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지형적

Search Result 5,982, Processing Time 0.034 seconds

Generation and verification of the synthetic precipitation data (고해상도 종합 강우자료 복원 및 검증)

  • Kang, Hyung Jeon;Oh, Jai Ho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6.05a
    • /
    • pp.142-146
    • /
    • 2016
  • 최근 저해상도 기상자료를 바탕으로 한 단기간에 내린 폭우나 극심한 가뭄 등과 같은 국지적인 기상 예보는 한계가 있기 때문에 고해상도 기상자료에 대한 수요가 증대되고 있으며, 특히 지형이 복잡한 한반도의 경우 지형적인 영향을 고려한 고해상도 기상자료가 요구되고 있다. 하지만 현재 기상청에서 제공하는 남한 지역의 지상 관측 자료는 약 10km의 불규칙한 간격으로 분포하고 있으며 이는 복잡한 남한지역의 지형 특성을 고려하기에는 해상도가 낮아 상세한 기상 현상을 예측하기 힘들다. 또한, 북한의 경우 사용가능한 관측 자료가 부족하여 한반도 전체를 대상으로 한 기상 예보 및 기후 특성 분석에는 한계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정량적 강수 예측 모형인 QPM(Quantitative Precipitation Model)을 이용하여 3시간 간격의 현재기후(2000-2014년)에 대한 한반도 지역의 1km 강우 자료를 복원하였다. 관측 자료가 부족한 북한의 경우 재분석 자료를 이용하여 1km 해상도의 강우 자료를 복원하였다. 이를 위해 몇 가지 특정한 강우 Case를 선별하였고, QPM 수행 시 필요한 강수, 상대습도, 지위고도, 연직 기온, 연직 바람장 등의 변수에 대하여 남한 지역에 해당하는 지점의 여러 재분석 자료와 실제 남한 지역의 지상/고층 관측 자료와의 비교 및 Correlation 분석을 통해 가장 적절하다고 판단되는 재분석 자료인 NASA에서 제공하는 MERRA Reanalysis data를 선정하였다. 또한, 소규모 지형효과를 고려하기 위한 상세 지형자료로 고해상도 지형 자료인 DEM(*Digital Elevation Model) 1km 자료를 사용하였다. 한반도의 강우를 복원하기 위하여 Barnes 기법을 이용하여 불규칙적으로 분포해 있는 강수량 데이터를 규칙적인 자료로 격자화 하였고, 격자화 한 10km 해상도의 자료를 QPM을 통해 복잡한 지형 특성을 고려한 1km 해상도의 강우 자료로 복원하였다. 또한, QPM의 모의 성능을 검증하기 위하여, 위에서 선별한 특정 강우 Case에 대하여 복원한 1km 강우자료와 200m 이내의 거리에서 겹치는 지상관측자료와의 비교를 통하여 모의 성능을 검증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복원된 한반도 상세 강우 자료를 통해 통일을 대비한 기상, 농 수산업, 수자원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 될 수 있으며, 국지적인 폭우 및 가뭄 등의 이상 기상 현상을 분석하는 데 참고 기초 자료로써 활용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Exploration for Underwater Topography using Interferomtric Metho (간섭계 방식을 이용한 수중지형탐사 방안 연구)

  • Kim, Myoung-Bae;Kwak, Kang-Yul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urveying, Geodesy, Photogrammetry and Cartography
    • /
    • v.29 no.3
    • /
    • pp.275-281
    • /
    • 2011
  • To acquire an underwater topographic information is necessary for the design and construction of structures in marine and inland water. It consists of water depth information by bathymetric survey and underwater bottom topography image information can be obtained by side scan sonar in different ways. For the purpose of providing high quality data by means of engineering site survey, it is necessary to apply simultaneous acquisition of two information and carry out the integrated interpretation to each other. The present research aims to obtain information of the underwater topography and water depth at the same time using interferometer technique, and to validate interferometer technique with accuracy estimation.

Detection and Analysis of Three-dimensional Changes in Haeundae Marine and Beach Topography using RS and GIS Technology (RS.GIS 기법을 활용한 해운대 해저.해빈지형의 3차원 입체변화 탐지 및 분석)

  • Hong Hyun-Jung;Choi Chul-Uong;Han Kyung-Soo;Jeon Seong-Woo
    • Proceedings of the KSRS Conference
    • /
    • 2006.03a
    • /
    • pp.232-235
    • /
    • 2006
  • 해저 해빈모래가 다량 유실되어 이 지역의 장기관리를 위해 침식구간에 대한 지속적인 모니터링 작업이 필요하다. 그러나 각 구청은 지형변화 분석 작업 없이, 양빈작업에 급급하고 있어 장기효과가 나타나지 않고 있다. 그러므로 본 연구는 수심측량 및 GPS 측량을 통해 해저 해빈지대의 정확한 공간자료를 구축, RS GIS 기법을 도입하여 지형변화를 정량 정성적으로 탐지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해운대 해저지형은 과도한 도시개발과 하천복개공사로 지난 25년간, 평균수심 0.40m, 수표면적 $11,028m^2$, 수중체적 $2,207,884m^3$ 가량 침식되었다. 해빈지형은 지난 5년간, 평균고도 0.27m, 총면적 $6,501m^2$, 총체적 $25,667m^3$ 가량 퇴적되었다. 이의 원인은 지오그리드의 설치로 해빈모래가 서측까지 도달하지 못하고, 계절영향으로 사료된다. 본 연구는 해저 해빈지형의 정확한 측량작업으로 해안 및 지형변화에 관한 모니터링 작업을 실시하여 연안침식 현황을 분석하고, 양빈작업 및 안전한 해양레저 활동, 해수욕장 관리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PDF

Spatial-temporal Analysis of Topographical Change at the Malipo Beach (만리포 사빈의 시계열 3차원 지형 변화 분석)

  • PARK, Han San
    • Journal of The Geomorphological Association of Korea
    • /
    • v.20 no.1
    • /
    • pp.97-109
    • /
    • 2013
  • This study introduces an analysis of the quantitative characteristics of topography and topographical changes based on precise 3D topography through 6 times surveys from December 2008 to January 2010 using Terrestrial LIDAR on the Malipo beach. The Malipo sand beach is mostly located between 0m to 1.5m MSL. The area of the beach above 2.25m, the Mean High Water, is very small. It have characteristics of topographical change of erosion and deposition along the entire coast line which more apparently appear in the northern beach than the southern part of the beach. Erosion prevails from spring to autumn, while during winter both erosion and deposition largely occur. Volumes from first and last survey were almost equal.

The change of maximum surge height according to coastal geometry and typhoon characters (연안지형과 태풍의 특성에 따른 최대폭풍해일고 변화)

  • Sangyoung Son;Xiaojuan Qia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3.05a
    • /
    • pp.124-124
    • /
    • 2023
  • 본 연구에서는 태풍의 이동속도(TS), 상륙각도(LA) 및 연안 지형이 최대 해일고(MSH)에 미치는 복합적인 효과를 분석하기 위해, 이상적인 시나리오와 실제 규모의 사상에 대한 수치모의를 수행였으며. 이를 통해 태풍 진행시 연안을 따라 분포하는 최대 해일고의 일반적 특성을 도출하고자 한다. Delft3D-FM의 2차원 모델을 사용하여 수치모의를 진행하였으며, 모델 도메인은 태풍의 상륙 지점을 연안 중심에 위치시켜고 16km에서 1km까지 다중 해상도 격자로 구성하였다. 가상의 태풍은 다양한 TS와 LA 조건에 따라 생성되었고, TS는 기존의 태풍 사상들의 특성을 통계적으로 분석하여 유의한 범위에서 변화하도록 설정하는 반면, LA의 경우 0도에서 180도까지 15도 간격으로 변화시켰다. 또한, 연안형상과 해저 지형도 다양한 형태를 고려하였는데 해저 지형의 경우일정수심 혹은 여러 가지 대륙붕 폭을 지닌 지형, 다중 경사 지형 등이 고려되었다. 연안형상의 경우 형태 비율로 특징 지어지는 개방 연안과 만이 고려되었다. 총 763개의 이상적인 시나리오가 모의되었으며 그 결과 연안을 따라 MSH 분포를 분석하였다. 이상적인 시나리오에서 개발된 효과의 적용성을 검증하기 위해 다양한 TS와 LA 조건에서 역사적인 태풍 매미를 기반으로 현실적인 규모의 시나리오 모의가 실시되었다. 그 결과 빠르게 이동하는 TS가 개방 연안을 따라 분포하는MSH를 증폭시킨다는 사실을 재확인하는 등, 연안지형, 태풍의 특성에 따른 최대 푹풍해이고 변화에 대한 다양한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 PDF

양당리굴내 수문환경

  • 김추윤
    • Proceedings of the Speleological Society Conference
    • /
    • 2002.11a
    • /
    • pp.39-56
    • /
    • 2002
  • 우리나라는 고생대의 조선계층에 석회암이 분포하는데 이 석회암지대는 탄산가스를 포함하는 우수에 용식되어 카르스트 지형이 널리 분포하고 있다. 석회암은 자연상태에서는 광범위하게 분포하는 퇴적암이므로 카르스트 지형도 광범위하게 분포할 것 같지만, 실제는 매우 제한적인 분포를 보인다. 세계적으로 유명한 석회암 카르스트 지형 분포지는 프랑스의 코스지방을 비롯하여, 스페인의 안다루시아지방, 자메이카, 쿠바 서부, 중국의 화남지방, 버어마 일부, 일본의 아키요시다이 등이다. (중략)

  • PDF

영월 쌍용리 연당리 일대의 Karst 지형에 관한 연구

  • 유재신
    • Journal of the Speleological Society of Korea
    • /
    • v.4 no.5
    • /
    • pp.27-35
    • /
    • 1979
  • 우리나라에는 캠브로-오오도비스기에 속하는 조선누층군의 석회암이 넓게 분포되어 있는데 그들은 3개의 분포지역으로 구분된다. 즉 평안지향사, 삼척지향사 및 옥천지향사와 기타 소규모의 분포를 이루는 지역들이다. 이들 지역에는 국지적으로 Karst지형의 특징이 잘 관찰된다. 우리나라의 Karst 지형에 대한 연구는 개략적인 조사와 연구에 의하여 발표된바 있다.(중략)

  • PDF

카르스트의 (KARST)의 지표지형과 동굴지형

  • 오종우
    • Proceedings of the Speleological Society Conference
    • /
    • 1994.11a
    • /
    • pp.80-81
    • /
    • 1994
  • 카르스트는 특이한 수문학적 용식지형이며, 암석의 높은 용식성으로 인해 발달된 암석의 공극(1차적 삼투)과 암석의 구조적 변형인 절리면, 균렬면, 단층면, 층리면 등(2차적 삼투)의 확장으로 인하여 발생되어진 경관을 총칭한 것이다. 암석의 용식성만으로 카르스트가 형성된다는 것을 실명하기는 쉽지가 않다. 왜냐면 암석의 구조적인 특성이 중요한 인자가 되기 때문이다.(중략)

  • PDF

The morphological changes of the beach and dune using by periodical measurements (주기적 지형 측량을 통한 해빈과 해안사구의 지형변화: 충남 보령시 소황사구를 사례로)

  • KANG, Dong Kyun;SEO, Jong Cheol
    • Journal of The Geomorphological Association of Korea
    • /
    • v.19 no.2
    • /
    • pp.69-79
    • /
    • 2012
  • The aim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mid-term changes of beach and dune morphology at Sohwang beach, Korea using by Total Station. Measurements executed 4 times during two year. Based on ArcInfo as point cloud obtained through precise measurement data by Total Station, alteration of beach and dune was analyzed at DEM, of which cell size is about 1m. Since these artificial constructions have influenced current systems of this region, the large-scale sand movements above mentioned have occurred around the jetty and the sea-wall. There occurred sedimentation in the north of the Jetty and erosion in the south of the Jetty, which is installed at the central part of object area. The direction of recent topographic development does not coincide with that of wind, and, rather, topographic changes occurred mainly at beaches and dunes due to the transformation of coastal water flow caused by artificial structure nearby. If precise measurement is conducted periodically, and long term monitoring is carried out by installing equipment measuring movement pattern of sediment around artificial structure, cause of topographic change around the object area could be discovered.

Implementation of 3D Height Map Tool for SnowBoard Game (스노우보드 게임을 위한 3D Height Map Tool 구현)

  • Kim Eun-Ju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6.05a
    • /
    • pp.177-180
    • /
    • 2006
  • 체감형 게임을 하기 위한 지형 인터페이스 모델로써 스노우보드 게임에서 사용되는 지형 Map Tool을 구현한다. 게임에 쓰이게 될 3D 지형을 하이트 2D 맵 편직기만을 이용해서 만들기는 힘들며 이러한 방법은 지형의 세밀함이 떨어지고 게임상에서 계속 불러들여 확인하는 것은 비효율적이다. 하이트맵을 3D 상에서 직접 불러와 편집을 하고 저장할 수 있게 된다면 훨씬 효율적이며 퀄리티를 높일 수 있을 것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