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직무불안

검색결과 94건 처리시간 0.021초

조직 내 정보 기술 스트레스 유발요인들 간의 인과관계에 대한 탐색적 연구 (An Exploratory Research on Causality among Information Technology Stress Creators in Organizations)

  • 임명성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0권8호
    • /
    • pp.1-14
    • /
    • 2012
  • 본 연구는 기존 문헌을 검토하여 기술스트레스 요인들 간의 인과관계를 탐색해보고자 한다. 이러한 시도의 주된 목적은 개인이 느끼거나 겪게 되는 기술스트레스를 동시에 줄일 수 없기 때문에 인과관계 분석을 통해 선행요인을 규명할 경우 전체적인 기술스트레스가 유발되기 전에 초기에 확산을 예방하거나 기술스트레스를 줄이기 위한 최소의 노력으로 최대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기 때문이다. 분석결과 기술의 변화 속도는 직장-가정간 갈등과 음의 방향으로 유의하게 나타났으며, 업무 과부화와는 정의 방향으로 유의하게 나타났다. 또한 기술의 복잡성은 업무 과부화와 직무 불안정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업무 과부화는 직장-가정간 갈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직장-가정간 갈등은 직무 불안정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병원 비정규직 사무직의 차별과 직무만족에 관한 연구 (Association between Discrimination and Job Satisfaction among Non-regular Office Workers in Hospitals)

  • 양종현;장동민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7권5호
    • /
    • pp.249-256
    • /
    • 2019
  • 본 연구는 병원의 비정규직 사무직을 대상으로 차별과 직무만족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2017년 12월 1일부터 12월 31일 사이에 전국의 7개 대학병원에 근무하는 비정규직 사무직 128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분석방법은 일반적 특성에 따른 차별경험, 직무만족 차이분석을 위한 t-검정, ANOVA 분석, 상관관계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적용하였다. 연구의 주요 결과를 보면, 환경불공정성, 지위불공정성 및 고용불안정성이 유의한 음(-)의 영향력을 보였고, 일반적 특성은 성별, 교육, 소득이 유의한 음(-)의 영향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병원의 경우 여성이 남성에 비해 차별이 높고, 직무만족도가 떨어지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에 따라 병원에서는 비정규직 여성을 위한 친화적 직장 분위기를 만들기 위한 적극적인 노력이 필요함을 시사해 주고 있다.

소방공무원의 성인애착과 직무스트레스의 관계에서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 (Mediating Effect of Ego Resilienc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dult Attachment and Job Stress of Fire Officers)

  • 장철인;김상옥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33권3호
    • /
    • pp.154-165
    • /
    • 2019
  • 본 연구는 소방공무원의 성인애착과 직무스트레스의 관계에서 자아탄력성이 매개역할을 하는지에 대해 알아보고, 이를 통해 소방공무원의 직무스트레스 경감을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서울시와 경기도에서 근무하는 현직 소방공무원 48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SPSS 21.0을 활용하여 상관관계분석 및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성인애착의 불안정 애착과 직무 스트레스는 정적 상관관계, 성인애착의 불안정 애착과 자아탄력성을 부적상관관계, 자아탄력성과 직무스트레스는 부적 상관을 보였으며, 성인애착과 자아탄력성은 소방공무원의 직무 스트레스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아탄력성은 성인애착의 불안이 직무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을 완전매개하며, 회피가 직무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을 부분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는 자아탄력성의 중요성과 소방공무원의 직업적 특성을 고려한 자아탄력성을 증진 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개발해야 할 필요성을 시사하며, 소방공무원의 직무스트레스의 수준을 경감시키기 위하여 개인의 심리, 정신적인 요인도 같이 고려하여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건설회사 신입사원 이직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A Study on Factors Influencing Turnover Intention of New Employees in Construction Company)

  • 이현수;김봉기;박문서
    •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 /
    • 제13권2호
    • /
    • pp.137-146
    • /
    • 2012
  • 최근 건설경기 침체로 인하여 주택 미분양 물량이 급증하고 있으며, 자금난을 겪고 있는 건설사가 퇴출되거나 워크아웃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따라 건설사는 경영합리화의 일환으로 급여삭감, 정리해고 등의 방안을 강구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방안은 조직구성원이 조직에 잔류하려는 노력과 함께 직장불안정성, 급여불만족을 높게 지각하면서 새로운 직무기회를 탐색하게 될 것이다. 이직은 조직에 부정적인 결과를 가져오지만 긍정적인 결과도 가져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신입사원의 경우 조기 퇴사할 시 조직에 대한 긍정적인 측면은 거의 없을 것이다. 이러한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신입사원 이직의도에 대해서 철저한 관리가 필요할 것이다. 이에 본 연구는 직장불안정성, 급여만족, 조직몰입도, 취업경쟁력, 업무과다, 직무적합성 등 변수들이 건설회사 신입사원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 중소형 건설회사와 대형 건설회사의 차이점을 비교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일 도시 감정노동자의 직무스트레스와 우울증의 연관성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tress and Depressive Disorder Among Emotional Laborers in a City)

  • 장준호;이유정;이상준;양종철;박태원;박종일;정상근
    • 대한불안의학회지
    • /
    • 제16권1호
    • /
    • pp.24-31
    • /
    • 2020
  • Objective : The purpose of our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tress and depressive disorder among emotional laborers in a city. Methods : A total of 677 emotional laborers living in Jeonju-city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participants completed survey questions regarding demographic characteristics, job stress (using the Korean Occupational Stress Scale-24, KOSS-24), and depression (the Patient Health Questionnaire-9, PHQ-9). Logistic regression was performed to estimate the association between job stress and depression. Results : Our results indicated that 34.9% of the participants had a high risk of total job stress and 21.7% of participants had depression. In the multivariat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female sex (OR=1.66, 95% CI=1.01-2.72) and total job stress (OR=3.84, 95% CI=2.57-5.75) wer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depression after adjusting for confounding factors. Among the subscales of job stress, job demand (OR=3.06, 95% CI=1.99-4.72) and occupational climate (OR=1.88, 95% CI=1.19-2.97) wer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depression. But insufficient job control, interpersonal conflict, job insecurity, the organizational system and lack of rewards were not. Conclusion : Among the emotional laborers, job stress, particularly job demand and occupational climate, were major contributing factors associated with depression. Early screening and preventive strategies focusing on job stress could reduce the impact of depression in emotional laborers.

테크노 스트레스 유발 요인의 인구통계학적 차이에 관한 융복합 연구 (A Convergence Study on the Demographic Differences in Technostressors)

  • 임명성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8권3호
    • /
    • pp.1-13
    • /
    • 2017
  • 본 연구의 목적은 테크노 스트레스 유발요인의 인구통계학적 차이를 살펴보기 위해 수행되었다. 그동안 테크노 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요인에 대한 실증연구가 수행되었으나, 근본적 영향을 미친다고 알려져 있는 인구통계학적 요인들에서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에 대한 연구는 수행되지 않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테크노스트레스 유발요인이 그동안 학자들이 주장해온 인구통계학적인 요인 중에서 성별, 연령, 교육수준, 컴퓨터 사용시간, 직위, 컴퓨터 지식 등에서 각각 어떠한 차이를 나타내는지 실증 분석을 분석하였다. 각각의 인구통계학적 요인을 모두 2개의 요인으로 구분한 후 독립표본 t-검정을 수행하여 차이를 검정하였다. 분석에 사용된 테크노 스트레스 유발요인은 업무과부화, 사생활 침해, 기술복잡성, 기술변화속도 등 5가지이다. 분석결과, 성별과 직위는 기술변화속도에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교육수준에서는 업무과부화가 차이가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령에서는 업무 과부화, 사생활침해, 기술복잡성, 기술변화속도에서 차이가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컴퓨터에 대한 활용 지식에서는 기술복잡성, 직무불안정성, 기술변화속도에서 차이가 존재하였다. 마지막으로 컴퓨터 사용시간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존재하지 않았다.

한국 여성 근로자의 식사문제와 관련된 직무 스트레스 요인 (Occupational Stress Associated with Disordered Eating Problem in Korean Female Employees)

  • 김진우;전상원;김은진;신동원;오강섭;신영철;임세원
    • 대한불안의학회지
    • /
    • 제14권1호
    • /
    • pp.7-13
    • /
    • 2018
  • Objective : To determine the association between occupational stress and disordered eating problem in Korean female employees. Methods : We studied 1,452 female employees who attended mental health screenings. Using the Korean Occupational Stress Scale-Short Form (KOSS-SF) and 26-item Korean version of Eating Attitude Test, occupational stress and disordered eating problem were evaluated, respectively. Sociodemographic and clinical characteristics of those with disordered eating problem were examined.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to determine which subscale of KOSS-SF was associated with disordered eating problem. Results : Disordered eating problem was associated with interpersonal conflict [odds ratio (OR) 1.882, 95% confidence interval (CI) 1.138-3.112] among various kinds of job stresses. Lack of reward (OR 7.164, 95% CI 1.139-45.043) and insufficient job control (OR 1.953, 95% CI 1.119-3.411) were associated with disordered eating problem in the underweight and normal weight group, respectively. Conclusion : There is an association between occupational stress and disordered eating problem among Korean female employees.

직무스트레스 영역의 중복과 우울 및 자살사고 사이의 관계 (Associations of Overlapped Job Stress Components with Depressive Symptoms and Suicidal Idea)

  • 정찬현;임세원;신동원;오강섭;신영철
    • 대한불안의학회지
    • /
    • 제13권1호
    • /
    • pp.32-38
    • /
    • 2017
  • Objective : Several recent studies determined the associations of job stress with depression and suicidal idea, but the association between the number of job stress components and depression remains unclear. In the present study, we investigated the associations of the number of components of job stress with depression and suicidal idea. Methods : We studied 194,226 participants who attended employee health screenings from January to December, 2014, and completely answered all the questionnaires, including the short form of Korean Occupational Stress Scale (KOSS), the Center for Epidemiologic Study-Depression (CES-D) and suicidal idea. The presence of clinical depressive symptoms was defined as a CES-D score of ${\geq}21$. The subjects in the highest quartile of each subscale of KOSS were considered as suffering from each component of job stress. Chisquare tests, t-tests and logistic regressions were performed to compare study outcomes between groups. Results : When we included all seven components of job stress, there was no significant association of the number of the components with depressive symptoms, or suicidal idea. However, the prevalence of depressive symptoms and suicidal idea was increased only in three occupational stress subscales including job demand, job insecurity and occupational climate. When we analyzed only these 3 components of job stress, the number of job stress subscales wa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depressive symptoms and suicidal idea, even after adjustment for sex and age. Conclusion : The number of components of occupational stress was associated with depressive symptoms and suicidal idea, only in the related components.

한국 직장인의 문제성 음주와 관련된 직무 스트레스 요인 (Job Stress Associated with Problematic Alcohol Drinking in Korean Employees)

  • 이다은;임세원;신동원;오강섭;신영철
    • 대한불안의학회지
    • /
    • 제13권1호
    • /
    • pp.39-45
    • /
    • 2017
  • Objective : Korean employees tend to release their stress by alcohol drinking.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association between job stress and problematic drinking in Korean employees. Methods : The study participants were 72,119 employees who attended health screenings and responded to the Alcohol Use Disorder Identification Test-Korea (AUDIT-K), Korean Occupational Stress Scale-Short Form (KOSS-SF), Center for Epidemiologic Study-Depression (CES-D), Beck Anxiety Inventory (BAI) and questionnaire on suicidal ideation and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We investigated the sociodemographic and clinical characteristics of the problematic drinking group ($AUIDT-K{\geq}12$) and used binary logistic regression to determine the impact of job stress on problematic drinking. Results : Age, gender, marital status, education year, sleep duration, obesity, smoking, suicidal ideation, and depression and anxiety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problematic drinking group and normal group. Among the various kinds of job stresses, job insecurity and lack of reward were associated with problematic drinking. Conclusion : The result of this study suggested that certain kinds of job stress might be associated with problematic drinking in Korean employees.

임상간호사의 불안과 감염관리 직무스트레스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Anxiety and Infection Control Job Stress on Depression in Nurses)

  • 류경선;이미향;임효남;이경화
    • 가정간호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5-14
    • /
    • 2023
  • Purpose: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degree of anxiety and depression related to infection control and job stress in clinical nurses during the COVID-19 pandemic. Furthermore, it seeks to identify the effects of depression. Finally, it intends to develop intervention measures to prevent depression in clinical nurses during epidemics of new infectious diseases and prepare basic data for developing educational programs. Methods: Data were collected using a self-report questionnaire survey administered to 208 nurses.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IBM SPSS (Version 26.0) statistics program. Results: The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participant depression, anxiety, and infection control job stress found that depression ha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anxiety (r=.63, p<.001) and infection control work stress (r=.26, p<.001). Anxiety (β=0.60, p<.001) was found to significantly affect participant depression with an explanatory power of 40.2%, confirming that higher anxiety levels induce increased depression. Conclusion: Based on the above results, anxiety is confirmed to be a factor that affects depression. Accordingly, education is required to strengthen individuals' physical and mental capabilities and promote a safe working environment, including providing sufficient personal protective devices and other appropriate gear to defend clinical nurses against outbreaks of emerging infectious diseases at medical institutions and through healthcare policies. Other considerations should include sufficient rest hours and paying additional benefits for nurses caring for patients with severe confirmed COVID-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