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진로계획

검색결과 130건 처리시간 0.028초

상담기법 교재에 대한 내용분석 (The Content Analysis of the Textbooks of Counseling Skills and Techniques)

  • 강혜영
    • 한국실천공학교육학회논문지
    • /
    • 제5권1호
    • /
    • pp.91-99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상담전문가 양성에 필수적으로 포함되는 과목인 '상담기법' 교재분석을 통하여 상담기법에 구체적으로 어떤 내용이 포함되어 있으며 심리상담기법과 진로상담기법 교재에서 다루는 내용의 차이는 무엇인지를 비교하고자 하였다. 심리상담기법 교재 5권과 진로상담기법 교재 4권의 내용분석을 통해 나타난 결과를 토대로 다음과 같은 결론을 내릴 수 있었다. 첫째, 심리상담기법 교재와 진로상담기법 교재들은 교재의 특성에 따라 특정 내용을 중점적으로 다루고 있는 경향이 있다. 따라서 상담기법 교육 시, 교재를 선택 할 때 각 교재의 특성을 알고 선택해야 하며 그 교재에서 다루고 있지 않은 내용이 무엇인지 파악하여 이를 보완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는 교재 선택에 따라 중요한 상담기법을 배우지 못할 수도 있다는 점에서 상담전문가와 교육자들이 중요하게 고려해야할 문제이다. 둘째, 심리상담기법 교재와 진로상담기법 교재들이 포함하고 있는 내용 중, 공통된 내용들은 '상담이론에 근거한 기법', '상담관계', '면접 및 상담과정 기술', '내담자 평가와 이해', '다문화주의와 다양성' 등이었다. 반면, 심리상담기법 교재에만 포함된 내용은 '반응기술', '윤리적 문제', '상담자 자기이해와 관리'였고, 진로상담기법 교재에만 포함된 내용은 '진로정보', '진로의사결정과 적응', '진로계획과 실행'에 대한 내용이었다. 심리상담기법 교재에서 가장 비중 있게 다루어지는 내용은 '반응기술'이었고, 진로상담기법 교재에서는 '내담자 평가와 이해'였다.

  • PDF

운동선수부 학생을 위한 진로탐구 프로그램 개발 : 인공지능과 빅데이터 분야를 중심으로 (Development of Career Exploration Program for Student Athletes : Focusing on Artificial Intelligence and Big Data Fields)

  • 유강수
    • 실천공학교육논문지
    • /
    • 제15권2호
    • /
    • pp.401-408
    • /
    • 2023
  • 본 연구에서는 운동선수부 학생들을 위하여 진로탐구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이에 운동선수부를 위한 진로탐구에 대하여 기존 연구를 분석하고 요구사항을 파악하며, 학습 계획을 설계하였다. 이를 토대로 단계별로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또한 기존연구에서 운동선수부 학생을 위한 진로탐구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지 않았으므로 학교 현장에서 연구되었던 기존의 진로탐구 연구를 참고하여 '문제 정의' - '데이터 수집' - '데이터 전처리' - '데이터 분석' - '데이터 시각화' - '모의 분석'의 단계로 구분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운동선수부 학생을 위한 진로탐구에 대한 연구가 더욱 활발해질 것으로 기대한다.

강점기반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보호관찰 청소년의 자아존중감과 진로성숙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the Strengths-Based Group Counseling Program of Self-esteem and Career Maturity of Adolescents on Probation)

  • 허정철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1권1호
    • /
    • pp.639-648
    • /
    • 2021
  • 본 연구의 목적은 강점기반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보호관찰 청소년의 자아존중감과 진로성숙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G광역시 보호관찰 여자청소년을 대상으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으로 각각 15명씩 배치하였다. 본 연구결과 강점기반 집단상담 프로그램은 보호관찰 청소년의 자아존중감 영역가운데 일반적, 사회적 자아존중감 향상에서는 긍정적인 효과가 있었지만, 가정적 자아존중감 향상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했다. 이는 보호관찰 청소년들의 가정적 자아존중감 향상을 위해서는 가정 환경적 개입을 통해 부모와의 긍정적인 관계 회복, 가족기능의 회복을 도와야 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강점기반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보호관찰 청소년의 진로성숙 영역 가운데 계획성, 자기이해, 직업지식, 진로준비 영역에서는 긍정적인 효과를 보였지만, 독립성 영역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못했다. 보호관찰 청소년들이 스스로 자신의 진로에 대해서 관심을 갖고 준비하는 독립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가정과 사회가 더욱더 관심을 갖고 진로지도에 대해 구체적인 지원을 해야 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는 강점기반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보호관찰 청소년의 자아존중감과 진로성숙 향상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앞으로 보호관찰 청소년들이 자신과 타인을 존중할 줄 알며, 자신의 진로에 대해 구체적으로 계획을 세우고, 책임감 있게 행동할 수 있는 성숙한 인간으로 성장하도록 돕기 위해서는 더욱더 강점기반 집단상담 프로그램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며, 대학생 멘토들을 활용해서 보호관찰 청소년들을 도울 수 있는 다양한 방안들을 모색해야 할 것이다.

대학생의 진로정체감이 진로자기조절, 전공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Dysfunctional attitude of College Students on Job-Seeking Anxiety)

  • 김인숙;손민정;박혜경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8권2호
    • /
    • pp.302-312
    • /
    • 2017
  • 우리나라 교육은 대학졸업이 필수적인 것으로 생각하며, 이러한 사회현상으로 진로선택이 매우 중요한 과제이나 청소년이나 청년들은 자신의 진로를 스스로 결정하거나 책임지기에는 매우 부족한 부분이 많다. 그로인해 타인의 영향을 받게 되므로, 대학생들의 진로정체감이 진로자기조절과 전공만족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 알아보았다. 본 연구 대상자는 M전문대 1-3학년 대학생 300명으로 하였다. 조사기간은 2015 .9 .30~10. 7까지 이루어졌다. 연구 결과 첫째, 진로정체감이 진로자기조절에 미치는 영향의 결과는 진로환경조성 18%, 진로몰입의지 27%, 계획 및 점검 18%, 진로피드백 12%, 긍정적사고 22%로 나타났으며 진로몰입의지가 진로정체감에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둘째, 진로정체감은 전공만족도에 어떤 영향이 있는지에 대한 결과는 인식만족, 관계만족, 일반만족이 진로결정에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러한 분석결과 대학생의 진로정체감이 전공이나 직업선택에 갈등을 낮추고, 그들이 전공에 대한 만족감이 높아지면 취업준비나 직업선택에 자신감과 인생목표를 세울 수 있다는 결과가 도출되었다. 그러므로 대학에서는 진로정체감을 높이기 위한 방법으로 직업지도프로그램과 진로상담 등에 대한 개발과 연구가 필요하다.

대학 신입생과 재학생의 진로개발역량 수준 및 교육요구도 차이 분석 (An Analysis on Differences between Freshmen and The Other Students' Career Development Competencies and Educational Needs)

  • 김현순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7권2호
    • /
    • pp.509-520
    • /
    • 2017
  • 본 연구는 대학 신입생과 재학생 간의 진로개발역량 수준 차이 검증을 통해 진로교육의 효과를 확인하고, 두 집단 간의 교육요구도의 차이를 파악하여 대학 진로교육의 효율성을 제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대학생 362명의 교육요구를 조사 분석하였는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진로개발역량의 중요도 인식에서 재학생은 신입생에 비해 경력개발이나 직업정보탐색 역량보다 효과적인 대인관계형성과 긍정적 자아개념형성 역량을 더 중요한 역량으로 평가하였다. 둘째, 진로개발역량의 보유도 차이 비교에서 두 집단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인 영역은 긍정적 자아개념형성 뿐이었다. 셋째, 교육요구도가 가장 높은 역량은 두 집단 모두 경력개발이었으며 그 다음이 직업정보탐색, 경력전환기술, 긍정적 자아개념형성순으로 동일하였다. 그러나 그 다음 순위로 진로계획수립은 신입생에서는 5위였으나 재학생에서는 6위였고, 효과적인 대인관계형성은 신입생에서는 6위였으나 재학생에서는 5위였다. 넷째, The Locus for Focus 모델 분석을 통해, 신입생 때는 긍정적 자아개념형성과 효과적인 대인관계형성의 중요성을 잘 인식하지 못하지만 학년이 올라감에 따라 그 중요성을 깨닫고 교육에 대한 요구가 생긴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 결과는 더 효과적인 진로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교사 희망 학생의 진로 특성: 의사 희망 학생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Career Maturity of Primary and Middle School Students Who are Interested in Teaching Job in Comparison to Those Who are Interested in being a Doctor)

  • 백선희;허은정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8권12호
    • /
    • pp.1-10
    • /
    • 2020
  • 이 연구는 교직 희망 학생의 진로 특성(자기 이해, 진로 계획성, 일에 대한 태도)을 의사직 희망 학생과 비교하여 진단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한국교육종단연구 2013의 초등학교 5학년부터 중학교 2학년까지의 학생 자료를 분석, 교직 희망 학생과 의사직 희망 학생을 추출하고, 이들의 진로 특성을 비교하고 아울러 학년별 추이를 진단하였다. 연구결과, 진로 특성의 하위 영역인 '자기이해'와 '진로계획성', '일에 대한 태도' 측면에서 교직 희망 학생은 의사직 희망 학생에 비해 다소 낮은 점수를 보였다. 또한, 장래 희망 직업에 관계없이 학년이 올라갈수록 진로 특성의 하위 영역의 점수가 낮아지고 있었고, 모든 학년에 걸쳐 의사 희망 학생에 비해 교직 희망 학생의 하위 영역별 점수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중학교 1-2학년에만 측정된 '일에 대한 태도' 점수는 의사 및 교직 희망 학생 모두 다른 하위 영역 점수에 비해 낮게 나타나 중학생들이 바람직한 직업 가치에 기반하여 장래 희망 직업을 정하고 있다고 보기 어려웠다. 연구결과에 바탕하여 바람직한 교직 희망 학생을 유인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해 논하였다.

시설보호 청소년의 셀프리더십과 진로성숙도의 관계: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elf-Leadership and the Level of Career Maturity of the Fostered Adolescents at Youth Shelter : Mediating effect of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 송연주;임선영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0권12호
    • /
    • pp.525-534
    • /
    • 2019
  • 본 연구의 목적은 시설보호 청소년의 진로성숙도에 영향을 미치는 심리적 요인에 대해 살펴보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셀프리더십과 진로성숙도의 관계에서 진로결정 자기효능감과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수도권에 거주하는 시설보호 청소년 총 500명을 대상으로 2018년 4월 17일부터 5월 10일까지 약 3주에 걸쳐 직접 응답받는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최종적으로 487명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자료 분석을 위해 SPSS Statistics 21.0 통계프로그램을 사용하였다. 가설검증을 위한 분석방법으로는 신뢰성 분석을 통해 측정항목의 내적일관성을 검증하였고, 신뢰성이 검증된 변수에 대해 변수 간 상관관계 분석을 실시하였다. 시설보호 청소년의 셀프리더십과 진로성숙도 간의 관계에서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위계적 회귀분석과 Sobel-test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시설보호 청소년의 셀프리더십 전체와 진로성숙도의 관계에서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은 부분매개효과가 있음을 검증하였다. 둘째, 시설보호 청소년의 셀프리더십 중, 행동중심적 전략과 진로성숙도의 관계에서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은 부분매개효과가 있음을 검증하였다. 셋째, 시설보호 청소년의 셀프리더십 중, 자연적보상 전략과 진로성숙도의 관계에서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은 부분매개효과가 있음을 검증하였다. 넷째, 시설보호 청소년의 셀프리더십 중, 건설적사고 전략과 진로성숙도의 관계에서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은 완전매개효과가 있음을 검증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셀프리더십이 진로성숙를 지속적으로 강화시키는 것이 매우 중요하지만 정작 시설보호 청소년의 진로에 대해 고민이나 구체적인 계획의 수립이 매우 약하기 때문에 이에 대해 논의하였고, 연구의 한계와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평생학습사회에서 중등학교의 진로 교육 방향 탐색 (Exploring the Direction of Secondary School Career Education in a Lifelong Learning Society )

  • 윤옥한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9권6호
    • /
    • pp.169-179
    • /
    • 2023
  • 본 연구의 목적은 평생학습사회에서 중등학교의 진로 교육의 방향을 제시하는 것이다. 그 방향으로 첫째, 교사 역량 강화와 전문성 개발이 필요하다. 둘째, 진로 교육 프로그램의 개선 및 다양화가 필요하다. 셋째, 학교 외부적인 협력과 연계 강화 방안으로 진로 교육 전문가와의 협업 및 의사소통 강화가 필요하다. 넷째, 진로 정보망 개선을 통한 온라인 진로 교육 지원이 필요하다. 다섯째, 정책적인 지원 및 제도적 개선방안이 있다. 여섯째, 진로 교육 대상을 전 생애로 확대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중등학교에서의 진로 교육은 변화에 유연하게 대처하고, 위기를 극복하여 기회로 삼으며, 문제를 해결하는 경험을 제공해 주기 위하여 첫째, 학생 개인의 학업과 진로에 관한 구체적인 목표, 계획, 성취 정도를 관리하는 전 생애적 관점의 개별 맞춤형 진로 교육 종합지원이 필요하다. 둘째, 현장 중심의 진로·직업 체험을 확대하여 직무 관련 경험을 충분히 제공하고 현장 전문가의 멘토링을 함께 지원할 필요가 있다. 셋째, 학교와 교육청, 지역사회가 함께하는 진로 교육 네트워크를 구축할 필요가 있다. 넷째, 모든 교원의 진로 교육 역량 강화 지원을 위하여 진로 진학 상담 교사 재교육도 필요하다.

PBL 기반 진로교육 프로그램의 개발 및 효과검증 (The Development and Effectiveness of a PBL Based Career Education Program)

  • 이혜숙;김유미
    • 초등상담연구
    • /
    • 제8권1호
    • /
    • pp.33-50
    • /
    • 2009
  • 본 연구는 학생들이 진로와 관련된 실제적이고 맥락적인 문제를 해결하는 과정에서 자신의 적성, 흥미, 성격 등에 대한 정확한 이해를 하고 다양한 직업세계를 탐구할 수 있는 PBL(문제중심학습) 기반 진로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초등학생들의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는데 목적이 있다. PBL 기반진로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과정은 먼저 아동들의 발달 특성 및 요구분석을 거쳐 과제 분석을 실시하고 수행목표를 진술한 뒤, 이를 토대로 프로그램의 핵심 구성요소인 PBL 문제를 개발하고 그 타당성을 검토하였다. 다음으로 프로그램 각 영역별 문제해결과정 및 결과발표에 대한 평가계획 및 평가도구를 제작하고 온라인 학습공간을 설계하였다. 이렇게 개발된 프로그램은 매 회기 40분 단위의 총 21개 회기로 구성되어 초등학교 5학년에 8주 동안 실시되었고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PBL 기반 진로교육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은 통제집단에 비하여 사후검사에 있어서 진로태도와 진로태도의 하위요인(계획성, 성향, 타협성), 진로능력과 진로능력의 하위요인(직업의 이해능력, 자신의 이해능력, 의사결정능력)이 유의미하게 향상되었다. 또한 검사지 반응 분석 결과의 보완을 위한 내용 분석 결과, 학생들은 프로그램의 각 영역별로 제시되는 PBL 문제를 팀을 이루어 해결하고 발표하는 과정을 통하여 객관적으로 자신을 이해하고 일과 직업세계에 관한 다양하고 질이 있는 지식을 쌓게 되었다고 보고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연구자가 개발한 PBL 기반 진로교육 프로그램은 학생들이 자신에 대한 객관적 이해와 의사결정능력의 향상,모둠원간의 활발한 상고작용과 토의가 이루어지도록 하여 초등학생의 진로태도와 진로능력 의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이는 초등학생의 진로교육에 있어 자율적인 학습태도와 주체의식이 자신의 미래를 탐색하고 개발하고 개척할 수 있는 기회와 경험을 제공하는데 매우 중요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