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지형공간자료

Search Result 991, Processing Time 0.03 seconds

A Development of Auto-Calibration for Initial Soil Moisture Condition in Distributed Runoff Model (분포형 유출모형의 초기토양함수상태 자동보정 기법 개발)

  • Park, Jin-Hyeog;Cha, Kee-Uk;Ryoo, Kyong-Sik;Hur, Young-Tec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9.05a
    • /
    • pp.971-975
    • /
    • 2009
  • 본 연구에서는 격자강우량과 GIS와 연계한 격자기반의 공간수문자료들을 모형의 입력매개변수로 활용하고, 수계망을 통하여 유역 출구까지 운동파(kinematic wave)이론에 의해 유출량을 물리적으로 추적해 나가는 격자기반의 분포형 강우-유출모형인 K-DRUM(Kwater Distributed RUnoff Model)을 개발하였고, 지표유출량에 가장 큰 영향을 주지만 실제 관측 및 적용이 용이하지 않은 유역의 초기토양함수상태에 대한 자동보정기법을 개발하였다. 개발된 자동보정기법을 이용하여 남강댐유역을 대상으로 적용가능성을 평가하였다. 연구에서 사용한 강우사상은 남강댐 유역에 큰 영향을 준 태풍 루사 (2002년 8월 31일 01시$^{\sim}$9월1일 23시), 태풍 매미 (2003년 9월 12일 01시$^{\sim}$9월13일 23시), 2004년의 대류성강우 (2004년 7월14일 01시$^{\sim}$7월 16일 10시) 및 태풍 에위니아 (2006년 7월 8일 18시$^{\sim}$7월11일 12시)의 총 4개의 사상을 대상으로 하였다. 개발한 유역의 초기토양함수상태 자동보정기법에 의한 유출모의의 적용성을 검토하기 위하여 모의에 사용된 매개변수 중 토지피복도에 의해 결정되는 조도계수와 토양도에 의해 결정되는 유효토심, 흡인수두계수, 공극률 및 투수계수는 4개의 강우사상에서 모두 동일한 조건으로 설정하였고, 유역내 토양 내부 수분함유량 산정을 위한 초기 기저유출량은 검토대상 기간 시점부에서 관측된 유출량으로 설정하였다. 초기토양함수상태 자동보정기법 적용을 통한 유출해석의 정확도는 체적오차 백분율(VER)과 첨두 유량 오차 백분율(QER)을 이용하여 평가하였으며, 이를 통해 본 모형이 유출량에 대한 정확성을 확보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자동보정 기법을 적용한 결과, 초기토양조건을 설정하는데 있어서 기존의 시행착오법으로 인해 소요되는 시간과 유역내 토양 특성과 지형형상을 고려하지 않는 설정으로 인해 발생될 수 있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었으며, 유출계산 결과도 유량의 크기와 첨두시간 모두 관측값과 비교적 잘 맞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Development of Hydrologic Components of CAT (Catchment hydrologic cycle Assessment Tool) (CAT 모형의 수문해석모듈 개발)

  • Noh, Seong-Jin;Kim, Hyeon-Jun;Jang, Cheol-Hee;Lee, Yong-Ju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9.05a
    • /
    • pp.159-163
    • /
    • 2009
  • CAT(Catchment hydrologic cycle Analysis Tool)은 기존 개념적 매개변수 기반의 집중형 수문모형과 물리적 매개변수 기반의 분포형 수문모형의 장점을 최대한 집약하여, 도시유역 개발 전 후의 장 단기적인 물순환 변화 특성을 정량적으로 평가하고 물순환개선시설의 효과적인 설계를 지원하기 위한 물순환 해석 모형이다. CAT은 수문학적으로 균일하게 판단되는 범위를 소유역으로 분할하여 지형학적 요인에 의한 유출 특성을 객관적으로 반영할 수 있으며, 개발 공간 단위별로 침투, 증발, 지하수 흐름 등의 모의가 가능하도록 하는 Link-Node 형식으로 개발되었다. 모형의 UI(User Interface)는 사용자가 손쉽게 모형을 적용 관리하고, 여러 시나리오를 동시에 효과적으로 모의하여 분석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다. 또한 모든 입력 출력 자료를 Excel이나 텍스트 형식과 연동되도록 하여 프로젝트별 매개변수 관리가 용이하도록 개발하였다. CAT의 수문해석모듈로 증발산, 침투, 유역 유출, 지하수 유거, 하도추적 등의 모듈을 개발하였다. 증발산은 기준 증발산을 외부에서 직접 입력하거나, Penman-Monteith 방법을 선택할 수 있으며, 침투는 토양의 수리전도도에 따른 연직방향 침투 및 사면방향 복귀류를 고려할 수 있다. 노드의 지하수 유거를 고려하여 기존 노드-링크 방식 모형의 장기 유출 해석시 제한점을 보완하였으며, 하도추적을 위해 Muskingum, Muskingum-Cunge, Kinematic wave 방법 등의 해석법을 제공하였다. CAT의 수문모듈을 이용하여 설마천 유역을 단일노드 및 멀티노드로 개념화하여 모의하였으며, 모의결과를 관측유량과 비교한 결과, 두 경우 적절한 범위내의 결과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CAT의 안정적인 수문해석 기능을 바탕으로 향후 물순환개선시설 모듈과의 결합을 통해 장기 물순환 해석에 광범위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PDF

Application of Enhanced Geothermal Systems for Jeju geothermal power plant (EGS 지열발전시스템을 적용한 제주 지열발전소)

  • Lee, Sang-Don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9.06a
    • /
    • pp.573-573
    • /
    • 2009
  • 지열에너지는 지구가 생성될 당시부터 지구 내부에 존재하는 무한한 열에너지로 온실가스 배출이 적으며 태양광이나 풍력 등 다른 신재생 에너지와는 달리 일정한 에너지를 공급할 수 있는 항상성 에너지로 기저부하를 담당할 수 있다. 지열을 이용한 전력 생산은 1904년에 이탈리아 라데렐로에서 처음으로 시작되었으며, 현재까지 화산지대를 중심으로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2001년에서 2005년 사이에 전세계 지열발전용량은 약 13% 증가하였으며, 2005년을 기준으로 약 8,933MWe의 지열발전설비가 가동 중이다. 최근 들어 지하 심부까지 시추하여 지열저장소(geothermal reservoir)를 형성하고 이를 통해 지열에너지를 생산하는 새로운 시스템인 EGS(Enhanced Geothermal Systems)가 개발됨에 따라 비화산지대에서도 지열발전소를 건설하려는 움직임이 가속화되고 있다. EGS는 지하 심부의 불투수성 결정질 암반에 존재하는 지열에너지의 경제적인 생산뿐만 아니라 물을 주입하여 생산시키는 순환 방식을 이용하여 지열에너지 획득의 매개 역할을 하는 지열수의 고갈 문제를 해결하였다. 결정질 암반에서의 지열저장소의 형성은 암반 내에 분포하는 불연속면에서 주로 발생하며, 이를 위한 압력 조건은 현지 암반의 응력 분포 특성과 암반 및 불연속면의 물성에 좌우된다. 시추공을 통해 지하 심부의 암반에 수압이 가해지면 물의 주입으로 불연속면의 마찰력이 감소하며, 이로 인해 불연속면에 전단변형이 발생하게 된다. 전단변형은 불연속면을 열린 상태로 유지시켜 지열저장소를 형성하게 된다. 불연속면의 전단 변형시 발생하는 미소 탄성파는 시추공 주변에 설치한 모니터링 장비에서 측정되며, 모니터링 장비에 의해 측정된 미소 탄성파 발생 지점의 클러스터는 지열저장소의 공간적 분포 및 규모를 추정할 수 있는 자료가 된다. 현재 EGS를 이용한 지열발전 프로젝트는 프랑스 슐츠, 스위스 바젤, 호주 하바네로에서 대표적으로 진행 중이다. 슐츠는 현재 1.5MWe의 파일럿 플랜트를 가동 중이며, 하바네로는 파일럿 플랜트 건설 단계를 진행중이다. 스위스 바젤은 지열저장소를 형성시킬 목적으로 수행된 주입시험에서 발생된 문제에 대한 기술의 신뢰성을 확보할 목적으로 잠시 중단된 상태다. 제주도는 신생대에 분출하여 형성된 대표적인 한국의 화산지형으로 지열부존 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예상되는 지역이다. 따라서 폐사는 지열에너지 부존 특성을 파악하기 위한 심부 물리 탐사 및 탐사정 시추가 실시될 예정이며 궁극적으로 국내 최초의 상용화된 지열발전소 건설을 목표로 하고 있다.

  • PDF

Distributed Rainfall-Runoff Analysis of Urban Basin with GIS Technique and Network Analysis (GIS 및 관망해석을 이용한 도시유역 분포형 유출해석)

  • Ryu, Hee-Sang;Kim, Mun-Mo;Kim, Young-Sub;An, Won-Sik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Hazard Mitigation
    • /
    • v.10 no.5
    • /
    • pp.143-148
    • /
    • 2010
  • In this study, the mixed model of the surface rainfall-runoff analysis using grid data and Illudas model was applied to the urban watershed of Bulgang river. After the surface rainfall-runoff was estimated with GIS data, the runoff hydrograph was calculated using network analysis at Jeungsan bridge, which is the final output of watershed. Estimated runoff hydrograph in this study was compared to the observed runoff hydrograph which is converted from the water stage at Jeungsan bridge. The relative errors of total runoff volume and peak discharge showed the range values of 11.70%~16.30% and 1.10%~6.96%, and then the difference of peak times had the values of less than 1 hour for 4 storms. Therefore, the mixed model in this study could be considered to estimate the runoff hydrograph for the prevention of disasters in urban watershed.

Estimation of Soil Erosion Using National Land Cover Map and USLE (USLE와 국가토지피복지도를 이용한 토양유실 추정)

  • Jeong, JongChul
    • Journal of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 /
    • v.25 no.6
    • /
    • pp.525-531
    • /
    • 2016
  • This study integrates the Universal Soil Loss Equation(USLE) with GIS method to assess the soil erosion for national land cover map between 2007 and 2014. The land cover change map and C factors of USLE were applied to the estimation of spatial distribution of sediment yield. However, they generated distinct results because of differences in their applied methods and calculation processes of national land cover map. To generate the USLE model, C factors of MOE(Ministry of Environment) were compared with soil erosion of Inje stadium development area at the Naerin watershed in Gangwon province to 2014. The several thematic maps of research area such as land cover map, topographic and soil maps, together with tabular precipitation data used for soil erosion calculation. The land cover change were carried with level-2 and high level land cover map of MOE and estimated maximum double of soil erosion.

Stable Isotope Studies for Constraining Water and Carbon Cycles in Terrestrial Ecosystems: A Review (안정 동위원소를 이용한 육상 생태계의 물과 탄소의 순환 연구: 재검토)

  • Lee Dongho
    • Korean Journal of Agricultural and Forest Meteorology
    • /
    • v.7 no.1
    • /
    • pp.15-27
    • /
    • 2005
  • The water and carbon cycles in terrestrial ecosystems are the essential database for better understanding of the causes and the current processes of climate change and for the prediction of its future change. CarboKorea and HydroKorea are dedicated research efforts to develop technologies to quantitatively interpret and forecast carbon/water cycles in typical landscapes of Korea. For this, stable isotope studies have been launched to genetically partition various components of carbon/water cycles in terrestrial ecosystems. From stable isotope studies, practical deliverables such as evaporation, transpiration and gross primary productivity (GPP) can be provided at scales from tower (footprint) to large watersheds. Such reliable field-based information will form an important database to be used for validation of the results from various eco-hydrological models and satellite image analysis which constitute main components of Carbo/HydroKorea project. Stable isotope studies, together with other relevant researches, will contribute to derive quantitative interpretation of carbon/water cycles in terrestrial ecosystems and support Carbo/HydroKorea to become a leading research infrastructure to answer pending scientific and socio-economic questions in relation to global changes.

Method to Extract Coastline Changes Using Unmanned Aerial Vehicle (무인항공기를 이용한 해안선 변화 추출에 관한 연구)

  • Lee, Kangsan;Choi, Jinmu;Joh, Chang-Hyeon
    • Journal of the Korean Geographical Society
    • /
    • v.50 no.5
    • /
    • pp.473-483
    • /
    • 2015
  • In a coastal area, a plenty of research has adopted remotely sensed data. This is because longterm interaction between land and ocean makes continuous geographical changes in a broad extent and unaccessible areas. However, conventional remote sensing platforms such as satellite or airplane has several disadvantages including limited temporal resolution and high operational costs. Hence, this study uses a UAV system to detect a coastline and its movement. Result of coastline detection shows how the coastline moves in a day. Time-series coastlines were derived from UAV aerial images through digital image processing. There is a drawback in the stability of UAV compared to the conventional remote sensing platform, but the advantage appears on the economical efficiency. Since the latest studies shows an improvement of UAV for a variety of purposes in many fields, a UAV can also be utilized for regional study and spatial data acquisition platform. geography can also utilize a UAV as a spatial data acquisition platform for regional study.

  • PDF

Characterization of the Variability of Summer Extreme Precipitation According to the Local Features (지역특성에 따른 여름철 극한강수 변화특성 분석)

  • Kim, Gwangseob;Kim, Jong Pil
    • KSCE Journal of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Research
    • /
    • v.31 no.2B
    • /
    • pp.129-146
    • /
    • 2011
  • Characterization the regional impact of the variability of summer extreme precipitation and the rain days over several thresholds (i.e. 10, 20, 30, 40, 50, 60, 70 and 80 mm/day) in South Korea was performed using daily precipitation data of 59 weather stations operated by Korean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KMA). To consider the local features of weather stations, we characterized the variability according to the difference of elevations, latitudes, longitudes, river basins, inland or shore area, and the ratio of urbanization. The results showed that the summer extreme precipitation is sensible to the geographical effect which is similar to that of the annual precipitation. Rain days over thresholds have increased during 1973-2009 while the annual rain days have decreased. This indicate that the concentration of precipitation in summer season will be intensified in the future. Increase of summer precipitation amount and number of extreme rain days is higher in inland area, urbanized area, and Han-River basin than that of shore area, unurbanized area, and the other river basins respectively.

Design of the Oslofjord Subsea Tunnel: A Case Study (노르웨이 Oslofjord 해저터널의 설계경향)

  • Shin, Hee-Soon;Park, Eui-Sub
    • Tunnel and Underground Space
    • /
    • v.17 no.1 s.66
    • /
    • pp.1-8
    • /
    • 2007
  • In Norway, about 30 subsea tunnels have been constructed over the last 20 years. The minimum depth of 17 subsea tunnels is 56 m and rock cover are between 23 and 49 m. As the project areas for subsea tunnel are covered by water, special investigation techniques need to be applied and the investigation results are more uncertain than that of most conventional tunnel projects. The indefinite potential of water inflow and the salinic character of ingress water represent considerable problems for tunnel equipment and rock support materials. The least stable conditions are represented by major faults or weakness zones containing heavily crushed rock and clay gouge. This paper introduces the Oslofjord subsea tunnel project including minimum rock cover requirement, risk of water inflow, investigation costs, construction costs, and traffic & operation costs.

Accuracy Analysis of Coastal Area Modeling through UAV Photogrammetry (무인항공측량을 통한 해안 지형 모델링의 정확도 분석)

  • Choi, Kyoungah;Lee, Impyeong
    • Korean Journal of Remote Sensing
    • /
    • v.32 no.6
    • /
    • pp.657-672
    • /
    • 2016
  • Coastal erosion happens frequently in many different types. To control coastal erosion zone effectively and establish response plans, we need to accumulate data indicating topography changes through monitoring the erosion situation continuously. UAV photogrammetric systems, which can fly autonomously at a low altitude, are recommended as an economical and precision means to monitor the coastal zones. In this study, we aim to verify the accuracy of the generated orthoimages and DEM as a result of processing the UAV data of a coastal zone by comparing them with various reference data. We established a verification routine and examined the possibilities of applying the UAV photogrammetric systems to monitoring coastal erosion by checking the analyzed accuracy by the routine. As a result of verifying the generated the geospatial information from acquired data under various configurations, the horizontal and vertical accuracy (RMSE) were about 2.7 cm and 4.8 cm respectively, which satisfied 5 cm, the accuracy required for coastal erosion monitor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