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직무양

검색결과 238건 처리시간 0.031초

스마트시티 IoT 품질 지표 개발 및 우선순위 도출 (Development of Smart City IoT Data Quality Indicators and Prioritization Focusing on Structured Sensing Data)

  • 양현모;한규보;이정훈
    • 한국빅데이터학회지
    • /
    • 제6권1호
    • /
    • pp.161-178
    • /
    • 2021
  • '빅데이터'는 '21세기 원유'로 비유될 만큼 그 중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스마트시티에서 생성 및 수집되는 IoT 데이터의 경우 데이터의 품질이 공공서비스의 품질과 연관되므로 품질관리에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그러나 ISO/IEC 기관 및 국내/외 여러 기관을 통해 제시된 데이터 품질 지표는 '사용자' 중심에 한정되어 있다는 한계점을 지닌다. 본 연구는 이러한 한계점을 보완하기 위해 공급자 중심의 지표와 그 우선순위를 도출하였다. 공급자 중심의 스마트시티 IoT 데이터 품질 평가지표 3개의 카테고리와 13개의 지표를 도출한 후 AHP 분석을 통하여 지표 카테고리와 데이터 품질 지표의 우선순위를 도출하였고 각 지표의 타당성을 조사하였다. 해당 연구를 통해 센서 데이터를 수집하고 취합하여 전달하는 직무를 수행하는 개인 혹은 기업에게 데이터가 지녀야 하는 기본적인 요건을 제시함으로써 센서 데이터 품질 향상에 기여할 수 있다. 또한 지표 우선순위를 기반으로 데이터 품질관리를 수행하여 품질관리 업무 효율의 향상을 제공할 수 있다.

치위생과 학생의 인성과 대인관계 (Personalities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s of dental hygiene students)

  • 신명숙;황지민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8권2호
    • /
    • pp.91-97
    • /
    • 2022
  • 본 연구는 치위생과 학생을 대상으로 인성과 대인관계가 어느 정도 인지 파악하고자 조사하였다. 조사는 2021년 4월 1일부터 6월 30일까지 진행되었다. 연구결과 인성은 3.42점, 대인관계는 3.46점이었으며, 일반적으로 대인관계 만족도와 대학생활 만족도에서 인성과 대인관계 하위영역 모두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5, p<.001). 임상실습 경험이 있을수록 대인관계 중 친구관계와 교수관계에 대한 점수는 낮았다. 인성의 하위영역 중 도덕성과 사회성이 가장 높은 양의 상관관계(r=.674), 대인관계에서는 친구관계와 교수관계가 높은 상관관계(r=.606)로 분석되었다. 따라서 예비 치과위생사인 치위생과 학생들의 전인적 성장과 치과의료 현장 적응을 위해서는 가장 기본이 되는 인성과 대인관계 함양에 대해 대학에서도 장기적인 전략과 지속적인 교육적 접근이 필요하며, 치과위생사의 직무와 연계한 다양한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될 수 있는 방안이 모색되어야 할 것이다.

국내 비체인 특급 호텔과 외국계 체인 특급 호텔 조리.식음료 종사원의 직무만족도 비교 분석 (Job Satisfaction of Employees in F&B Department: Domestic Independent Deluxe Hotel vs. International Chain Deluxe Hotel)

  • 이소정;명미선;양일선;이해영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42-50
    • /
    • 2006
  •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measure the job satisfaction levels of F&B(Food & Beverage) personnel in hotel by using JDI(Job Descriptive Index), to investigate relationships between demographic variables or job type and job satisfaction, to determine the relative importance of the five facets and to identify the effects of job satisfaction on turnover intention by hotel. Questionnaire was developed and distributed to 660 employees who are currently working in food & beverage department of hotel A (Domestic independent deluxe hotel) and hotel B(international chain deluxe hotel). A total of 498 questionnaires were usable; resulting in 75.5% response rate. The survey was conducted between March 16 to 27, 2000. As a result of analysis on job satisfaction, total JDI score was 136.57 out of full mark 210. Personnel of Hotel A was more satisfied significantly with work itself (p<.01), supervision (p<.001), co-worker (p<.01), total JDI (p<.001) than those of hotel B. Total JDI and work itself score were higher on employees of front of the house than those of back of the house in both of hotels. Payroll was the most important facet on job satisfaction. Finally, work itself (p<.001) and payroll (p<.05)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urnover intention in hotel A and work itself (p<.001), supervision (p<.05) and promotion (p<.05) did in hotel B. The findings indicated the necessity of human resource management apt to the vision of enterprise and the organizational culture.

대전 일부 치위생학과와 간호학과 재학생 및 졸업생의 전공과 업무 만족도 비교 (Comparison of Major and Job Satisfaction of Students and Graduates in Dental Hygiene and Nursing)

  • 백성민;송다혜;박진슬;배정연;정원석;황수정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13권4호
    • /
    • pp.378-385
    • /
    • 2013
  • 본 연구는 2013년 5월 15일부터 2013년 7월 1일까지 대전 K대학교에 3, 4학년에 재학 중인 치위생학과 학생 98명, 간호학과 학생 113명, 대전 지역에서 병의원에서 근무하는 치과위생사 53명, 간호사 53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치위생학과와 간호학과의 재학생 및 졸업자의 전공만족도와 직무만족도를 알아보고 재학생의 직무에 대한 기대수준과 실제 임상에서의 직무만족도를 비교 분석하였다. 1. 치위생학과 재학생과 치과위생사는 간호학과 재학생과 간호사에 비해 학과생활만족도, 사회적 인식 만족도, 진로방향만족도가 유의하게 낮았으나, 업무만족도에 있어서는 간호사에 비해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2. 학과생활만족도에서 치과위생사는 대학 교육과정과 임상 업무와의 연관성에 관한 만족도가 다른 군에 비해 유의하게 낮았다. 3. 사회적 인식 만족도에서 치위생학과 재학생과 치과위생사는 간호학과 재학생과 간호사에 비해 인기학과로 인식, 가족들의 자부심, 직업의 사회적 지위 만족도가 유의하게 낮았으며 치과위생사는 전문영역으로서의 존중, 치위생학과 재학생은 전공추천 부문이 가장 낮았다. 4. 진로방향만족도에서 치위생학과 재학생과 치과위생사는 진로방향에 관한 정보제공 및 상담, 직장의 안정성, 대학원 진학 희망 부문에 있어서 간호학과 재학생과 간호사에 비해 유의하게 낮았다. 5. 업무만족도에서 보수, 근무조건이 가장 불만족한 요인으로 나타났으며 간호사가 다른 군에 비해 보수, 근무조건 만족도가 가장 낮았다. 6. 학과생활만족도, 진로방향만족도, 사회인식만족도, 업무만족도의 상관분석 결과, 업무만족도와 진로방향만족도의 상관계수 값이 가장 높았고 각 변수간의 뚜렷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치과위생사에 대한 사회적 인식, 진로, 대학생활에 대한 만족도는 간호사에 비해 저조하나 실제 업무의 만족도에 있어서는 두 직군간의 차이가 없는 것으로 판단된다. 치위생(학)과가 경쟁력을 갖추기 위해서는 치과위생사에 대한 사회적 인식을 높이기 위한 치위생계의 노력, 치과위생사의 안정된 업무 실현을 위한 치과계의 변화, 실제 임상과 밀접한 대학 교육과정의 개발 및 변화가 필요하다. 또한, 치위생학과 학생 및 졸업자에 대한 진로방향에 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오프라인 상담, 온라인 관련 매체 등이 마련된다면 업무만족도가 증가할 것으로 생각된다.

도주방지용 경찰장구의 기능개선을 위한 진동자 방식(AM) 결속장치 설계 및 응용 (The Design and Application of Vibrator Type(AM) Combination Apparatus for Improving Police Equipment for Fugitive Prevention)

  • 최기남;이선제
    • 융합보안논문지
    • /
    • 제11권2호
    • /
    • pp.13-24
    • /
    • 2011
  • 경찰관은 경찰관직무집행법 제10조의2 제1항에 의거하여 현행범인의 경우와 사형 무기 또는 장기 3년 이상의 징역이나 금고에 해당되는 죄를 범한 범인의 체포 도주의 방지, 자기 또는 타인의 생명 선체에 대한 방호, 공무집행에 대한 항거의 억제를 위하여 필요하다고 인정되는 상당한 이유가 있는 때에는 그 사태를 합리적으로 판단하여 필요한 한도 내에서 범인의 제압, 도주방지의 목적으로 수갑, 포승 동의 경찰장구를 사용한다. 그러나 수갑이나 포승을 착용한 상태의 범인이 도주하는 경우가 발생함으로 인하여, 경찰력의 낭비와 국민의 신뢰를 잃게 되고 직무수행에 막대한 지장을 초래하게 된다. 따라서 현재의 도주방지용 경창 장구의 사용체계에서 법의 개정이니 새로운 장비의 개발 없이 간단한 보조장치에 의한 도주방지용 장구착용 범죄인의 도주를 인지할 수 있게 하는 방법이 개발된다면 경찰직무에 실효성이 있을 것이다. 본 논문은 도주방지용 결속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현재 사용 중인 수갑 포승 등과 같은 결박 도구에 연결하여 수배자 또는 조사 대상자가 송, 수신기가 설치된 출입문 등을 통과할 경우 경보음 등이 발생함에 따라 내부 근무자에게 인지시켜 수갑 포승 착용자가 도주하는 것을 인지하게 하는 도주방지용 결속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논문에서 설계한 도주방지용 결속장치는 결박 도구에 장착되는 연결 장치의 연질 튜브(튜브의 내부에 구비되는 인식 태그)와 튜브의 양 끝단을 상호 결합하여 결속되는 결속부 및 상기 결속부를 상기 튜브의 내부에서 상호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한다. 결속부는 기존에 보급된 수갑 포송 등과 같은 결박 도구에 손쉽게 결속할 수 있도록 하면서 착용자가 쉽게 결속 해제할 수 없도록 결속부를 구비하며, 출입구에 매립된 송수신기를 통과할 때 경보음이 발생할 수 있도록 내부에 인식 태그를 구비하여 결박 도구 착용자들의 도주를 인지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휴대용 송수신기와 함께 사용하면 야외 순찰차에도 사용이 가능하고, 증거물 등 외부로의 불법 유출을 손쉽게 감시하는 데에도 활용 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다. 그리고 이미 지급된 수갑 포승에 보조적으로 사용이 가능하며 가격이 매우 저렴하다. 또한 탈착이 가능하여 휴대자의 사생활 침해의 소지를 없애고, 연질 튜브의 사용으로 착용자가 자해용 도구로 이용할 수 없게 하였으며, A.M Tag를 사용하여 오작동의 결함을 최소화 하였다.

서울시 각 구 보건소간호사의 방문간호 업무수행과 직무만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Performance & Job Satisfaction of Visiting Nurses of district health centers in Seoul)

  • 양미진
    • 가정∙방문간호학회지
    • /
    • 제4권
    • /
    • pp.30-40
    • /
    • 1997
  • The change in health care environment increases the importance of Visiting Nursing Services Program. It has been performed by nurses of district health centers in Seoul since 1991. The Achievement of Visiting Nursing Services Program will be dependent upon their activiti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Performance of Visiting Nurses and Job satisfaction of district health centers in Seoul. Therefore, it was to provide the fundamental data development of Visiting Nursing Services Program. The subjects were 214 Visiting Nurses of district health centers in Seoul. The data was collected by self reporting questionnaire from April 15 to April 30, 1997. Their performances and various supportive factors were measured with the instruments developed by the researcher. Job satisfaction were also measured by the instrument developed by Slavitt et al. (1978) was used. The data were, analyzed by Cronbach Alpha, mean, standard deviation, percentage, t -test, ANOVA Duncan test, Correlation Coefficient,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with SAS program.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The average of budget of Visiting Nursing Services Program of district health centers was 0.9% and the average of visiting nursing services personnel of district health centers was 10.1%. 2. With regard to the job satisfaction of Visiting Nurses the mean score was 2.92 out of 5. While the level of Job prestige / status presented as a mean score of 3.48 which was the largest among the 7 components of job satisfaction, the level of administration was the lowest showing 2.57 scores respectively.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job satisfaction by age, working career of health centers(p<0.01, 0.001). 3. The average of the performance level of Visiting Nurses variables was 2.29; The variable with highest degree of performance was the teaching & consultation, establishment of performance plan, whereas the on with the lowest degree was the directive nursing services. The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in performance level according to age, structure type of visiting nursing services, working career of health centers and working career of visiting nursing services(p<0.05). 4. With regard to the perception of the performance expertise by the Visiting Nurses the mean score was 2.37 : The variable with highest degree of performance expertise was the teaching & consultation, establishment of performance plan, whereas the on with the lowest degree was management of home-environment. The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in performance expertise according to working career outside of health centers(p<0.05). 5. With regard to the perception of the performance necessity by the Visiting Nurses the mean was 2. 40 : the variable with highest degree of performance necessity was the teaching & consultation, establishment of performance plan, whereas the on with the lowest degree was directive nursing services. The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in performance necessity according to working career of visiting nursing services(p<0.05). 6. A positive correlation was found between job satisfaction and performance level(r=.3731, P<0.001). Also, a weak positive correlation was found between the components of job satisfaction and performance level. 7.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revealed that the most powerful predictor was the variance of job satisfaction(R=.3557, $R^2$=.1265). Structure type of visiting nursing services and working career of visiting nursing services accounted for 19.0% of the variance in performance level in nurses. In conclusion, Job satisfaction, Structure type of visiting nursing services and Working career of visiting nursing services variables had influenced on performance level in health centers. Further research is required to confirm these findings.

  • PDF

직영 및 위탁 사업체 급식소 영양사 직무 명세 특성 분석 (Analysis on job specification characteristics of dietitians in self - operated vs. contracted employee foodservice)

  • 양일선;차진아
    • 대한영양사협회학술지
    • /
    • 제3권2호
    • /
    • pp.141-158
    • /
    • 1997
  • The purpose of this study were to investigate the job analysis questionnaire was mailed to 250 dietitians who are members of The Korean dietetic association practice group in self-operated foodservices(hereafter group A)and 250 dietitians who are employed in contracted foodservice companies(hereafter group B). Completed questionnaires were received from 285 dietitians(121 in self-operated, 164 in contracted) ; a response rate of 57%. Statistical data analysis was completed using the SAS/win packages for descriptive analysis, t-test, $x^2$-test,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1. The dietetic training or internship experience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he two sample group(p<.001), but the perceptions of needs for training or internship were not different between and they thought one to six month training would be needed for the job. 2. The question about the time needed in order to perform an expert job was answered significantly differently(p<.001) 3. Group A usually took part in obligatory continuing education and short-term training courses, and group B usually took part in obligatory continuing education and on-the-job trainings, respectively. However both group perceived all three types of educations would be needed for performing the job better. 4. As for the physical demands of the job, a certain degree of accuracy and dexterity for physical tasks and equipment operations was needed for the job. Concerning the mental demands, they answered that their job needs considerable creativity and judgement for planning and performing their tasks was needed. 5. As for responsibilities, group B's responsibilities were heavier than group A’s(p<.001) and need for confidentiality was also greater for group B than for group A(p<.001). 6. As for the supervising role differences, group A rarely received supervision from others and they were given directions only in essential situations, whereas group B was usually supervised when planning and performing their job and tasks, showing significant difference in positions between the two sample groups(p<.001). But each group supervised co-workers and employees in their department. 7. With regard to personal contact, both groups frequently contacted people in their department and other departments at the company and sometimes people outside the company. 8. Concerning the work environment, there were some risks and discomforts in the physical environment an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wo sample groups.

  • PDF

종합병원 행정직의 자아존중감, 피로 및 사회심리적 스트레스가 우울에 미치는 융복합적 영향 분석 (Analysis of Convergent Influence of Self-Esteem, Fatigue and Psychosocial Stress on Depression among General Hospital Administrative Staff)

  • 배상윤;김승희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6권9호
    • /
    • pp.301-307
    • /
    • 2018
  • 종합병원행정직의 자아존중감, 피로 및 사회심리적 스트레스와 우울 간의 관련성을 파악하고 우울에 미치는 융복합적 영향을 조사하였다. 조사대상은 임의로 선정된 J시의 9개 종합병원에서 무작위로 추출된 재직자 201명으로 하였으며, 자료수집은 2017년 7월 3일부터 2017년 7월 29일까지 구조화된 무기명 자기기입식 설문지를 통해 이루어졌다. 우울은 피로의 3가지 하위요인 및 사회심리적 스트레스와는 양의 상관관계를, 자아존중감과는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공분산구조분석 결과, 자아존중감은 피로 및 사회심리적 스트레스보다는 우울에 더 큰 영향을 미쳤으며, 피로 및 사회심리적 스트레스가 높아질수록, 자아존중감이 낮아질수록 우울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볼 때, 종합병원 행정직의 우울과 관련된 자아존중감, 피로 및 사회심리적 스트레스를 관리하는 노력이 필요하다. 분석결과는 종합병원 행정직의 우울을 낮추는 산업보건교육 및 직무관리에 활용이 기대된다. 추후연구에서는 종합병원 행정직의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융복합적인 추가요인에 대한 분석이 필요하다.

치위생(학)과 임상실습 표준화 방안 (Study of Clinical Practice Standardization in Dental Hygiene)

  • 신선정;김미정;양진영;유지수;정아연;신명숙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1-11
    • /
    • 2017
  • 전국 82개의 치위생(학)과의 임상실습 교과목은 필수 교과목으로 운영되고 있으며, 임상실습 기관은 대학병원부터 개인 치과의원까지 범위가 넓고, 실습시간별 교육환경이 달라 임상실습 내용과 평가방법이 다양하게 이루어지고 있으며, 치위생학 교육과정과 실무와의 연계 및 전문성 제고를 위한 임상실습 표준화에 대한 요구도가 높아지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치과위생사 2차 직무기술서와 선행연구에서 파악한 임상실습 항목을 목록화 하여 총 156개 항목 중 74개(47.4%)의 임상실습 내용을 추출하였으며 각 임상실습 내용에 대해 필수 및 선택실습 여부, 실습시기, 활동방법을 구체적으로 제시하였다. 실습일정은 전반부(1주차), 중반부(2~3주차), 후반부(4주차)로 구분하고, 활동방법을 관찰, 준비, 수행, 교육으로 구분하여 임상실습 기관에서 학생들에게 임상실습을 지도할 수 있도록 시범운영을 진행하였다. 각 대학별 교과과정을 기반한 임상실습 내용 배치를 위해서는 임상실습 선수교과목으로 이수한 임상치의학 교과목을 중심으로 임상실습 내용을 구성하도록 하여 단계별로 임상실습 내용을 모두 달성할 수 있도록 해야 하며, 이를 위해서는 교육기관과 임상실습 기관의 유기적인 협력관계뿐 아니라 표준화된 임상실습 프로토콜이 제시되어야 할 필요성이 있겠다.

전남 동부지역 물리치료사의 근무환경 및 직무 만족도 조사연구 (The Study Work Conditions and Job Satisfaction of Physical Therapist in Jeonnam East area)

  • 이형수;송화경;김한나;문신애;박화정;허은영;신인수;양회송;정찬주
    • The Journal of Korean Physical Therapy
    • /
    • 제17권1호
    • /
    • pp.80-95
    • /
    • 2005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research the work condition and the degree of job satisfaction of the physical therapist in Jeonnam East area. This study consisted of 120 physical therapists who were working in hospital located in Jeonnam East area from May, 19 to June 16, 2004. The data for analysis were collected by questionnaire survey. The major statistical methods used for the analysis were factor analysis, $x^2-test$,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summarized result are as follows; 1. As for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urveyed physical therapists was male 61($50.83\%$) and female 59($49.16\%$), majority was 26-30 in age. Most of the respondent worked in local clinics($62.5\%$). Also most of the respondent educated college graduation($68\%$). While the service period less than 12 months accounted for $41.7\%$. 2. The average marks by their job satisfaction factors indicated $56.7\%$ for duty importance, the relation with the patient accounted for $53.3\%$, the mending education for $18.3\%$, the equipment & institution for $20.9\%$. The average job satisfaction score was 3.04. 3. The comparative analysis of job satisfaction and general characteristics among different characteristics of the respondents revealed that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male and female, between 31-40years and 41years or more in ability knowledge & technique satisfaction. 4. The comparative analysis of job satisfaction and work conditions among different characteristics of the respondents revealed that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local clinics and hospital, between yosu&goheung and beolgyo in the mending education satisfaction. 5. Contributing factors for the job satisfaction in Physical therapist were welfare system, the relation with the patient, the service time per patient, mending education, the number of the patient.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