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ocessing math: 100%
  • Title/Summary/Keyword: 지형적

Search Result 6,026, Processing Time 0.043 seconds

Estimation of moisture maximizing rate considering an orographic property : Typhoon Rusa case in Gangneung region (지형적 특성을 고려한 강릉지역 태풍 루사의 수분최대화비 산정)

  • Kim, Moon-Hyun;Lee, Hye-Ran;Im, Eun-Soon;Kwon, Won-Tae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6.05a
    • /
    • pp.1483-1487
    • /
    • 2006
  • 본 연구에서는 2002년 태풍 루사(RUSA) 기간에 대한 강릉지역의 수분최대화비를 그 지역의 지형적인 특성을 고려하여 산정하였다. 수분최대화비는 최대가능강수(Probable Maximum Precipitation, 이하 PMP)를 추정하는데 가장 중요한 요소로써 최대 12시간 지속 1000 hPa 이슬점과 대표 12시간 지속 1000 hPa 이슬점에 따른 가강수량의 비로 계산된다. 각각의 이슬점을 결정하는 방법으로, 대표 12시간 지속 이슬점은 수분 유입지역을 파악함으로써 계산되는데, 이 유입지역은 지상일기도, 지표 풍향, 850 hPa 수분속, 유선장등을 고려하여 선정되었다. 또한 최대 12시간 지속 이슬점은 과거 42년간(1961년2002년)의 강릉지역 이슬점 온도 자료를 통해 방재연구소에서 제공하는 FARD2002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구하였다. 이 프로그램에서 확률분포형으로는 Extreme TypeⅠ(Gumbel distribution)을 선정하였고 매개변수 추정방법으로 모멘트법을 사용하여 유의수준 10%에서 재현기간 50년 빈도 분석을 통해 이슬점 온도를 구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 재 추정된 수분최대화비와 기존에 제시된 호우전이비 및 DAD(Depth-Area-Duration) 분석결과를 이용하여 강릉호우의 소유역(3.76km2)에 대한 PMP를 산정하고 기존 결과와의 차이점을 제시하였다.

  • PDF

Bottom Topography Observation in the Intertidal Zone Using a Camera Monitoring System (카메라 관측 시스템을 이용한 조간대 3차원 지형 관측)

  • Kim Tae-Rim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Coastal and Ocean Engineers
    • /
    • v.18 no.1
    • /
    • pp.63-68
    • /
    • 2006
  • Time series of waterline changes during a flood/ebb cycle can be utilized for supplementary data for measuring bottom topography. The waterlines extracted from consecutive images are substituted for depth contours using water level data. The distances between contours are quantified through a rectification image process. This technique is applied to the Keunpoolan beach in the Daeijak Island near Incheon. A camera monitoring technique supported by natural water level changes produces bottom topography with high precision. It is also less time consuming and more economical. The technique also can be utilized effectively to the physical modeling f3r measuring bottom changes in the three dimensional basin.

Developing Geologic Loss Estimation Factors : Effect of DEM Resolution in Site Classification (지질재해예측 입력인자 개발 : DEM 해상도가 지반분류에 미치는 영향)

  • Kang, Su Young;Kim, Kwang-Hee
    • 한국방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1.02a
    • /
    • pp.161-161
    • /
    • 2011
  • 지진, 산사태, 액상화 등의 지질재해 예측을 위한 지역적 지반특성을 규명하기 위해서 지질도 또는 지형도를 이용하여 간접적인 방법이 사용되기도 한다. DEM에서 추출한 경사도는 지반분류 시 하나의 기준으로 사용되어질 수 있고, 이때 DEM의 해상력에 따라 그 결과가 다르게 산출될 수도 있다. 이번 연구에서는 DEM의 해상력에 따라 우리나라 일부지역의 지반분류 결과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았다. 각기 다른 해상도의 DEM을 적용하여 우리나라 동남부 지형을 경사도 기준으로 지반분류한 후 그 면적차이를 해상도별로 비교한 결과, 지반분류 C 지역의 면적 변화가 가장 뚜렷하였다. Vs30 범위로 분류한 결과에서는 180 m/sec 이하의 지역에서 해상도별로 가장 큰 변화가 있었다. 고해상도에서는 지반분류 B와 E의 지역에서 면적이 저해상도 보다 크게 산출되는 경향이 있었고, 저해상도에서는 지반분류 C와 D 지역의 면적이 고해상도 보다 크게 산출되는 경향이 있었다. 이는 DEM의 해상도가 낮아질수록 각기 다른 지반정보를 함유한 작은 셀이 큰 셀로 만들어지는 과정에서 평균화되는 지반정보가 과대평가 또는 저평가되었기 때문이다. 연구지역 내 시추지역의 지반과 지반분류 결과를 비교하면 해상도별로 78%~52%까지 일치하였고, 고해상도에서 일치율이 더 높았다. 지형의 변화가 심하고 인구나 산업시설이 밀집된 재해 고위험군 지역은 고해상도의 지도를 이용하고, 지형의 변화가 없거나 단단한 지반의 지역은 재해가 상대적으로 작아서 저해상도의 사용으로 자료처리 시간의 효율성을 증대시키는 방안도 생각할 수 있다.

  • PDF

The feature of geomorphology and a factor of retreat in Franz Josef Glacier (프랜츠 요셉 빙하의 지형적 특성과 빙하 후퇴의 원인)

  • 심인선
    • Journal of the Speleological Society of Korea
    • /
    • no.63
    • /
    • pp.61-79
    • /
    • 2004
  • The Franz Josef Glacier is sited 250 m above sea level. The moisture westerly winds from Tasman Sea and the feature of the alp geomorphology have made the Franz Josef Slatier. That is why the Franz Josef Slatier is. The Franz Josef Slatier has receded during the past century in response to global warming since the end of the Little ice Age in the 1890s. Even between 2002 and 2003, the Franz Josef Glacier is confirmed retreat ins. This is confirmed by climate factors. The expressing of the Franz Josef Slatier retreating in 2003 which is advanced air temperature and amount of precipitation in 1998 than compared another years. There are lots of metamorphic rock as known biotite, schist, greywack and the Alpine Fault is passing near the Franz Josef Glacier. The grooved and scratching trend surface the rock are observed as the evidence of retreating glacier left.

Production of Digital Image Map using Aerial Photo and Geospatial Information System (항공사진과 지형공간정보체계를 이용한 수치영상지도 제작연구)

  • Sohn, Duk-Jae
    •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Geospatial Information Science
    • /
    • v.5 no.2 s.10
    • /
    • pp.207-220
    • /
    • 1997
  • This study aims to develope the production method of digital image map of high capable utiliy and terrain interpretability using aerial photo and Geospatial Information System. Theory and efficient practical method was studied to generate tile digital image map with low-cost personal computer system using the merging procedure of raster scanned aerial photo and vector topographic map. Determination theory of ground coordinates, digital image processing, production of digital elevation model was reviewed. And some chariteristics of digital image map, image collection method and significant concepts of digital image processing was studied. Also input and output way of image data to generate the digital image nap, production method of orthophoto map using aerial photo through digital differential rectification was studied. As the result, digital image map was produced and analyzed through the above mentioned procedures.

  • PDF

The Verification of updating road based digital map using GPS-Van (GPS-Van을 이용한 도로기반의 수치지도 수정 가능성 검증)

  • Jeong, Ju-Kwon;Joo, Young-Eun;Choi, Jong-Hyun;Park, Su-Young
    • 한국지형공간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4.10a
    • /
    • pp.175-181
    • /
    • 2004
  • 우리나라에서는 1995년부터 국가지리정보체계(NGIS)구축 기본계획을 수립하여 건설교통부, 정보통신부, 과학기술부 및 행정자치부 등 범국가적으로 2000년까지 제 1단계 사업을 마쳤으며, 2001년부터 제 2단계 사업을 추진 중에 있다. 하지만 국가지형 및 시설물 등이 하루가 다르게 변화하는 정보화 사회에서 다양한 객체에 대한 위치 및 속성정보의 획득, 저장, 관리, 활용을 위한 신속한 수치지도 수정갱신이 요구된다. 또한 도로시설물을 비롯한 다양한 지형지물정보는 공간정보를 다루는 도시, 교통, 물류, 환경 및 군사 분야 등 다양한 분야에서 의사결정 및 계획에 필수적으로 요구되는 정보이고 이와 같은 정보는 신속하고 정확하게 취득되어야 하며, 경제적이며, 효율적으로 정보를 획득하는 신기술을 적용한 작업방법론이 필요하다. 현재 국내에서도 신기술인 "차량탑재 모바일매핑 시스템(Mobile Mapping System : GPS-Van) 개발이 완료되었고, 이를 활용한 각종 지형공간정보의 수정 갱신 작업이 이루어지고 있기 때문에 이를 활용한 수치지도 수정갱신의 가능성에 대한 검토와 방법론에 대한 정립이 요구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국내에서 개발된 신기술인 GPS-Van을 이용한 수치지도 수정갱신을 위한 정확도 분석 및 오차의 영향 분석을 통하여 보다 높은 정밀도의 도로기반 수치지도 수정 갱신의 가능성 및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 PDF

A Study on the Basic Planning of Country Club Using Photogrammetry (사진측량을 이용한 초구장 기본 계획에 관한 연구)

  • 유복모;조기성;박성규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urveying, Geodesy, Photogrammetry and Cartography
    • /
    • v.8 no.1
    • /
    • pp.31-40
    • /
    • 1990
  • In this study, sample area was selected to compare the conventional method with photogrammetic method in basic planning of country club. Also various elements of planning, such as vegetation and water system, were considered through interpretation of aerial photographs and topographic maps, vegetation maps and water system maps were made as well as digital terrain models. These were used to analyse tophographic changes and landscape. As a result of comparing with the conventional method, it was shown that photographic interpretation could give more detail values than the conventional method, and that the digital terrain model could predict changes of topography, landscape and water system with more asccuracy. Consequently, the method of digital terrain model and photographic interpretation proved to be more effective than the conventional method in the case of water treatment, and planning of landscape and land utility.

  • PDF

Computations of Morphological Change using Various Methods for Shear Stress (전단응력 산정 방법에 따른 하상변동량 분석)

  • Lee, Seonmin;Choi, Sung-U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5.05a
    • /
    • pp.41-41
    • /
    • 2015
  • 하천의 지형을 조사하고 계측하는 것은 하천을 연구하는 전문가들에게 필수적인 일이다. 하지만 하천의 지형을 계측하는 것은 쉽지 않으며, 조사를 하여도 유사의 이송으로 인하여 하천의 지형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변하게 된다. 그러므로 실험이나 모델링을 통하여 하천의 지형을 예측하고 모의하는 것은 중요한 연구이다. 모델링을 이용하여 유사이송에 의한 하상변동을 잘 예측하기 위해서는 하천의 복잡한 흐름을 정확히 모의하는 것이 중요하며 유사를 발생시키는 힘인 하상전단응력을 정확히 산정하는 것 또한 중요하다. 하상의 전단응력을 산정하는 방법으로는 대표적으로 로그법칙에 의한 방법, 레이놀즈응력 분포를 이용한 방법, 난류운동에너지를 이용한 방법 등이 있다. 앞서 말한 방법으로 산정된 전단응력 값은 차이를 보이며, 이는 하상변동을 정확히 모의하는 것에 문제를 발생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곡선좌표계를 이용하여 3차원 유동 및 하상변동을 모의할 수 있는 수치모형을 이용하여 전단응력 산정 방법에 따른 하상변동량을 분석하는 것이다. 하천의 복잡한 흐름을 정확히 모의하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RANS (Reynolds Averaged Navier-Stokes) 방정식을 3차원으로 해석하여 흐름 계산을 하였고 유사량 산정공식과 Exner 방정식을 이용하여 유사이송에 의한 하상변동을 계산하였다. 흐름 계산의 검증을 위하여 선행 연구의 실험을 대상으로 모의하였다. 그리고 곡선으로 된 실험 수로를 대상으로 전단응력 산

  • PDF

A Study on the Design of Embedded System-Based Wheel Drive Robots for Overcoming the Terrain (지형 극복을 위한 임베디드 시스템 기반 바퀴 구동형 로봇의 설계에 관한 연구)

  • Kim, Min Gyu;Seon Ji Ho;Jeong Se Jin;Kim Sang Hoon
    • The Transaction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 /
    • v.13 no.10
    • /
    • pp.559-567
    • /
    • 2024
  •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design and implement a wheel-driven small intelligent robot with intelligent sensor signal processing and various driving methods to overcome non-flat terrain such as slopes and steps and avoid obstacles. An eccentric gear structure was proposed to overcome non-flat terrain, optimal sensor signal processing was applied to maintain real-time balance, and an omnidirectional driving method that enables obstacle recognition and escape from a narrow space using a LiDAR sensor was proposed and designed to overcome obstacles. An optimal embedded system was designed and constructed to implement and control the intelligent elements of the robot.

A risk analysis of water courses and landslide using contour maps -Focusing on Mt. Seonggo in Cheonan City- (등고선지도를 이용한 수로 및 산사태 위험 분석 -천안의 성거산을 중심으로-)

  • Kim, Sae-Keun;Kim, Dong-Keun;Maeng, Seung-Ryol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 /
    • v.10 no.6
    • /
    • pp.289-296
    • /
    • 2012
  • Due to the topographical and climatic features of Korea, there is a strong possibility of a landslide. Recently, many landslides, caused by the improper land development, frequently occured at the mountain area every summer. Cheonan has been recognized to be relatively safe against landslide, but with the increased risk factors, systematic analysis of the landslide is required. In this paper, the topographical features of Mt. Seonggo in Cheonan City were extracted using contour maps, and water courses and basin areas in heavy rain were computed using the results. Conclusively, Mt. Seonggo areas were relatively safe in the view points of the length of water courses and rain-inflow, but in case of some narrow areas, sustainedly observation was required. Meanwhile, a contour map is proper to analyze the risk of landslide in the 1'st level in that it is more cost effective than other types of digital ma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