리시간 0.024초

흰쥐에서 내측 편도핵의 손상이 염산 자극에 의한 췌장 외분비에 비치는 영향 (Effect of Damage to Medial Amygdaloid Nucleus on Pancreatic Exocrine Secretion Stimulated by Hydrochloric Acid in the Rat)

  • 김명석;윤신희;한상준;김미혜
    • The Korean Journal of Physiology
    • /
    • 제22권2호
    • /
    • pp.273-280
    • /
    • 1988
  • 본 연구는 십이지장내 생리 식염수와 0.01 N HCl을 주입했을때 내측 편도핵의 손상이 췌액 분비와 혈장 secretin 농도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하여 44마리의 수컷 흰쥐를 사용하였다. 그 중 21마리의 흰쥐는 뇌정위 고정장치에 의해 내측 편도핵에 삽입된 전극을 통해 양측성으로 내측 편도핵을 파괴한 내측 편도핵 손상군이고, 나머지 23마리는 편도핵의 손상없이 동일한 수술 조작만을 가한 수술 대조군이다. urethan 마취후에 십이지장 근위부에 위치한 관을 통해 십이지장 내강에 0.01 N HCl 또는 생리 식염수(0.9% NaCl)를 0.18ml/min 속도로 주입하면서 20분간 췌액을 채취하였다. 췌액 체취후 복대동맥에서 채혈하여 혈장 secretin농도를 측정하였다. 내측 편도핵 손상군에서 십이지장내 생리 식염수는 물론 0.01 N HCl 주입에 의한 췌액량은 수술 대조군의 것보다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내측 편도핵 손상군의 췌액내 단백질량은 생리 식염수 주입시 수술대조군의 것보다 유의하게 감소하였고, 0.01 N HCI 주입시에는 유의하지는 않지만 감소한 경향을 보였다. 그러나 기초상태 및 염산 자극에 의한 혈장 secretin 농도는 내측 편도핵의 손상에 의하여 아무런 영향을 받지 않았다. 따라서 내측 편도핵은 기초 상태 및 염산 자극에 의한 췌액의 분비에 촉진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생각되나, secretin 분비기전이 이 촉진 영향에 관련되는 것으로는 보이지 않는다.

  • PDF

식물성 압착오일의 흡착제에 따른 항산화 활성 비교 (Comparison of Antioxidant Activity of Vegetable Oil by Using Adsorbents)

  • 구희연;이기영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9권4호
    • /
    • pp.57-62
    • /
    • 2018
  • 본 연구는 국내에서 생산 된 호박씨, 동백씨, 고추씨 그리고 땅콩에서 오일을 압착 추출하여 오일의 정제과정에서 사용되는 흡착제인 활성탄, 산성백토, 백도토를 사용해서, 흡착제 사용에 따른 항산화 활성과 지방산 및 활성성분의 조성을 비교분석했다. 각 오일의 성분 분석 및 흡착제에 따른 변화는 가스마토그래피/질량분석기(GCMS)를 사용하여 분석했고 DPPH 라디컬 소거능과 ABTS 라디컬 소거능 측정을 통해 항산화 활성능력을 비교했다. 흡착제 처리 시, 실험에 사용된 4종의 국내산 식물성 오일에 포함 되어 있는 대부분의 지방산 및 항산화 능에 관여하는 화합물의 양이 감소되는 것을 관찰하였다. 호박씨 오일은 세 종류의 흡착제가 linoleic acid과 erythrodiol 성분을 감소시켰으며, 동백씨 오일의 경우 지방산들이 대체적으로 감소하였으나 산성백토로 정제한 군에서는 vitamin E의 손실이 없었고, 고추씨 오일의 매운 성분에 관여되는 capsaicin 화합물은 산성백토로 정제 시 53.33% 감소되었고, 땅콩 오일의 경우 활성탄을 처리한 군에서 sitosterol 화합물의 손실이 가장 적은 것을 확인 하였다. 항산화 활성은 호박씨 오일(백도토>산성백토>활성탄), 동백씨 오일(산성백토>백도토>활성탄), 고추씨 오일(백도토>산성백토>활성탄) 그리고 땅콩 오일(활성탄>산성백토>백도토)순으로 나타남을 확인하였다.

탄산에틸렌에서의 1-1 전해질의 전기전도도에 관한 연구 (Conductances of 1-1 Electrolytes in Ethylene Carbonate)

  • 김시중;장주환;김진호;강순희
    • 대한화학회지
    • /
    • 제23권4호
    • /
    • pp.237-242
    • /
    • 1979
  • 물아닌 용매이고 비양성자성 용매인 탄산에틸렌에서 NaI, KI, $NH_4I,\;(CH_3)_4NI,\;(C_2H_5)_4NI,\;(C_2H_5)_3NHI,\;(C_2H_5)_2NH_2I,\;(C_2H_5)NH_3I$, NaPic, (Pic피크르산이온) 및 KPic의 전기전도도를 40$^{\circ}C에서 측정하고, Fuoss-Onsager-Skinner식에 의하여 한계당량전도도와 한계이온당량전도도를 구한 결과, $Na^+의 순위로서 용매화현상의 역순위과 일치하며 $(C_2H_5)_4N^+<(C_2H_5)_3NH^+<(CH_3)_4N^+<(C_2H_5)_2NH_2^+<(C_2H_5)NH_3^+ $ 로서 질량이동의 순위와 일치했다. Fuosso-Krauss 식으로 염들의 해리상수를 구한 결과 탐산에틸렌은 이들 염에 대하여 좋은 이온화 용매임을 알았다. 한편 이온들의 Stokes 반지름으로 부터 유효 반지름을 구한 결과 요오드화이온은 분명히 용매화 되었고 테트라알킬암모늄이온과 그의 치환체이온들은 거의 용매화 되어있지 않은것 같다.

  • PDF

키토산-은나노 복합체가 함유된 의치 연성이장재 특성에 관한 연구 (Characterization of tissue conditioner containing chitosan-doped silver nanoparticles)

  • 남기영;이철재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58권4호
    • /
    • pp.275-281
    • /
    • 2020
  • 목적: 의치 연성이장재 적용기간 경과에 따른 물성저하 및 표면거침성이 의치구내염 발생을 야기할 수 있으며 이 논문의 목적은 항균물질인 키토산-은나노 복합체를 환원법으로 합성하고 이것을 연성이장재에 투여 후 그 특성을 평가하는 것이다. 재료 및 방법: 질산은과 키토산 분말로 혼합 정제된 키토산-은나노 복합체를 자외선 가시광선 및 적외선 분광법으로 분석하고 연성이장재 분말에 각각 0(대조군), 1.0, 3.0 및 5.0의 질량 분율로 첨가 후 단량체 용액과 각각 중합하였다. 항균복합체가 첨가된 연성이장재 시편의 특성은 중합완료 24 시간과 7 일 후 미세인장강도, 은 이온 용출 그리고 색조변화 등을 통하여 각각 평가하였다. 결과: 분광분석을 통하여 안정적인 키토산-은나노 복합체의 합성을 확인하였다. 대조군과 비교 시 복합체첨가에 따른 연성이장재의 유의한 인장강도 변화는 나타내지 않았고 (P > .05) 은 이온 용출은 복합체 투여량에 대하여 농도비례적으로 측정되었으며 색조변화량 또한 농도비례적으로 증가되었다 (P < .05). 결론: 키토산-은나노 복합체가 투여된 연성이장재는 적절한 물성과 은 이온 용출 특성을 가진 보철생체재료의 가능성을 도출하였고 임상 적용을 위한 항균실험 및 색조 안정성 등의 연구들이 추후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냉각해수저장법에 의한 정어리의 선도유지 (Effect of Refrigerated Sea Water on Keeping Freshness of Sardine)

  • 조영제;김충곤;이강호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21권3호
    • /
    • pp.177-183
    • /
    • 1988
  • 정어리를 시료어로 하여 빙장법 및 $-1^{\circ}C$ 냉각해수저장법으로 저장하면서 시료어의 염도, K값,VBN, TMA, POV, TBA, 염용성단백질양, $Ca^{2+}-AT-Pase$ 활성 및 어묵의 물성변화 등을 비교 검토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K값, VBN 및 TMA값을 통한 선도저하의 측면에서 살펴보았을 때 빙장법보다 냉각해수저장법이 선도저하 억제효과가 있음을 나타내었다. 2. POV 및 TBA값에 의한 지질산화 측면에서도 냉각해수저장법이 빙장법보다 지질산화의 억제효과가 있음을 나타내었다. 3. 염용성단백질량 및 $Ca^{2+}ATP$ ase 활성을 측정한 단백질 안정성의 측면에서도 냉각해수저장법이 효과적이었다. 4. 균의 증식억제도 냉각해수저장법에서 효과가 있다. 5. 어묵의 물성변화 즉 절곡시험 젤리강도, 보수력에서도 냉각해수저장법이 빙장법보다 효과가 있었다. 이상과 같이 여러가지 지표를 사용하여 실험한 결과, 냉각해수저장법이 빙장법보다 선도유지방법으로 우수함이 입증되었으므로, 현재 주로 사용되고 있는 빙장법을 냉각해수저장법으로 대치한다면 선도저하 때문에 사료로 이용되는 대부분의 정어리를 통조림 원료로 이용 가능하리라고 생각되므로, 정어리자원의 효율적인 이용면에서 국가적 차원에서 시급히 실용화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되며, 이에 대한 기초자료로 활용화되었으면 한다.

  • PDF

천연 추출물을 이용한 화학감작제 후보물질 탐색 (Screening of Chemosensitizer Candidates Using Natural Extracts)

  • 안희정;김지영;이충환;송임숙;유광현
    • 생명과학회지
    • /
    • 제18권9호
    • /
    • pp.1244-1248
    • /
    • 2008
  •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천연 추출물의 P-gp 저해능의 고속 탐색을 통하여 새로운 화학감작제 후보물질을 발굴하고자 하였다. P-gp 활성에 대한 천연 추출물의 저해능은 P-gp이 과발현된 L-MDR1 세포주를 이용하여 대표적인 P-gp 기질 약물인 calcein AM의 세포 내 축적 정도를 측정함으로써 평가하였다. 강황 및 울금은 가장 강력한 P-gp 기능 저해를 나타내었고, 이외에도 Mentrasto, 취호초, 봉출, Rakta chandan, 강진향, 소목, 노회 등의 순으로 P-gp 기능 저해능을 보였다. 이들 추출물에서 P-gp 저해능을 보이는 성분을 확인하기 위하여 LC/MS/MS 분석을 수행한 결과, 기존에 P-gp 활성을 저해한다고 잘 알려진 curcumin 이외에, 다양한 플라보노이드 화합물이 질량 스펙트럼 DB 검색을 통하여 확인되었다. In vitro 연구 결과를 통하여 상기의 천연 추출물이 P-gp 활성을 저해하는 성분을 함유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향후 이들 천연 추출물의 화학감작제 후보물질로의 사용 가능성에 대한 in vivo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공공 화장실에서 사용하는 액체 손세정제의 세균 오염도 조사 (Investigation of Bacterial Contamination of Liquid Soaps Used in Public Restroom)

  • 홍승복
    • 대한임상검사과학회지
    • /
    • 제52권3호
    • /
    • pp.214-220
    • /
    • 2020
  • 세정제로 손을 씻는 것은 감염의 가능성이 있는 미생물을 줄이는 중요한 방법이지만 재사용하는 액체 형 세정제는 외부의 오염에 취약하다. 이 연구의 목적은 공공화장실에서 사용하고 있는 액체 세정제의 오염도를 측정하는 것이다. 저자는 6개 건물에 있는 58개의 공공 화장실에서 액체 형 손 세정제를 조사하였다. 균의 동정은 전통적인 생화학적 검사와 질량분석기를 이용하였으며 항균제 감수성 검사는 Vitek II 시스템을 이용하였다. 58개의 화장실 중 27개(46.55%)의 화장실에서 세정제를 다시 채워 재사용하고 있었으며, 이들 중 25개(92.59%) 화장실의 세정제가 세균에 오염되어 있었다. 오염된 균은 1.6×103 to 2.7×105 CFU/mL의 범위였으며, Serratia liquefaciens (12 균주), Achromobacter xylosoxidans (9 균주), Serratia marcescens (4 균주), Staphylococcus pastueri (1 균주), Achrombacter spanius (1 균주) 순으로 분리되었다. A. xylosoxidans 1 균주를 제외하고 같은 건물에서 분리된 같은 균 종은 동일한 감수성 양상이었다. 결론적으로 오염된 손 세정제로 손을 씻는 것은 공공보건 시설에서 세균의 전파가능성이 높일 수 있으므로 면역이 감소한 환자들이 이용하는 병원의 화장실은 손 세정제를 재사용하는 것을 제한할 필요가 있다.

생체분해성 폴리카프로락톤(PCL) 미세혈관 문합커플러의 사출성형조건에 따른 문합강도 및 in-vitro 분해능 평가 (Evaluation of Anastomotic Strength and in-vitro Degradability with Microvascular Anastomosis Coupler Based on Injection Molding Condition made by Biodegradable Polycaprolactone(PCL))

  • 안근선;한기봉;오승현;박종웅;김철웅
    • 대한기계학회논문집 C: 기술과 교육
    • /
    • 제1권2호
    • /
    • pp.167-177
    • /
    • 2013
  • 최근 미세혈관 문합수술 시 봉합사 대신 기계식 문합커플러를 사용하는 수술례가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기존의 비분해성 문합커플러는 염증반응 뿐만 아니라 수술 후 영구적으로 인체 내에 잔존한다는 한계성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기존 비분해성 문합커플러의 한계성을 극복하기 위해 사출성형공정을 이용한 생분해성 PCL 문합커플러 제작을 채택하였다. 사출성형 공정조건 중 실린더온도와 사출압력에 따른 수축률을 계산하고 이에 따른 문합강도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핀보다는 홀 파트의 수축률 변화가 크게 나타났다. 또한 수축률은 실린더온도가 상승할수록 증가하였으나 반대로 사출압력이 높아질수록 감소하는 경향이 나타났다. PCL 문합 커플러의 in-vitro 분해거동을 12주간 평가한 결과, 수분흡수는 증가하고 분자량은 감소하여 생체분해를 동반한 질량 및 문합강도의 감소를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나 문합강도의 저하 수준이 전임상 요구조건을 충분히 상회하기에 PCL 문합커플러는 미세혈관수술에 적합한 후보재료임을 파악할 수 있었다.

물-결합재비에 따른 알칼리 활성 슬래그 모르타르의 초기 재령 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Early Age Properties of Alkali Activated Slag Mortar According to Water/Binder Ratio)

  • 오상혁;김대왕;이광명
    • 한국건설순환자원학회논문집
    • /
    • 제7권2호
    • /
    • pp.63-69
    • /
    • 2012
  • 최근 시멘트 제조시 발생되는 다량의 이산화탄소로 인한 온난화 현상이 심각한 실정이며, 이러한 환경문제와 자원 고갈 문제를 동시에 해결하기 위해 고로슬래그와 같은 산업부산물을 콘크리트 배합에 사용하는 사례가 증가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고로슬래그는 대체율 20~50%의 범위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으나, 최근에는 고로슬래그를 100% 사용한 알칼리 활성 슬래그 콘크리트의 개발 및 실용화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고강도 알칼리 활성 콘크리트의 구조 부재 적용을 위한 기초 자료를 확보하기 위해 알칼리 활성화 슬래그 모르타르의 초기 재령특성을 조사하였다. 물-결합재비(W/B)는 0.3, 0.4, 0.5의 3수준으로 하고 알칼리 활성화제인 NaOH를 슬래그 질량대비 4%, 8%, 12% 첨가한 AAS 모르타르의 압축강도, 플로우, 초결과 종결, 초음파속도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물-결합재비가 낮을수록 높은 압축강도가 발현되었으나 시간 경과에 따라 플로우가 저하하고 응결시간이 빨라지는 것으로 나타나 고강도 알칼리 활성 콘크리트를 제조하기 위해서는 적절한 유동화제의 사용이 필수적이라고 판단된다.

  • PDF

OG POSS의 첨가가 DGEBA/DDM의 열적, 기계적 물성에 미치는 영향 (Thermal and Mechanical Properties of OG POSS Filled DGEBA/DDM)

  • 최충현;김윤호;사라스 쿠마 사티시 쿠마;김천곤
    • Composites Research
    • /
    • 제30권6호
    • /
    • pp.379-383
    • /
    • 2017
  • 복합재료의 우주환경에서의 사용이 증가하면서 복합재료의 우주환경저항성에 대한 연구가 수행되어 왔다. 우주환경 중에서도 원자 산소는 복합재료의 기지재료와 반응하고 표면을 침식하여 이에 대한 보호는 필수적이다. 본 연구에서는 원자 산소 저항성 향상을 위해 연구되고 있는 POSS(Polyhedral Oligomeric Silsesquioxane)의 하나인 OG POSS(Octaglycidyldimethylsilyl POSS)를 DGEBA/DDM 에폭시에 첨가하여 OG POSS/에폭시 나노복합재료를 제작하였고 OG POSS로 인하여 발생하는 열적, 기계적 물성의 변화를 확인하였다. FT-IR 분광기를 통하여 경화도와 나노복합재료 내의 OG POSS를 확인하였다. 나노복합재료의 열물성을 측정하기 위하여 열중량분석과 시차주사열량분석을 수행한 결과, 초기 질량감소온도가 향상되었고 char yield가 증가하였다. OG POSS의 함량이 증가하면서 Tg는 OG POSS 5 wt.%까지 증가하는 추세를 보였지만, 10 wt.%에서 크게 감소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OG POSS 나노복합재료에 대하여 수행된 인장시험에서는 OG POSS가 10 wt.% 함유되었을 때까지 에폭시의 인장물성을 유지함을 확인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