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지형 경사

Search Result 1,012, Processing Time 0.026 seconds

GIS-based Analysis of Debris-flow Characteristics in Gangwon-do (GIS를 이용한 강원지역 토석류 특성분석)

  • Ko, Suk Min;Lee, Seung Woo;Yune, Chan Young;Kim, Gi Hong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urveying, Geodesy, Photogrammetry and Cartography
    • /
    • v.31 no.1
    • /
    • pp.57-67
    • /
    • 2013
  • In Korea, there are debris-flow disasters induced by typhoon and localized torrential rainfall annually. There are particularly extensive debris-flow disasters in Gangwon-do because of its geo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the extensive coverage of mountainous region, steep slope, and shallow soil. In this paper, we constructed a GIS database about topological characteristics of debris-flow basin in Gangwon-do by years of field survey. Also, we conducted frequency analysis based on this database with the digital forest type map and the digital soil map. We analyzed frequencies of debris-flow by simple count for topological characteristics, whereas we analyzed by considering an area ratio based on GIS for physiognomic and geologic characteristics. We used slope, aspect, width, depth and destruction shapes for analysis about topological characteristics of debris-flow basin. Also we used attributes of forest physiognomy, diameter, age, and density about physiognomic characteristics, and i n terms of geologic characteristics, we used attributes of drainage class, effective soil depth, subsoil properties, subsoil grave content, erosion class, parent material of soil, and topsoil properties. In consequence, we figured out topographic, forest physiognomic, and geologic characteristics of debris-flow basin. This result is applicable to establish a rational disaster prevention policy as a fundamental information.

Determination of Grid Size to Extract Hydrologic -Topographical Parameters (수문지형인자 추출에 따른 격자크기의 결정)

  • Jeong, In-Ju;Seo, Kyu-Woo;Kim, Ga-Ya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 /
    • v.8 no.3
    • /
    • pp.23-33
    • /
    • 2005
  • Hydrologic-topographical parameters were extracted using GIS. The use of GIS is more effective and exact than the execution by person. And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tract more efficient size of grid for DEM analysis by applying GIS technology. As a result, when the grid size is less than $100m{\times}100m$ the trend of extracted parameters is similar but when the grid size is over $100m{\times}100m$ the trend of extraction parameters is dispersive. Therefore, it is appropriate to extract hydrologic-topographical parameters the grid size of $100m{\times}100m$ in DEM analysis.

  • PDF

Developing Geologic Loss Estimation Factors : Effect of DEM Resolution in Site Classification (지질재해예측 입력인자 개발 : DEM 해상도가 지반분류에 미치는 영향)

  • Kang, Su Young;Kim, Kwang-Hee
    • 한국방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1.02a
    • /
    • pp.161-161
    • /
    • 2011
  • 지진, 산사태, 액상화 등의 지질재해 예측을 위한 지역적 지반특성을 규명하기 위해서 지질도 또는 지형도를 이용하여 간접적인 방법이 사용되기도 한다. DEM에서 추출한 경사도는 지반분류 시 하나의 기준으로 사용되어질 수 있고, 이때 DEM의 해상력에 따라 그 결과가 다르게 산출될 수도 있다. 이번 연구에서는 DEM의 해상력에 따라 우리나라 일부지역의 지반분류 결과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았다. 각기 다른 해상도의 DEM을 적용하여 우리나라 동남부 지형을 경사도 기준으로 지반분류한 후 그 면적차이를 해상도별로 비교한 결과, 지반분류 C 지역의 면적 변화가 가장 뚜렷하였다. $V_s30$ 범위로 분류한 결과에서는 180 m/sec 이하의 지역에서 해상도별로 가장 큰 변화가 있었다. 고해상도에서는 지반분류 B와 E의 지역에서 면적이 저해상도 보다 크게 산출되는 경향이 있었고, 저해상도에서는 지반분류 C와 D 지역의 면적이 고해상도 보다 크게 산출되는 경향이 있었다. 이는 DEM의 해상도가 낮아질수록 각기 다른 지반정보를 함유한 작은 셀이 큰 셀로 만들어지는 과정에서 평균화되는 지반정보가 과대평가 또는 저평가되었기 때문이다. 연구지역 내 시추지역의 지반과 지반분류 결과를 비교하면 해상도별로 78%~52%까지 일치하였고, 고해상도에서 일치율이 더 높았다. 지형의 변화가 심하고 인구나 산업시설이 밀집된 재해 고위험군 지역은 고해상도의 지도를 이용하고, 지형의 변화가 없거나 단단한 지반의 지역은 재해가 상대적으로 작아서 저해상도의 사용으로 자료처리 시간의 효율성을 증대시키는 방안도 생각할 수 있다.

  • PDF

Analysis on Fluvial Geo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based on Past and Present Data (과거 및 현재 자료 기반의 하천지형학적 특성 분석)

  • Lee, Chan Joo;Kim, Ji sung;Jeon, Ho Seong;Kim, Woo Ram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5.05a
    • /
    • pp.110-110
    • /
    • 2015
  • 하천 복원을 위해서는 자연 상태에서의 복원 대상 하천의 거동에 대한 지형학적 정보가 필요하다. 하지만, 국내 하천은 대부분 개수되어 있고, 참조하천으로 활용할만한 하천 역시 찾기가 어려운 실정이다. 이에 대상 하천의 과거 자연 상태에서의 자료와 현재 자료를 병용함으로써 지형학적 분석에 필요한 정보를 얻는 방법을 제시하였으며, 미호천과 내성천을 대상으로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은 강턱하폭, 강턱유량과 하도 패턴(channel pattern), 그리고 하천의 유형과 관계된 지배적인 프로세스에 초점을 맞추었다. 분석 결과 강턱하폭은 강턱유량에 비례하여 증가하였으며, 그 경향성은 기존의 연구 결과와 대체로 일치하였다. 강턱유량과 하도경사간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미호천은 사행하천과 망상하천의 특성을 나타내는 반면, 내성천은 대부분의 구간에서 망상하천 특성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도경사와 하폭수심비 관계를 이용하여 지배적인 프로세스를 분석한 결과 미호천은 사구-연흔의 특성을 나타내고 있으나 내성천은 하류에서는 망상하천 특성이 지배적인 반면, 상류에서는 여울-소 내지는 평하상 특성이 지배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현재와 자연상태로 판단되는 과거 시점의 자료를 병용하여 분석한 결과들은 정비된 하천의 자료를 이용한 분석 결과에 비해 합리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 PDF

Construction site flood damage prediction model development and prototype application (굴착공사 현장 침수피해 예측 모델 개발 및 프로토타입 적용)

  • Eum, Tae Soo;Park, Jong Pyo;Song, Chang Geu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2.05a
    • /
    • pp.244-244
    • /
    • 2022
  • 4차 산업혁명에 따라 유역 및 하천관리 사업, 각종 풍수해 예방사업 분야에 다양한 스마트기술이 도입되고 있으나 건설현장 침수 피해 사고는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다. 굴착공사 현장에서 발생할 수 있는 침수피해를 사전에 예측하기 위해서는 공정별로 변화하는 현장상황을 반영하여 다양한 강우 시나리오를 기반으로 침수 예측 모델링이 선행되어야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2차원 동수역학 모형인 HDM-2D 모형을 기반으로 굴착공사 현장 침수피해 예측 모델을 개발하여 굴착공사현장 침수 예·경보 시스템에 탑재하고자 한다. 침수피해 예측 모델은 천수방정식을 Petrov-Galerkin stabilized scheme 으로 이산화하여 해석하는 수평 2차원 동수역학 흐름해석모델로서 수로 및 지표면 등 다양한 지형 상황에서의 물 흐름을 상세하게 해석할 수 있다. 지형자료 생성 이후 경계조건 부여를 통해 수행되며 침수발생지역의 유속, 수심, 수위를 취득할 수 있다. 배수지나 굴착공사 현장에 2차원 흐름해석을 적용하는 경우 지형의 경사나 배치가 공간에 따라 변화하므로 불연속적인 흐름을 유발하여 모의결과의 계산 오차를 검토해야 한다. 2차원 침수피해 예측 모형의 정확성을 확인하기 위해 지면 돌출부가 있는 흐름 문제와 테스트베드 대상지에 침수해석 모형을 적용하였다. 돌출부 흐름 문제의 경우 돌출부를 지나며 발생하는 유속과 수심 모의 결과를 상용모형과 비교검증 하였으며 테스트베드 대상지역에 침수피해예측모형을 적용했을때 지형 경사에 따른 흐름의 변화와 침수양상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The Selection of Landslide Risk Area Using AHP and Geomorphic Element (지형요소와 AHP를 활용한 산사태취약지역 선정)

  • Min, Byung Keun;Kang, In Joon;Park, Dong Hyun;Kim, Byung Woo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urveying, Geodesy, Photogrammetry and Cartography
    • /
    • v.31 no.6_1
    • /
    • pp.431-437
    • /
    • 2013
  • Landslides are caused by earthquakes or heavy rains. Recently the incidence of landslides has been increased. However, it is impossible to predict the occurrence of landslide exactly.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hat subdivide the classes of elements in the landslide management system by using spatial analysis technique and AHP method. The existing landslide management system is only comprised of weighted value the slope elements without weighted value about the slop direction elements. For the accuracy improvement in landslide occurrence point, weighted value about the slope direction should be considered. This research is focused on segmentation in slope direction three categories. If the direction of landslide does not affect the structure, I do not think the subject is worth considerating. Based on these results will discuss the improvements in Landslides management systems. Analysis results, segmentation on the slope and the slope direction are needed. Segmented categories about topography elements will be increase the accuracy of landslides management system. Also, since topography of the elements is only considered, segmentation of different elements is needed.

Relation Between Barelands and Topographical Factors (독나지(秃裸地)와 지형인자(地形因子)와의 관계(關係))

  • Kang, Wee Pyung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Forest Science
    • /
    • v.18 no.1
    • /
    • pp.13-16
    • /
    • 1973
  • The article was carried out to study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causes of barelands and topographic factors such as altitudes, slopes and bearings. Using the forest utility demarcation maps of 1 : 50,000 in scale and the aerial photographs drawn and taken by the Forest Resources Institute, Seoul, the areas of each bareland and the topographic factors were calculated from the maps and photographs and the critical causes of barelands were analyzed based on the various topographic factors. The results obtained were as follows: 1. There were some positive relation between area of barelands and slopes, and between area of barelands and altitudes. 2. However.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number of barelands and altitudes, between number of barelands and slopes, between number of barelands and bearings, and between area of barelands and bearings.

  • PDF

Spatial Analysis of Precipitation with PRISM in Gangwondo (강원도 지역의 PRISM를 이용한 강우의 공간분포 해석)

  • Um, Myoung-Jin;Jeong, Chang-Sam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44 no.3
    • /
    • pp.179-188
    • /
    • 2011
  • In this study, the regional factors in Gangwondo were used to analysis the relationship between point precipitation and areal precipitation. The most province area in Gangwondo is consist of mountainous terrain. At the east part of the Taebaek Mountains, the slope is very steep and the coastal plains don't exist. At the west part of the Taebaek Mountains, the slope is mild, there are many rivers, such as South Han-river and North Han-river, and the regions are very complex terrain. The data of 66 stations in Gangwondo and the PRISM (Parameter-elevation Regression on Indepedent Slope Model) were used to estimate the spatial distribution of precipitation. According to the topographic conditions, such as elevation and slope, and the regional conditions, such as Youngdong and Youngseo, the spatial distribution of precipitation is well shown. At the results of cross-validation, the RRBIAS and the RRMSE are under 0.1 and therefore the analysis of the PRISM are well conducted. Consequently the PRISM in this study is a appropriate method to estimate the spatial distribution of precipitation in Gangwond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