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지형적

Search Result 6,005, Processing Time 0.051 seconds

살내유적지 발굴조사 : 1. 지형 및 토질분석

  • 김성욱;김인수;정성교;이성주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Soil and Groundwater Environment Conference
    • /
    • 2002.09a
    • /
    • pp.323-326
    • /
    • 2002
  • 살내유적 발굴 현장에 분포하는 토양시료에 대한 지형과 토질분석을 실시하였다. 지형분석은 수치지형자료와 현장 측량자료를 이용하였으며, 토양 시료의 채취는 트렌치된 곳에서 채취하였다. 토질의 수직적인 변화를 관찰하기 위해 1개 지점은 심도별로 시료를 채취하였고, 퇴적단면에 대한 기재를 병행하였다. 유적지의 입지는 밀양강과 단장천이 합류되는 지점으로 수계의 변화는 퇴적물의 차이를 반영한다. 두 수계에 분포하는 암종은 서로 상이하며 유적지의 북동방향으로 갈수록 고도가 증가한다. 또한 토양의 자갈 구성비가 높은 점과 그리고 상, 하부 지층에서 구성 광물이 동일한 것은 유적지의 퇴적물이 같은 수계에서 기원되었음을 뜻하며 살내유적지는 단장천의 범람으로 형성되었다. 문차층은 세립의 실트와 모래로 구성되어 있으며 자갈층은 대체로 경사져 있고 하부 지층을 깍고 채운 구조로 되어 있다. 토양의 입도는 유적지의 북에서 남으로, 서에서 동으로 잘수록 세립화되며, 2회에 걸쳐 상향 조립화의 구조를 보여준다.

  • PDF

Numerical Simulation of Tidal Current Patterns for Estuary Morphological Changes using Simple 2D Model (단순모델을 이용한 하구역 지형변화와 해수유동장 변화 수치모의)

  • Lee, Young-Bok;Yoon, Han-Sam;Ryu, Cheong-Ro
    • Proceedings of the Korea Committee for Ocean Resources and Engineering Conference
    • /
    • 2006.11a
    • /
    • pp.445-448
    • /
    • 2006
  • 본 연구는 기초적인 연구로 낙동강 하구역을 단순 사각형 만의 형상을 가진 지형으로 설정하고 내부 지형의 변화(수심 및 사주 면적)에 따른 해수유동장을 해수유동 수심적분모델로 구축하여 계산하였다. 계산된 유속장 결과를 바탕으로 내부 지형의 대표단면에서의 단면유량플럭스를 계산하여 상호 비교함으로써 하구역내 사주의 생성 및 발달(내부 지형 용적 변화)에 따른 하구역 입구부에서의 해수용적 변화(순환)의 정도를 평가하고자 하였다.

  • PDF

Study on the Utilizing Methods of Spatial Information Education Based on the GIS Contents (신설도로건설 구간의 지형분석에서의 위성영상 적용실험)

  • Yeon Sang-Ho;Kim Joo-Il;Lee Jin-Duck
    • Proceedings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5.05a
    • /
    • pp.138-141
    • /
    • 2005
  • 본 연구에서는 위성영상으로부터 정사투영 영상을 제작하고, 지상의 기준점 측량을 GCP를 이용하여 실시하여 경도, 위도 고도의 참조좌표를 정확히 수집하였다. 1:5,000 지형도를 디지타이징하여 만들어진 등고선도를 DEM으로 변환하여 고도별 RGB영상으로 화면에 보여지도록 하고, 각각의 경우에 대하여 제작된 정사투영 영상에 중첩해 봄으로써 제작된 정사투영영상의 정확도를 점검하여 수치지형도를 대신할 수 있는 3차원 영상지도를 제작하였다. 대상지역의 입체지형분석을 위한 3차원 입체 영상지도를 제작과 더불어 DEM을 이용한 지형의 경사도 분석과 방향분석, 지형표고모델, 다방향 입체영상을 생성할 수 있도록 하였다. 장차 국토계획 및 건설분야에서의 지형분석과 각종 구조물의 배치 및 관리, 하천 수계의 분포에 대한 댐 건설 최적지 선정, 도로계획선에 따른 각 방향의 조감도 제작, 토지 피복분류에 의한 토지이용과 지역개발계획 등 지역환경을 종합적으로 진단해 볼 수 있는 활용방안을 도출할 수 있는 적용실험을 하였다.

  • PDF

Building Modeling and Terrain Integration System on Satellite Image (위성영상을 이용한 건물 모델링 및 지형 정합 시스템)

  • Oh, Seon-Ho;Jung, Soon-Ki;Kim, Sang-Hee;Kim, Jeong-Hwa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8.06c
    • /
    • pp.549-554
    • /
    • 2008
  • 도시와 같은 광범위한 영역에 대한 지형, 지물의 기하 정보를 추출 또는 복원하는 기술은 공간 영상정보 시스템을 비롯한 다양한 응용분야에서 사용되고 있으며, 이러한 필요에 따라 중요성이 더욱 커지고 있다. 본 논문은 위성 영상에서 건물의 footprint와 rooftop, 그림자 정보를 이용하여 건물을 반 자동으로 모델링하고, 이를 지형에 정합하는 시스템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시스템은 사용자의 직접적인 조작과 자동으로 이루어는 부분을 조합하여, 최소한의 사용자 조작으로 건물을 모델링하고, 지형에 의한 요소를 고려하여 건물의 실제 위치를 보정하여 지형과 정합을 수행한다.

  • PDF

지형참조항법시스템의 발전 동향

  • Yu, Yeong-Min;Yu, Myeong-Jong;Park, Chan-Guk
    • ICROS
    • /
    • v.19 no.1
    • /
    • pp.19-31
    • /
    • 2013
  • 본 고는 국내외의 지형참조항법시스템 관련 기술의 발전 동향을 살펴보고자 한다. 지형참조항법은 국외에서 1940년대부터 그 필요성이 대두된 학문으로 잠수정, 군용 전투기 등 다양한 분야에서 주로 군사목적으로 연구가 진행되었다. 1950년 ATRAN의 개발을 시작으로 1990년대 PTAN 지형참조항법기술까지 발전되어 무인기뿐만 아닌 Tomahawk 같은 유도무기에도 그 활용 범위를 넓혀가고 있다. 하지만 하드웨어적인 제약과 GPS의 발달로 관련 연구가 주춤하였으나 컴퓨터 기술의 발달, 지형측정센서의 정확도 향상과 더불어 GPS 교란 가능성 등이 부각되면서 최근 다시 관성항법시스템(INS)을 보조하는 대체 항법으로서 주목받고 있다. 주로 다중 측정치를 이용하는 방법과 비선형 필터를 이용하여 항법해 성능을 향상시키거나 병렬 다중필터를 이용하여 항법해의 신뢰성을 향상시키는 방향으로 연구가 진행 중이다. 그리고 다양한 지구물리데이터와 통합한 데이터베이스기반 복합항법 기술로 발전하고 있다.

Accuracy Evaluation of Floodplain Topography Survey Using Small-scale UAV (소형 UAV를 이용한 홍수터 지형측량 정확도 평가)

  • Kwak, Sunghyun;Seo, Yong Jae;Song, Jin Hun;Lyu, Siwa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6.05a
    • /
    • pp.449-453
    • /
    • 2016
  • 하천 구역에 존재하는 인력 및 장비의 접근이 물리적으로 불가능한 공간에 대한 지형정보 취득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한 대안으로 소형 UAV(Unmanned Aerial Vehicle)의 활용성을 살펴보고자, 낙동강 달성보와 강정고령보 사이에 위치하는 습지구간에 대한 영상촬영 및 분석을 통한 지형측량을 실시하였다. 홍수터 지형측량에 있어 소형 UAV를 이용한 사진측량의 신뢰성과 정확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Network RTK를 이용한 육상측량결과와 정사영상 분석결과를 비교하여 '항공레이저측량 작업규정'의 '수치표고모델 규격 및 정확도'에 제시된 기준에 의거하여 수직위치 정확도를 검토하였다. 검토 결과 과대오차를 배제할 경우 지표면 상태에 따라 1/1,000~1/5,000의 정사영상 및 수치표고모델 제작이 가능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Analysis of Mountainous Watershed Risk Considering the Topography Characteristics (지형 특성을 고려한 산지유역 위험도 분석)

  • Oh, Chae Yeon;Jun, Kye Won;Jun, Byong Hee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8.05a
    • /
    • pp.427-427
    • /
    • 2018
  • 최근 집중호우나 극한 강우사상으로 인하여 산사태나 토석류와 같은 산지재해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으며 특히 우리나라는 지형 특성상 주거지역이 산지와 인접해 있는 경우가 많아 재해발생 시 피해를 가중시키는 원인이 되고 있다. 산지재해는 예측하기가 어렵고 산지에서 발생한 토석류가 계곡을 따라 흘러 내려와 도심지 및 산지와 인접한 도로나 주택지에 많은 피해를 발생 시키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해마다 반복적으로 발생하고 있는 산사태나 토석류와 같은 재해의 피해저감과 원인분석을 위하여 강원도 삼척시 도계읍 일대를 대상지역으로 선정하고 산지유역의 위험성 분석을 위하여 사면안정성 예측 모델인 SINMAP 모형을 사용하여 산지재해가 발생 가능한 위험지역 및 안전한 구간을 분석하고 지형분류기법 중의 하나인 Topographic Position Index(TPI) 분석방법을 통해 대상지역의 지형위치지수를 계산하여 위험지형을 분류하였다.

  • PDF

Managing Leader Robot of Swarm-Bots for Effective Terrain Exploration (효과적인 지형 탐사를 위한 군집 로봇의 리더 관리)

  • Song, Ju-Won;Woo, Gyun
    • Annual Conference of KIPS
    • /
    • 2010.11a
    • /
    • pp.527-530
    • /
    • 2010
  • 효과적으로 군집 로봇을 제어하기 위해 리더 로봇을 선정하여 특별한 역할을 부여하는 방법이 보편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효과적인 지형 탐사를 위해 군집 로봇 그룹의 리더를 관리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그룹에 리더가 없는 경우와 리더를 선정한 경우로 나누어 2차원 지형을 탐사하는 실험을 수행하였다. 지형을 탐사하는 과정에서 리더 로봇이 동작 불능 상태가 되는 경우가 발생할 수도 있는데, 이때에는 그룹의 리더를 교체하는 방법을 사용하였다. 그룹의 리더를 관리하는 방법을 시뮬레이션 환경에 적용하여 실험한 결과, 리더가 없는 경우보다 지형 탐사 성공률이 훨씬 높아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Efficiency Assessment of Analysing Coastal Geomorphic Landscape Change by Satellite Image Interpretation (위성영상을 이용한 해안습지 지형경관 변화 분석의 효율성 평가)

  • 박의준;구자용
    • Journal of the Korean Geographical Society
    • /
    • v.38 no.5
    • /
    • pp.822-834
    • /
    • 2003
  • It is difficult to analyse geomorphic landscape changes effectively by a field survey. A satellite image interpretation may play an important role to overcome such a problem.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ssess the accuracy of different method to identify geomorphic landscape change by using satellite imagery. The study area is the Yongjong coastal wetland in which a huge man-made environmental change occured to build a new international airport in the past decade. These changes may be summarized that a coastal landscape has been changed to a terrestrial landscape, and also a natural landscape to a man-made landscape. In order to detect these changes, we applied three different satellite interpreting methods, including a binary change mask using band difference. a binary change mask using normalized band difference. and a binary change mask using NDVI. We concluded that a binary change mask using NDVI is the best method among three different methods analysing the coastal geomorphic-landscape changes.

A Study On Extracting Surface-Specific Point Using The Cross Section of The Terrain (지형 단면을 이용한 의미점 추출에 관한 연구)

  • Ryoo, Seung-Taek;Yoon, Kyoung-Hyun
    •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Geospatial Information Science
    • /
    • v.6 no.2 s.12
    • /
    • pp.133-141
    • /
    • 1998
  • Terrain modelling is composed of a method using the rectangular grid and another using the triangulated irregular network. The method using the triangulated irregular network is most widely used because it can express the characteristics of the terrain well with only a small amount of information on the terrain and also reduces the rendering time. The process of extracting the surface-specific point and a triangular process is needed to construct such triangulated irregular network. This paper concentrates on the process of extracting the surface-specific point. The 8-direction neighborhood method and other transformed methods of the former method are frequently used to extract the surface-specific point. Another method which eliminates the unnecessary points using the Polygon reduction method is also suggested However, the 8-direction neighborhood method has a big fault of also drawing out some unnecessary points. To resolve such problem, we suggest a method of extracting the surface-specific point using the cross section of the terrain. This method reduces the time to extract the surface-specific point and enables a more precise extraction with less terrain information.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