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지형위치지수

Search Result 63, Processing Time 0.026 seconds

Performance Analysis of Batch Process Terrain Relative Navigation Using Area based Terrain Roughness Index for Lunar Lander (영역기반 지형 험준도 지수를 이용한 달착륙선의 일괄처리방식 지형상대항법 성능분석)

  • Ku, Pyung-Mo;Park, Young-Bum;Park, Chan-Gook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Aeronautical & Space Sciences
    • /
    • v.44 no.7
    • /
    • pp.629-639
    • /
    • 2016
  • Batch process TRN(Terrain Relative Navigation) using an altimeter is a technique to correct position by correlating a series of periodically measured terrain height profile and terrain height candidate profile of the DEM(Digital Elevation Map). However, it is generally known that the performance of TRN is degraded when measured terrain height profile and terrain height candidate profiles of the DEM are similar at hill or repetitive terrain. In this paper, area based terrain slope roughness index[11] is applied and area based terrain curvature roughness index which can detect similarity of terrain in ROI(Region Of Interest) is proposed to overcome this problem. Applying terrain roughness indexes to terrain relative navigation system of lunar lander, it is shown that TRN using area based terrain roughness results in improved performance compared to conventional trajectory based method through simulation.

Analysis of Relative Elevation in Korea Using Topographic Position Index(TPI) Model (지형위치지수(TPI)모형을 이용한 상대표고 분석)

  • Lee, Chong-Soo;Lee, Woo-Kyun;Jeon, Seong-Woo;Kang, Byung-Jin
    • Proceedings of the KSRS Conference
    • /
    • 2007.03a
    • /
    • pp.292-295
    • /
    • 2007
  • 개발계획이나 환경계획 수립시에 절대적인 해발고도를 기준으로 지형적 특성을 분석한다면 절대표고가 낮은 지역은 대부분 개발가능지로 구분된다. 따라서 지역적 특성을 반영하는 상대표고를 적용하여야 하나 산의 경계구획,능선설정 등의 어려움으로 아직 전국단위의 구체적인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최근 Weiss 가 제안한 지형위치지수 ( Topogr aph i c Position Index, TPI) 를 적용하여 전국 단위의 상대표고 분석 가능성을 검토하였다. TPI 모델 도출 결과와 기존 환경부 국토환경성 평가에 사용한 Gaia EZeye 모델 결과를 중첩 비교한 결과 정확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 PDF

Analysi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Landform and Forest Fire Severity (지형과 산불피해도와의 관계 분석)

  • Lee, Byung-Doo;Won, Myoung-Soo;Jang, Kwang-Min;Lee, Myung-Bo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 /
    • v.11 no.1
    • /
    • pp.58-67
    • /
    • 2008
  • Topography factors, as homeostasis variables at forest fire, affect the formation of fuel load patterns, atmospheric phenomena and forest fire behavior. Examination of the correlation between landforms and fire severity is important to decision making for fire hazard analysis and fighting strategies. In this study, fire severity was analyzed using Normalized Burn Ratio(NBR) derived from pre- and post-fire Landsat TM/+ETM images and landform were classified based on Topographic Position Index(TPI) in Samcheok(2000), Cheongyang(2002), and Yangyang(2005) forest fire regions. F-tests and Duncan's multi-range test between landform and fire severity showed that fire severities of headwater, high ridges, and upper slopes is higher than ones of local ridges, midslope ridges, and plains. Fire severity were more sensitive in coniferous forest than broadleaf forests.

  • PDF

A study on the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of Jeju Island basin rain gauge by altitude through optimization technique (최적화 기법을 통한 제주도권역 강우관측소의 고도별 분포특성 검토)

  • Tae Rim Kim;Hyeok Jin Lim;Chi Young Kim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3.05a
    • /
    • pp.352-352
    • /
    • 2023
  • 본 연구에서는 제주도권역 강우관측소의 고도별 공간분포의 적정성을 평가하기 위한 방안으로 고도별 강우관측소의 최근린지수(Nearest Neighbor Index, NNI)를 산정하고 현재 강우관측소 공간분포의 적정성을 평가하였다. 또한, 제주도권역을 고도에 따라 등면적으로 구분하고, 고도마다 상이한 지형조건을 고려하기 위해 등면적으로 구분된 각 강우관측소의 최대 NNI를 최적화 기법의 하나인 화음탐색법(Harmony Search, HS)을 이용하여 산정하였다. 이와같이 현재 강우관측소설치위치를 기준으로 산정한 NNI와 HS를 이용하여 산정한 최대 NNI의 차이를 바탕으로 지형적인 특성을 고려한 제주도권역 강우관측소 분포를 비교·검토하였다. 그 결과 고도가 높아짐에 따라 강우관측소의 개수가 낮은 고도에 비해 상대적으로 적어 관측소 밀도가 작은 것으로 산정되었다. 향후 제주도권역 강우관측소의 지형적인 특성을 반영한다면 보다 효율적인 제주도권역 강우량관측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Disaster risk predicted by the Topographic Position and Landforms Analysis of Mountainous Watersheds (산지유역의 지형위치 및 지형분석을 통한 재해 위험도 예측)

  • Oh, Chae-Yeon;Jun, Kye-Won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Disaster and Security
    • /
    • v.11 no.2
    • /
    • pp.1-8
    • /
    • 2018
  • Extreme climate phenomena are occurring around the world caused by global climate change. The heavy rains exceeds the previous record of highest rainfall. In particular, as flash floods generate heavy rainfall on the mountains over a relatively a short period of time, the likelihood of landslides increases. Gangwon region is especially suffered by landslide damages, because the most of the part is mountainous, steep, and having shallow soil. Therefore, in this study, is to predict the risk of disasters by applying topographic classification techniques and landslide risk prediction techniques to mountain watersheds. Classify the hazardous area by calculating the topographic position index (TPI) as a topographic classification technique. The SINMAP method, one of the earth rock predictors, was used to predict possible areas of a landslide. Using the SINMAP method, we predicted the area where the mountainous disaster can occur. As a result, the topographic classification technique classified more than 63% of the total watershed into open slope and upper slope. In the SINMAP analysis, about 58% of the total watershed was analyzed as a hazard area. Due to recent developments, measures to reduce mountain disasters are urgently needed. Stability measures should be established for hazard zone.

Extraction of the Talus Distribution Potential Area Using the Spatial Statistical Techniques - Focusing on the Weight of Evidence Model - (공간통계기법을 이용한 애추 분포 가능지역 추출 - Weight of evidence 기법을 중심으로 -)

  • Yu, Jaejin;JANG, Dong-Ho
    • Journal of The Geomorphological Association of Korea
    • /
    • v.21 no.4
    • /
    • pp.133-147
    • /
    • 2014
  • Reducing the range of target landform, is required to save the time and cost before real field survey in the case of inaccessible landform such as talus. In this study, Weight of Evidence modeling, which is a Target-driven spatial analysis statistics methods, has been applied to reduce the field survey range of target landform. In order to apply the Weight of Evidence analysis, a likelihood ratio was calculated on the basis of the result of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geomorphic factors and GIS information after selection of geomorphic factors regarding talus. A best combination, which has the biggest possibility for Talus Potential Index, was found by using SRC and AUC methods after calculating the number of cases for each thematic maps. This combination which includes aspect, geology, slope, land-cover, soil depth and soil drainage factors, showed quite high accuracy by 74.47% indicating the ratio of real existent talus to potential talus distribution.

Analysis of Mountainous Watershed Risk Considering the Topography Characteristics (지형 특성을 고려한 산지유역 위험도 분석)

  • Oh, Chae Yeon;Jun, Kye Won;Jun, Byong Hee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8.05a
    • /
    • pp.427-427
    • /
    • 2018
  • 최근 집중호우나 극한 강우사상으로 인하여 산사태나 토석류와 같은 산지재해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으며 특히 우리나라는 지형 특성상 주거지역이 산지와 인접해 있는 경우가 많아 재해발생 시 피해를 가중시키는 원인이 되고 있다. 산지재해는 예측하기가 어렵고 산지에서 발생한 토석류가 계곡을 따라 흘러 내려와 도심지 및 산지와 인접한 도로나 주택지에 많은 피해를 발생 시키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해마다 반복적으로 발생하고 있는 산사태나 토석류와 같은 재해의 피해저감과 원인분석을 위하여 강원도 삼척시 도계읍 일대를 대상지역으로 선정하고 산지유역의 위험성 분석을 위하여 사면안정성 예측 모델인 SINMAP 모형을 사용하여 산지재해가 발생 가능한 위험지역 및 안전한 구간을 분석하고 지형분류기법 중의 하나인 Topographic Position Index(TPI) 분석방법을 통해 대상지역의 지형위치지수를 계산하여 위험지형을 분류하였다.

  • PDF

Preliminary Study for Soil Moisture Measurement System in the Mountainous Hillslope (산림 사면에서의 토양 수분 측정 시스템구축을 위한 사전연구)

  • Jin, Sung-Won;Kim, Sang-Hyun;Kwon, Kyu-Sang;Lee, Yeon-Kil;Jung, Sung-W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8.05a
    • /
    • pp.1142-1146
    • /
    • 2008
  • 토양수분은 지표수의 유출과정을 설명하는 과정에서 중요인자이며, 생태수문학의 핵심변수이자 기상모형의 결정적인 입력변수이다. 또한 토양수분의 공간적 시간적 특징들은 강우 및 지하수와 토양수분간의 순환 구조를 규명하는데 매우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산지사면의 토양수분을 체계적으로 측정하는데 필요한 시스템의 구축을 위한 기초조사 및 사전분석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우수한 토양 수분 측정 장비인 TDR 장비 매설에 앞서 대상유역 선정에 대한 여러 가지 고려사항을 검토하고 수치지형 분석 등을 통한 사전분석을 실시하였다. 대상유역을 선정하기 위해서는 대상유역의 자료획득의 용이함, 지정학적, 시스템 운영적 측면에서의 가용성, 그리고 정밀측량 및 부수적요인 등 여러 요소의 고려가 요구된다. 본 연구에서는 경기도 파주시 적성면 설마리의 설마천 유역내 감악산 범륜사 우측 산지 사면을 측정대상 사면으로, 지정학적 위치, 식생분포, 지질구조 및 심도 등의 토양특성의 고려를 통해서 선정하였다. 또한 대상 사면에 흐름 발생 및 분포를 계산하기 위해서 대상사면의 지표 및 기반암 표고를 정밀 측량하였으며, 기반암 또는 풍화대까지의 깊이를 실측하여 지표면 및 지하면의 수치지형 모형을 구축하였다. 이를 대상사면 및 지하면에 대하여 표고수치지형모형(Digital Elevation Model:DEM)으로 도식한 후 흐름 발생 공간 분포를 계산하였다. 흐름발생공간분포예측은 단방향 알고리즘, 다방향 알고리즘, 흐름 분배 알고리즘 그리고 다중무한방향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지형인자인 기여사면적과 지형습윤지수를 계산하였다. 각 분배알고리즘의 의해 도출된 지형인자들로 인한 흐름발생 공간적 분포특성을 비교하였다. 이는 합리적인 토양수분 측정시스템을 구축하는데 중요한 의사결정 수단으로 판단된다.

  • PDF

Soil Moisture Measurement System in the Mountainous Hillslope located at Chunmichun Watershed (청미천 산지사면에서의 토양 수분 측정 시스템구축 연구)

  • Sun, Han-Na;Joo, Seung-Hyo;Kim, Sang-Hyun;Kwon, Kyu-Sang;Lee, Yeon-Kil;Lee, Jin-Won;Jung, Sung-w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9.05a
    • /
    • pp.1787-1791
    • /
    • 2009
  • 지표수의 유출과정을 설명하는 과정에서 중요인자이며, 생태수문학의 핵심변수이자 기상모형의 중요한 입력변수인 토양수분의 공간적 시간적 특징들은 강우 및 지하수와 토양수분간의 순환 구조를 규명하는데 매우 중요하다. 가장 널리 쓰이는 토양 수분 측정 장비인 TDR 장비 매설에 앞서 대상유역 선정에 대한 여러 가지 고려사항을 검토하고 수치지형 분석 등을 통한 사전분석을 실시하였다. 대상유역을 선정하기 위해서는 대상유역의 자료획득의 용이함, 지정학적, 시스템 운영적 측면에서의 가용성, 그리고 정밀측량 및 부수적요인 등 여러 요소의 고려가 요구된다. 청미천 유역을 대상으로 약 21 개의 대상후보사면을 정밀조사 하였으며, 충청북도 음성군 수레의산 청소련 수련원내의 산지 사면을 측정대상 사면으로, 지정학적 위치, 식생분포, 지질구조 및 심도 등의 토양특성의 고려를 통해서 선정하였다. 또한 대상 사면에 흐름 발생 및 분포를 계산하기 위해서 대상사면의 지표 및 기반암 표고를 정밀 측량하였으며, 기반암 또는 풍화대까지의 깊이를 실측하여 지표면 및 지하면의 수치지형 모형을 구축하였다. 대상사면 및 지하면에 대하여 표고수치지형모형(Digital Elevation Model:DEM)으로 도식한 후 흐름 발생 공간 분포를 계산하였다. 다양한 흐름 발생 알고리즘으로 기여사면적과 지형습윤지수를 계산하였다. 분배알고리즘의 의해 도출된 지형인자들로 인한 흐름발생 공간적 분포특성을 비교하여 센서의 매설 위치를 결정하였다. 센서 매설 위치에 대한 토양시료를 채취하여 토성을 분석한 결과는 미국 농무성 기준에 의한 분류로는 사양토로, 국제토양학회의 분류기준에 따르면 양토로 분류되었다. 대상사면의 유효입력강우를 확보하기위해서 개방공간인 수레의산 청소년수련원과 대상산림의 Canopy하부에 각각 강수측정 시스템을 설치하였고 약 6개월간 성공적으로 자료를 획득하였다.

  • PDF

Analysis on the Effects of Land Cover Types and Topographic Features on Heat Wave Days (토지피복유형과 지형특성이 폭염일수에 미치는 영향 분석)

  • PARK, Kyung-Hun;SONG, Bong-Geun;PARK, Jae-Eun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 /
    • v.19 no.4
    • /
    • pp.76-91
    • /
    • 2016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ffects of spatial characteristics, such as land cover and topography, on heat wave days from the city of Milyang, which has recently drawn attention for its heat wave problems. The number of heat wave days was calculated utilizing RCP-based South Korea climate data from 2000 to 2010. Land cover types were reclassified into urban area, agricultural area, forest area, water, and grassland using 2000, 2005, and 2010 land cover data constructed by the Ministry of Environment. Topographical features were analyzed by topographic position index (TPI) using a digital elevation model (DEM) with 30 m spatial resolution. The results show that the number of heat wave days was 31.4 days in 2000, which was the highest, followed by 26.9 days in 2008, 24.2 days in 2001, and 24.0 days in 2010. The heat wave distribution was relatively higher in agricultural areas, valleys, and rural areas. The topography of Milyang contains more mountainous slope (51.6%) than flat (19.7%), while large-scale valleys (12.2%) are distributed across some of the western region.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heat wave and spatial characteristics showed that the correlation between forest area land cover and number of heat wave days was negative (-0.109), indicating that heat wave can be mitigated. Topographically, flat areas and heat wave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0.305). These results provide important insights for urban planning and environmental management for understanding the impact of land development and topographic change on heat wav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