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지하저장탱크

검색결과 70건 처리시간 0.023초

폭발방지를 고려한 LPG 저장탱크 최적설계 (Optimization of Explosion Prevention for LPG Storage Tanks)

  • 임사환;허용정;손석우;임재기;이종락
    • 대한기계학회논문집A
    • /
    • 제34권7호
    • /
    • pp.897-903
    • /
    • 2010
  • 자동차 연료로 가스를 사용하는 것은 '삶의 질' 향상을 넘어 '생존'의 문제로 환경보존과 경제발전을 조화롭게 추구하는 '지속가능한 발전'이란 새로운 패러다임에 부흥하고 있다. 하지만 가스사용이 늘어나면서 폭발과 화재에 의한 인명피해가 해마다 발생하고 있으며, 대규모 저장시설에서의 가스 사고는 사회적으로 심각한 문제를 야기하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지하 격납 저장탱크에서의 폭발발생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한정된 내용적과 화염에 노출되는 표면적을 최소로 하는 폭발방지를 고려한 최적의 저장탱크를 설계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최적조건의 저장탱크를 설계한 결과, 20ton 저장탱크는 직경 3m, 길이 4.83m일 때 지하 격납 공간이 최소가 되었으며, 화염에 노출되는 표면적은 기존의 저장탱크에 비하여 89.4%로 줄어들어 안전성이 향상되었다.

반응증류공정을 이용한 에틸 터셔리부틸 이스 제조 (Preparation of Ethyl tert-Butyl Ether Using Reactive Distillation Process)

  • 박종기;조성철;한상섭;양정일
    • 한국에너지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에너지공학회 2002년도 추계 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31-37
    • /
    • 2002
  • 미국의 캘리포니아에서는 1995년도부터 휘발유의 옥탄가 향상제로 첨가되는 메틸 터셔리 부틸 이스(Methyl tert-Butyl Ether, MTBE)의 사용을 금지시켰다. MTBE의 사용이 금지된 가장 큰 이유는 MTBE의 물에 패한 용해도가 높아서 주유소 지하저장 탱크를 통하여 지하수를 오염시키고 저장탱크 바닥의 물을 배출시킴으로 인하여 지표수도 오염시키는 문제가 있었기 때문이다.(중략)

  • PDF

유류 및 유해화학물질 저장시설에서의 토양오염 방지대책 (Prevention of Soil Contamination from Underground Storage Facilities of Petroleum Product and Hazardous Chemical Compounds)

  • 배우근;홍종철;정진욱;김종호
    •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지:지하수토양환경
    • /
    • 제7권4호
    • /
    • pp.40-47
    • /
    • 2002
  • 본 연구는 유류저장시설에서의 토양오염 방지를 위한 국·내외 관련 시설과 기술 조사 및 관련 법규정 검토를 통해 국내 시설의 현황과 문제점을 도출하고 토양오염 방지조치시설의 기준을 구체화하거나 보완 또는 개선하여 보다 효과적인 토양오염 방지책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부식산화 방지를 위해 저장탱크는 강철-클래드 탱크, 내부 라이닝 탱크 또는 이중벽 탱크를 사용하고 배관은 내부식성 물질로 만든 배관을 사용하는 것이 비용경제적이며 효율적이라고 사료된다. 흘림방지를 위해 주유기 Sump를 설치할 필요가 있으며, 넘침방지 시설의 보호를 위해 유류의 주입방식을 가압식 주입에서 자연 유하식 주입으로 변경할 필요가 있다. 모든 탱크 및 배관 관련 시설은 저장물질의 누출여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자동누출측정기기, 증기 감지시설, 지하수 감시시설, 또는 이중벽 감시시설 등 저장물질의 누출여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한가지 이상의 모니터링 시설을 갖추어야 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GPR 탐사방법을 이용한 유류오염물질(LNAPL) 탐지 (LNAPL Detection with GPR)

  • 김창렬
    • 한국지구물리탐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구물리탐사학회 2001년도 정기총회 및 제3회 특별지포지움
    • /
    • pp.94-103
    • /
    • 2001
  • 유기 석유화학 오염 물질인 휘발유가 지하 분포 시, 지하수면 위 토양 매질(vadose zone)내에 존재할 수 있는 기체 상태(vaporphase)와, 지하수면의 상승 또는 하강에 의해 분포 할 수 있는 residual phase의 유류 오염 물질이 GPR에 미치는 반응을 조사하기 위하여 모래와 자갈을 토양 매질로서 채운 탱크를 이용한 모델 실험이 수행되었다. 물만 사용하여 지하수면의 상승과 하강을 유도한 후, 석유 수송을 위하여 지하에 매장된 파이프 혹은 석유저장을 위한 지하 탱크로부터 지하수면으로의 유류 오염을 simulation하기 위하여 모델 탱크바닥을 통하여 휘발유가 주입되었다. 본 연구 결과, 수분 함량에 따른 GPR의 민감성과 지하수면의 변화 관측에의 GPR 효율성이 입증되었다. 또한, 휘발성 유류 오염 물질의 기체상태가 vadose zone에 분포 시 GPR를 이용하여 탐지할 수 있는 가능성과, 지하수면의 상승에 의해 지하수면 밑의 물로 포화된 토양(water saturated zone)에 분포할 수 있는 residual phase의 유류 오염 물질의 탐지 가능성이 모델 실험을 통하여 확립되었다 그리고, residual phase의 유류 오염 물질이 지하수면 아래에 분포하는 오염지역에서 GPR을 이용한 유류 오염물질을 탐지할 수 있는 새로운 탐사전략이 제시되었다.

  • PDF

춘천시의 지하 저장 탱크의 예비적 위해성 평가를 위한 설치 현황 분석 및 지리정보시스템의 적용 (Analysis of Installation Status and Application of GIS for Preliminary Risk Assessment of Underground Storage Tanks in Chuncheon City)

  • 김준현;한영한;이종춘;권영성;이광연
    • 산업기술연구
    • /
    • 제22권A호
    • /
    • pp.127-135
    • /
    • 2002
  • In this study, the preliminary risk assessment for the underground storage tanks(UST) in Chunchon city was implemented using the geographical information system(GIS). The estimation variables, such as the installation year, storage capacity, the distances from streams, and from groundwater pumping wells, were selected to estimate the relative risk levels. The weighting factors were given to all the estimation variables. Cumulative scores were induced by the combination of all the scores of the corresponding variables using the buffering technique and the overlay analysis in ArcView. Using the these process, the relative risk level of each UST was estimated. Some sites in this study are simplified and reduced because the number of useable data are limited or too enormous. Thus the selection of the comprehensive estimation variables and the proper weighting values are required for the future study. The methodology in this study could be served not only for the preliminary risk assessment of UST but also for the selection of the proper location of new and old UST. And, it can be used for the effective management system of UST.

  • PDF

지하수면 위의 LNAPL 이동을 고려한 용질이동에 대한 분석 (Analyses on Solute Transport with the Movement of an LNAPL on the Water Table)

  • 김지훈;최종근
    •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지:지하수토양환경
    • /
    • 제8권3호
    • /
    • pp.1-7
    • /
    • 2003
  • 지하 유류저장탱크에서 유류가 지속적으로 누출되는 경우에는 지하수 이동에 비해서 LNAPL의 이동을 무시할 수 없다. 본 연구에서는 지하수면 위에서 LNAPL의 이동을 고려한 수정된 용질이동 모델을 개발하였다 LNAPL 이동을 고려하지 않는 기존 모델과 비교한 결과 수두 구배, 누출되는 기름의 양, 분산지수에 따라 두 모델은 차이점을 보였다. 수두 구배가 낮을수록, 누출되는 유류의 양이 증가할수록 수정된 모델과 기존 모델 사이의 평균편차가 증가하였다. 분산지수가 변화함에 따라서 평균편차는 변하지 않았지만, 분산지수가 증가할수록 두 모델 사이의 편차는 공간적으로 보다 넓게 나타났다. 수직방향으로의 분산이 크게 나타날 경우에는 LNAPL의 이동을 고려한 모델과 이동을 고려하지 않은 모델과의 차이가 지하수 유동 방향뿐만 아니라 수직방향으로도 크게 나타났다. 결국 LNAPL의 이동을 무시할 수 없는 지하환경에서는 기존의 모델을 가지고 용질이동을 모사할 경우 실제보다 농도가 낮게 추정될 가능성이 높다. 이 연구의 결과로 LNAPL이 지하수면 위에서 얼마나 빨리 이동하는지 아는 것이 올바른 오염물의 농도 예측에 중요하다는 것을 파악하였다.

법랑을 이용한 음식물 쓰레기 및 퇴비 발효조 개발 (Development of Slurry Store System with Enamel Ware)

  • 한두희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4권3호
    • /
    • pp.145-149
    • /
    • 2003
  • 내화학성이 강하고 반영구적이며 외관이 미려한 조립식 법랑 판넬을 이용한 가축 분뇨 및 음식물 쓰레기의 처리에 사용할 수 있는 저장 탱크의 설계 및 제작에 관하여 연구하였다. 일반 콘크리트 저장랭크에 비하여 30%이상의 시공 비용 절감 효과를 얻었으며, 법랑을 이용하여 지상에 건설하여 침출수를 원천적으로 방지하고, 지하에 일시 저장한 분뇨를 펌프를 사용하여 지상으로 끌어 올려 숙성 발효시키는 액비 탱크에 적용하여 시공하였다.

  • PDF

콘크리트 타설에 따른 지하식 LNG 저장탱크 컴프레션링 거동 분석 (The Analysis of Inground LNG Storage Tank Compression Ring Behavior during Concrete Pouring)

  • 김영균;김지훈;윤인수;오병택;양영명
    • 한국가스학회지
    • /
    • 제9권2호
    • /
    • pp.16-21
    • /
    • 2005
  • LNG저장탱크에서의 컴프레션링의 역할은 콘크리트 벽체에 고정되어 Steel 루프 플레이트를 연결지지 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한쪽 끝부분은 콘크리트 벽체에 묻혀 고정되며 다른 쪽 끝부분은 루프 플레이트와 용접 연결되어 중첩된다. 이러한 조건에서 예측되는 하중 조건인 자중, 내부압력 및 콘크리트 무게에 대한 충분한 안전성을 확보하도록 설계되어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유한요소법과 실제 시공 시 계측을 통해 획득한 데이터를 이용하여 콘크리트 타설 시공에 따른 컴프레션링의 거동을 파악하였다. 또한 설계변수 변화에 따른 컴프레션링의 거동을 분석한 결과를 기본으로 하여 보다 합리적인 설계법을 제시 하고자 하였다.

  • PDF

지하수위와 수온 변동에 나타난 부지 규모 지하수 흐름장의 복잡성 (Complexity of Groundwater Flow System in a Site Reflected in the Fluctuations of Groundwater Level and Temperature)

  • 박종훈;이동엽;우남칠
    • 자원환경지질
    • /
    • 제55권6호
    • /
    • pp.563-570
    • /
    • 2022
  • 이 조사는 지상에 존재하는 지하수의 잠재오염원(저장탱크)으로부터 오염물질 누출 시, 이를 조기 진단하기 위한 지하수 오염관측망의 설계 인자로서 부지 규모 지하수환경의 시공간적 변동성을 파악하고자 시행되었다. 부지 내 위치한 저장탱크 주변에 22~25 m 심도로 3개의 관측공을 설치하고, 이들로부터 약 22개월 동안 2분 간격으로 지하수위와 수온 변화를 관측하였으며, 이 자료는 주변 기상관측소의 강수 및 기온 자료와 비교 분석되었다. 조사기간 동안 지하수위의 연 변화와 강수 현상에 대한 반응, 지하수온의 변동과 기온에 대한 지연시간 등은 비교적 작은 규모의 부지에서도 지하수 흐름과 유동 경로의 복잡성을 지시한다. 따라서 오염누출 감시를 위한 지하수 관측망은 상세한 부지특성화 조사 결과에 근거하여 부지 지하수환경의 복잡성을 충분히 고려하여 설계되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