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지형적

Search Result 6,026, Processing Time 0.067 seconds

Field Measurement of Suspended Material Distribution at the River Confluence (하천 합류부에서의 부유입자 분포에 대한 현장측정)

  • Kwak, Sunghyun;Lee, Kyungsu;Cho, Hanil;Seo, Yongjae;Lyu, Siwan
    • KSCE Journal of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Research
    • /
    • v.37 no.2
    • /
    • pp.467-474
    • /
    • 2017
  • Each river confluence has the inherent hydraulic and mixing characteristics coming from its bathymetry and topography. It is necessary to make the measurement covering the spatial extent of studying area in order to catch these 2-dimensional intrinsic characteristics. This study focuses to investigate the hydraulic and mixing characteristics at the confluence of Nakdong and Geumho River, from field measurement of flow, water quality, and suspended particle distribution with ADCP (Riversurveyor M9), multi-parameter water quality sonde (YSI6600V2), and submersible system for in-situ observations of particle size distribution and volume concentration (LISST : Laser In-Situ Scattering & Transmissometry), respectively. From the results, it can be found that the field measurement of suspended particle and water quality distribution can be the useful approach to catch the hydraulic and mixing characteristics at a river confluence.

Activities on Naming Undersea Features in Korea (한국에서 해저지명 부여를 위한 활동)

  • Sung, Hyo-Hyun
    • Journal of the Korean Geographical Society
    • /
    • v.41 no.5 s.116
    • /
    • pp.600-622
    • /
    • 2006
  • The consistent use of appropriate names for the undersea features is an essential element of effective communication among ocean scientists. The correct use of names on bathymetric and nautical charts provide benefits to national and international communities. Also it is expected that naming of the marine geographical features within the territorial waters and EEZ contributes to secure the territorial waters and preserve the various marine resources. This paper will seek to addresses a variety of activities where geographic names issues for undersea features arises. For the purpose of this paper, the attention will be given upon 1) the general history of activities on naming undersea features in Korea; 2) development of the guideline for standardization of marine geographical names; 3) geo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undersea features in East Sea; and 4) future plan to conduct a systematic analysis for naming marine geographical features in Korea.

Application of the weather radar-based quantitative precipitation estimations for flood runoff simulation in a dam watershed (기상레이더 강수량 추정 값의 댐 유역 홍수 유출모의 적용)

  • Cho, Younghyun;Noh, Joon Woo;Lee, Eul Rae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9.05a
    • /
    • pp.61-61
    • /
    • 2019
  • 우리나라는 대부분이 산지(약 65%)로 구성되어 있어 강우 시 그 공간적 분포의 변동성이 매우 큰 편이며, 특히 전형적인 산지지형인 댐 유역의 경우 고도 변화 등에 기인한 지형특성 등에 따라 강우의 형태 및 패턴과 이에 따른 유출변화가 큰 복잡한 특성을 갖는다. 이로 인해 단순히 지점강우들을 공간보간(평균)한 면적강우를 홍수 유출모의 등에 활용할 경우 그 신뢰도가 매우 낮은 경우가 많아, 수문모의에 있어 레이더에 기반을 둔 공간 분포형 강우 등의 도입 검토가 요구된다. 한편, 최근 기상청에서는 보다 정확한 레이더 강수량 추정 값의 제공을 위해 "레이더-AWS 강우강도(Radar-AWS Rainrates, RAR)" 산출 기술을 지속적으로 개선하고 있으며, 이는 지상 우량계 대비 상당한 정확도를 보이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 산지지형을 대표하며, 타 댐 유역에 비해 비교적 수문(수위/유량)관측소와 자료가 많은 용담시험유역에 기상레이더 강수량 추정 값(RAR)을 적용해 산지지형 댐 유역에서 강우의 시공간적 변동성과 이에 따른 홍수량의 정확한 분석을 통해 홍수 시 댐 유입량의 정확한 산정 등에 활용할 목적으로 홍수 유출모의를 수행하고자 한다. 모의에는 최근 5년(2014~2018년)동안 발생한 비교적 독립적인 1~2개(연도별)의 홍수사상을 적용하였으며, 모형은 분포형 강우를 적용할 수 있는 비교적 간단한 모형인 HEC-HMS를 활용하였다. HEC-HMS는 주로 집중형 수문모형(Lumped Hydrologic Model)으로 분류되어 레이더 강우와 같은 분포형 자료의 입력을 주로 적용치는 않고 있지만, HEC-GeoHMS와 ModClark 방법을 활용하면 격자단위의 분포형 강우를 적용할 수 있는 형태의 모델 구축이 가능하다. 모의 결과는 기존 유역평균 강우를 적용한 방법과 비교를 통해 그 개선점을 검토하고자 하며, 이를 통하여 산지지역 댐 유역의 홍수특성을 보다 더 정확하게 분석해보고자 한다. 한편, ModClark을 적용한 홍수 유출모의는 단순히 소유역별 도달시간의 격자별 비율을 고려한 홍수추적으로 그 해석상의 한계가 있어, 최근 개발된 하이브리드 수문모형(Hybrid Hydrologic Model, Distributed-Clark) 등도 동일유역에 대해 도입 적용할 계획에 있다.

  • PDF

Flash Flood Warning System for Mountainous Region Based on Hydrogeomorphological Approach (수문지형학적 접근에 기초한 산악지역의 돌발홍수예경보시스템 연구)

  • Kim, Hong-Tae;Shin, Hyun-Su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5.05b
    • /
    • pp.811-815
    • /
    • 2005
  • 산악지역의 유출은 지형적 특성 때문에 매우 빠른 반응시간을 가지고 첨두유량 또한 매우 크게 마련인데 이러한 특성 때문에 산악지역의 돌발홍수 발생 메카니즘과 이것의 정확한 규명은 지금까지 수많은 연구과제의 주제가 되어왔다. 본 연구는 산악지역의 유출 특성을 잘 반영한다고 알려진 수문지형학을 기초한 지형기후학적단위도(geomorphoclimatic unit hydrograph, GCUH) 이론을 토대로 단일유역 산악지역과 분할유역 규모의 유출 특성을 규명하고 각각의 유역특성에 맞는 돌발홍수예경보시스템을 제안 및 비교 검토하고자 한다.

  • PDF

Rainfall-runoff characteristics of Seom river experimental watershed (섬강시험유역에서의 강우-유출특성)

  • Choi, Hung-Sik;Ju, Kyung-Su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6.05a
    • /
    • pp.1525-1529
    • /
    • 2006
  • 하천유역에서 강우-유출을 해석할 때에는 적용이 용이하고 비교적 정확한 결과를 얻는 것으로 알려진 단위도와 순간단위도를 널리 사용하여 왔다. 순간단위도의 유도를 위해서는 신뢰성 있는 강우-유출자료의 획득이 선행되어야한다. 신뢰성 있는 자료를 얻기 위해서는 시험유역의 운영에 의한 실측 강우와 그 에 따른 유출자료의 확보가 중요하다. 횡성댐 상류 섬강시험유역에서 얻어진 실측 자료를 사용하여 가변기울기법을 이용하여 직접유출을 분석하였고, 기존의 강우-유출자료를 분석하여 누가강우에 따른 유출계수를 분석하였다. 지리정보시스템을 이용하여 유역의 지형학적 매개변수를 얻어 유도된 지형학적 순간단위유량도에 의한 강우-유출의 특성을 분석하였다.

  • PDF

Application Methods for Terrain Modeling of Agricultural Industry Complex Area (농공단지 대상지의 지형분석 모델링 적용기법에 관한 연구)

  • Yeon, SangHo;Min, Gwan-Sik
    • Proceedings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9.05a
    • /
    • pp.1236-1241
    • /
    • 2009
  • 농공단지 조성사업은 농공단지 조성에 따른 기업유치로 지역주민의 농외소득증대를 도모하여 고용효과는 물론 수도권 및 대도시권 공업과밀지역 공장이전을 촉진하여 도시인의 농촌유입 유도 및 농촌거주자의 이촌을 억제하여 이 지역 주민의 소득제고와 제천지역 인구증가 및 지역경제 활성화를 도모하는데 그 목적과 필요성이 있다. 농공 단지조성은 지형여건, 토지이용의 효율성, 공사비 등을 고려하여 활용 가능한 지구계를 최대한 확보토록 한다. 따라서 이러한 지역의 지형공간분석을 위해서는 GIS 기반의 다양한 매핑과 공간 분석을 입체적으로 접근하여 현황을 상세히 파악하고 단지조성으로 인한 주변 환경의 변화와 더불어 홍수나 여러 자연재해에 대응할 수 있는 정책 및 계획이 재검토 되어져야 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대상지의 상세한 지형분석 및 모델링을 통하여 사전에 위험요소를 제거하고 그에 대응한 시스템을 강구하도록 하였다. 그 결과, 이곳의 농공단지의 부지조성공사에 따른 우기 시에는 토사유출이 예상되므로, 우수 유출량 및 토사유출량에 따른 재해영향에 대한 저감대책을 수립할 수 있는 방안을 도출하였다.

  • PDF

Implementation of a Transformable Hexapod Robot for the Complex Terrain (복잡한 지형에 유연하게 적응할 수 있는 변형 가능한 6족 로봇의 구현)

  • Lee, Sang-Hun;Kim, Jin-Geol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06.07d
    • /
    • pp.1969-1970
    • /
    • 2006
  • 본 연구는, 장애물과 지형에 순응할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변형 가능한 로봇을 제안하고자 한다. 사람이 활동하는 영역에서 로봇을 사용할 때, 항상 로봇의 이동에 적합한 환경을 제공해 줄 수는 없다. 따라서 로봇 자체가 환경을 인식하고 그에 맞게 동작할 수 있어야 한다. 로봇은 바퀴구동을 통한 평탄한 지형에서의 빠른 이동성과 보행을 통한 평탄하지 않은 지형에서의 이동성의 장점들을 동시에 지닐 수 있는 구조로 설계되었다. 스테레오 영상 시스템과 거리감지 센서모듈을 통해 로봇의 안정적이고 효과적인 동작을 구현하고자 한다. 본 논문에 대해서는 실험을 통해 이를 검증한다.

  • PDF

Application of LiDAR Data for Volume determination of Terrain (지형의 체적 산정을 위한 LiDAR 자료의 활용)

  • Kang Joon-Mook;Min Kwan-Sik;Park Joung-Hyun;Kang Young-Mi
    • Proceedings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amtion Studies Conference
    • /
    • 2006.05a
    • /
    • pp.181-186
    • /
    • 2006
  • 오늘날 토목공사에서 토량을 산정하기 위해서는 많은 지형정보를 필요로 한다. 지형정보 획득의 한 방법으로 라이다측량을 실시하여 지형의 표고를 획득 할 수 있으며, 라이다 데이터는 기존의 일반측량, 사진측량, 원격탐측과 비교하여 좀 더 빠르고 정확한 지표의 표고를 획득할 수 있다. CPS 데이터와 함께 획득한 라이다 데이터는 지상의 수치표고모델 및 등고선 추출이 가능하며, 이 수치표고모델을 이용하여 토량을 산정하고 기존의 1:1000 수치지형도에서 산정한 토량과 정량적 비교를 수행하였다 비교결과 라이다 데이터가 수치지형도 상에서의 토량 산정 보다 더 정확한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 PDF

A Study of Channer Slope and Grain Size of Coarse Bed Materials in Streams in the Youngseo and Youngseo and Youngdong Area, Korea (영서 및 영동 하천의 하상 퇴적물 입경과 하도 경사에 관한 연구)

  • 김종욱
    • Journal of the Korean Geographical Society
    • /
    • v.34 no.4
    • /
    • pp.355-370
    • /
    • 1999
  • 본 연구에서는 유역 분지의 지형 조건이 상이한 영서 및 영동 하천들을 대상으로 하상 퇴적물 입경과 하도 경사의 경향성, 그리고 이들간의 상관관계를 중점적으로 조사하였다. 조사 결과, 유역 분지의 지형 조건이 다른 것과 마찬가지로, 영서 하천과 영동 하천은 퇴적물 입경 및 하도 경사의 경향성이 서로 달랐다. 영서 하천에서는 유역 면적의 증대에 따라 퇴적물 입경 및 하도 경사가 소폭으로 감소되는 경향으로 보이고 있으며, 그 경향성이 뚜렷하지 않았다. 이와는 달리, 영동 하천에서는 퇴적물 입경 및 하도 경사가 유역 면적의 증가에 따라 지수적으로 감소되었으며, 그 경향성 또한 매우 분명하였다. 한편, 영서 및 영동 하천을 모두 고려한다면, 퇴적물 입경과 하도 경사간에는 통계적으로 의미있는 상관관계가 성립되는 것으로 밝혀졌다. 그러나 이들 간의 상관관계는 영서 하천보다는 영동 하천에서 높게 나타났다. 위와 같은 사실로 미루어 볼 때, 본 연구 지역에서는 유역 분지의 지형 조건이 퇴적물 입경 및 하도 경사에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A Shape Feature Extraction Method for Topographical Image Databases (지형/지물 이미지 데이터베이스를 위한 형태 기반의 특징 추출 방법)

  • Kwon, Yong-Il;Park, Ho-Hyun
    • Annual Conference of KIPS
    • /
    • 2005.05a
    • /
    • pp.159-162
    • /
    • 2005
  • 지형/지물 이미지, 특히 항공.위성사진의 경우 대부분 비슷한 색상과 질감을 갖는다. 따라서 지형/지물 이미지 데이터베이스에서 질의 이미지를 효율적으로 검색하기 위해 이미지의 형태 특징을 이용해야 한다. 본 논문은 지형/지물의 형태 특성을 고려한 형태 특징 추출 방법을 제안한다. 이 방법은 기존의 직각 좌표계를 이용한 투영 방법을 발전시킨 것으로 원형 좌표계를 이용하여 일정 간격의 방향에서 투영 연산을 수행한다. 이를 통해 본문에서 언급하는 세 가지 특징을 추출한다. 이 방법은 이미지의 방향/크기/위치에 관계없이 이미지의 형태 특징을 추출 할 수 있다. 기존의 형태 특징 추출 방법인 CSS 방법과 비교.실험을 통해 본 논문에서 제안한 방법의 성능과 장점을 보인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