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지체모형

Search Result 273, Processing Time 0.032 seconds

Development of a Bi-objective Cycle-free Signal Timing Model Using Genetic Algorithm (유전자 알고리즘을 이용한 이중목적 주기변동 신호시간 결정 모형 개발)

  • 최완석;이영인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 /
    • v.20 no.5
    • /
    • pp.81-98
    • /
    • 2002
  • This paper documents the development of a bi-objective(minimizing delays and Queue lengths) cycle-free signal timing length model using Genetic Algorithm. The model was embodied using MATLAB. the language of technical computing. A special feature of this model is its ability to concurrently manage delays and queue lengths of turning movement concurrently. The model produces a cycle-free signal timing(cycles and green times) for each intersection on the cycle basis. Appropriate offsets could be also accomplished by applying cycle-free based signal timings for respective intersections. The model was applied to an example network which consists of four intersections. The result shows that the model produces superior signal timings to the existing signal timing model in terms of managing delays and queue lengths of turning movements.

A Study on the Factors to Affecting Career Success among Workers with Disabilities (지체장애근로자의 직업성공 요인에 관한 연구)

  • Lee, Dal-Yob
    • Korean Journal of Social Welfare
    • /
    • v.55
    • /
    • pp.131-153
    • /
    • 2003
  • This study was aimed at investigating important factors influencing career success among disabled workers. The current researcher scrutinized the degree to which variables and factors affect the career success and occupational turnover rates of the research participants. The participants in this study (n=837) were 374 workers with disabilities and 463 workers without disabilities.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results of factor analysis showed important categories of conceptual themes of career success. The initial conceptual factor model did not accord with the empirical one. Second, both research participant groups seemed to be influenced by their occupational types. However, all predictive variables excluding the wage rate and the average length of work years had significant impact on job success for the disabled work group, while all the variables excluding the frequency of advice and length of working years had significant impact on job success for the non-disabled worker group. Third, the turnover rate was significantly influenced by the age and the experience of turnover of the research participants. However, the number of co-workers was the strongest predictive variable for the worker group with disabilities, but the occupation choice variable for the worker group without disabilities. Fifth, as a result of verifying the hypothetical path model, it showed that the first model was somewhat proper and could predict the career success on both research participant groups. In conclusion, the following research implications can be suggested. The occupational type of research participants was one of the most important variables to predict the career success for both research participant groups.

  • PDF

Experimental Study on the Interval of Emergency Exits in Long Traffic Tunnels (장대 교통터널의 피난연락갱 설치 간격에 관한 실험적 연구)

  • Yoo Yongho;Yoon Sungwook;Kim Jin;Yoon Chanhoon
    • Tunnel and Underground Space
    • /
    • v.15 no.1 s.54
    • /
    • pp.61-70
    • /
    • 2005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smoke movement for the case of fire and to determine the interval between emergency exits in long tunnels. Based on Froude modeling, the 1/50 scaled model tunnel (20 m long) was constructed by acrylic tubes and tests were carried out systematically. From the strong relationship between CO propagation time and distance through the tunnel, it was found that the optimal escaping time was 6 minutes in case of 20MW fire. But, regarding passengers' psychological state under fire, another one minute of delay time should be considered. Therefore, the total escaping time should be estimated by 5 minutes. The interval between the emergency exits for vehicle passengers was calculated by 250 m with respect to the 5 minute of escaping time.

Detention System Design Model with consideration of the rainfall distribution and mutual connection (강우 분포 및 상호 관련성을 고려한 유수체계 설계 모형)

  • Lee, Beom-Hui
    • The Journal of Engineering Research
    • /
    • v.6 no.1
    • /
    • pp.75-81
    • /
    • 2004
  • To solve the urban flood problems, it must get the enough channel conveyances and pumping capacities. It needs set up the detention system to control the flow over the channel capacity. Inspite of this detention system, the peak flow may increased by rainfall distribution and the delay of flow. This shows a design model of detention system which can consider the time problems from mutual connections of the detention storages and pumping flow using IDP(Incremental Dynamic Programming) method.

  • PDF

Development of Detention System Design Model with Consideration of the Rainfall Distribution and Mutual Connection (강우 분포 및 상호 관련성을 고려한 유수체계의 최적 설계 모형 개발)

  • Lee, BeumHee
    • Journal of the Korean Geophysical Society
    • /
    • v.7 no.2
    • /
    • pp.151-155
    • /
    • 2004
  • To solve the urban flood problems, it must get the enough channel conveyances and pumping capacities. It needs set up the detention system to control the flow over the channel capacity. Inspite of this detention system, the peak flow may increased by rainfall distribution and the delay of flow. This shows a design model of detention system which can consider the time problems from mutual connections of the detention storages and pumping flow using IDP(Incremental Dynamic Programming) method.

  • PDF

Models for Determining the Vehicle and Pedestrian Volumes for the installation of Pedestrian Pushbuttons (보행자 작동신호기 설치기준 정립을 위한 적정 차량 및 보행자 교통량 추정모형)

  • YOON, Seung Sup;YANG, Jae Ho;KIM, Nam Seok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 /
    • v.33 no.5
    • /
    • pp.488-496
    • /
    • 2015
  • The main reason to install pedestrian pushbuttons is improving traffic operations. The current guideline for the installation of signal systems with pedestrian pushbuttons is car-oriented. It is difficult to clearly understand the guideline because there isn't an in-depth study to compare the pros and cons of the pedestrian- and vehicle-oriented methods in terms of waiting time. Thus, this study aims to estimate the waiting times of pedestrians and vehicles. The two delay times are compared considering the hypothetical circumstances such as geometry, pedestrian crossing time, pedestrian/vehicle counts and arrival distribution. The results show that when the pedestrian traffic volume exceeds 97 ped/h in the case of a two-lane road (one lane in each direction) the pushbutton system is effective and beneficial to pedestrians. It means that the total waiting time of pedestrians is less than the one of vehicles. Additional four scenarios are designed and tested by varying the number of lanes and design speeds. In conclusion, the pushbutton signal is more beneficial for pedestrians when the number of pedestrians is less than or equal to 85, 70, and 70 ped/h for the three-lane scenario, the four-lane with the design speed of 80km/h scenario, and the four-lane with the design speed of 100km/h, respectively.

Identification of Nash Model Parameters Based on Heterogeneity of Drainage Paths (배수경로의 이질성을 기반으로 한 Nash 모형의 매개변수 동정)

  • Choi, Yong-Joon;Kim, Joo-Cheol;Jung, Kwan-Sue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43 no.1
    • /
    • pp.1-13
    • /
    • 2010
  • For the first time, this study identifies Nash model parameters by GIUH theory based on grid of GIS with heterogeneity of drainage path. Identified parameters have advantages to improve accuracy and usefulness with considering hillslpoe-flow, geomorphological dispersion and easily extracting geomorphological factors by GIS in the watershed. Calculated results by identified parameters compare with observation data for verification of this model. The comparison is well correspondence between observed data and calculated results. And the comparison results of changing trends about lag time and the variance as hillslope and channel characteristic velocities sensitively present changes about hillslope characteristic velocity. Thus this model justifies that estimation of hillslope characteristic velocity demands with the great caution.

Hydrological Analysis of Lateral Inflow (측방유입의 수문학적 해석)

  • Kim, Hayoung;Park, Changyeol;Yoo, Chulsang
    • 한국방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1.02a
    • /
    • pp.200-200
    • /
    • 2011
  • 실제 유역에서 지류유입량(tributary inflow)의 형태로든 사면류의 형태로든 측방유입은 반드시 존재한다. 측방유입이 하도의 지배적인 흐름이 되는 경우 이는 유출수문곡선의 종거값과 형태를 변화시키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된다. 따라서 측방유입의 형태를 저류상수 및 집중시간과 같은 수문학적 특성으로 적절하게 표현할 수 있다면, 전체 유역 내에서 측방유입의 지체효과 및 저류효과를 파악하는데 크게 기여하게 된다. 측방유입과 관련된 선행연구들을 살펴보면, Saint-Venant 방정식을 근간으로 하는 연구가 주를 이루고, Muskingum 하도추적모형 또는 Muskingum-Cunge 하도추적 모형을 확장한 연구가 나머지 부분을 차지한다(Hayami, 1951; Dooge et al. 1982). 지금까지 수행된 대다수의 연구들은 수치해석적으로 측방유입의 유출량을 모의하거나 혹인 관측값이 존재하는 경우 역으로 측방유입의 특성을 유추한 것들로 다소 복잡하고, 관측값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적용이 어려운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유역의 물리적인 특성과 주하도의 특성만을 이용하여 측방유입의 특성을 대략적으로 유추하는 것이 가능하다면, 전체유역과 각 소유역의 관계는 전체유역의 물리적인 특성과 주하도의 수문학적 특성만으로 충분히 파악할 수 있게 된다. 다시 말해 유역분할 시 각 소유역 사이의 관계를 고려하여 전체유역의 유출량을 파악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Muskingum 하도추적모형을 재해석한 순간단위도를 이용하여 측방유입의 수문학적 해석을 시도하였다. 대상유역으로는 격자형태의 사각형과 삼각형 유역을 임의로 가정하였으며, 각각의 유역에서의 순간단위도를 선형하천모형과 선형저수지모형의 합으로 유도하였다. 이때 저류상수는 하도길이와 비례한다는 가정을 바탕으로 사각형과 삼각형 유역에서의 저류상수 및 집중시간을 유도하였다. 특히 유역 출구에서 최원점에 위치한 격자에서 유출이 발생시간을 집중시간으로 가정하였으며, 이 시점에서의 종거값과 기울기를 이용하여 저류상수를 유도하였다. 그 결과, 선형하천과 선형저수지모형 각각은 집중시간과 저류상수로 특징지어짐을 알 수 있었으며, 결정된 측방유입의 저류상수 및 집중시간이 적절한 것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향후 대유역에서 유역분할의 효과뿐만 아니라 홍수량 할당문제를 입증하는데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 PDF

Analysis of peak flow reduction for rainfall characteristics in optimal sewer networks (최적 우수관망에서의 강우특성별 첨두유출량 저감양상 분석)

  • Lee, Jung-Ho;Ryu, Seung-Hyun;Song, Yang-Ho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1.05a
    • /
    • pp.248-248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도시유역 우수관거 시스템의 근본적인 목적인 내수침수 방재 효과를 최대화하기 위하여 첨두 유출량 최소화를 목적으로 하여 개발된 우수관망 최적설계 모형(이정호, 2010)을 이용하여 실제 도시유역에 대하여 다양한 인공적인 강우 사상들을 적용하여 실제 강우 발생 시 첨두유출량 저감의 효과가 발생할 수 있을 것인가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 이용한 최적 우수관망 노선 결정 모형은 이정호(2010)가 개발한 모형으로 도시유역에서의 우수관망의 노선 결정을 유출구에서의 첨두유출량을 최소화하는 것을 목적으로 이루어지도록 최적화기법을 이용하여 개발한 모형이다. 이정호(2010)는 개발된 모형을 통하여 도시유역에서 유출구 첨두유출량을 최소화하여 관망 노선을 결정한 결과 설계빈도를 초과하는 강우에 대해서 내수침수 발생이 저감되는 효과를 가져올 수 있음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이정호(2010)의 우수관망 최적 설계 모형의 적용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각기 다른 인공적인 강우를 적용하여 최적화된 우수관망에서의 유출구 첨두유출량의 저감 양상을 분석하였다. 분석에 적용된 강우사상은 설계빈도에 해당하는 강우사상에 대하여 강우의 첨두치가 일정한 시간 간격을 두고 연속되어 발생하는 강우사상들에 대하여 모의하였다. 분석 결과 강우의 첨두치가 연속되는 경우에도 최적화된 관망에서의 첨두 유출량은 현재의 관망에 비하여 감소치가 두드러지게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강우의 첨두유출량 발생 시각은 각 우수관망별로 1분 및 2분 정도의 차이를 나타내고 있으며, 따라서 최적화된 우수관망이 시스템 내의 지체 현상에 따른 첨두유출량 감소를 유발하는 것이 아닌 관망 전체에서의 유입량의 적정 분배에 따른 것임을 나타낸다.

  • PDF

Application of Fluent Model for Surface Drainage Analysis on Bridge (교면에서 표면배수 해석을 위한 Fluent 모형 적용)

  • Kim, Jung Soo;Lee, Sung Ho;Cho, Hyun Ho;Han, Chung Such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8.05a
    • /
    • pp.251-251
    • /
    • 2018
  • 도로설계기준(2012)에 따르면 노면 배수시설은 측구, 집수정, 배수관, 배수구(빗물받이, 맨홀) 등으로 구성되며 중앙분리대 배수에서 구조가 방호벽일 경우 원칙적으로 집수정과 종배수관, 횡배수관을 설치하여 노면수를 배수한다. 최근 기후변화에 따른 국지성 집중호우로 교량 배수시설의 배수능력 부족으로 교량의 노후화, 노면의 체수와 수막현상을 야기한다. 교량 설계 시, 교량의 외관은 점배수에 의한 배수불량으로 막힘부에서의 식물생육, 부식, 배수구의 오염 등으로 심미성에 악영향을 미치고 있다. 따라서 국토교통부 도로 배수시설 설계 및 관리지침에서는 기존의 집수정으로 유도하여 배수하는 점배수 형태에서 우수의 지체시간을 저감하기 위해 배수구로 즉시 배수되어 배수 효율을 증가시켜주는 선배수시설을 권장하고 있다. 그러나 선배수 구조의 일반적인 내용만을 기술하고 있으므로 보다 상세한 설계기준이 필요하다. 또한 국내에서는 교면 배수를 위한 횡배수구의 배수능력에 관한 설계 개념은 미국의 빗물받이 설계 개념을 그대로 적용하고 있어서 교량 배수시설의 배수능력 증대를 위한 수치 및 수리실험에 관한 기술적인 자료가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도로의 흐름해석 및 선배수를 위한 측구 횡배수관의 흐름개선에 관한 구체적인 연구가 필요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배수로 전반의 유향 분석 및 횡유입관 유입부에서의 상세한 흐름해석과 통수능력을 분석하기 위해서는 수리실험을 통한 연구가 필요한 실정이다. 그러나 최적 횡배수관의 형상 및 간격 설정에 대한 수리실험의 물리적 및 시간적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Fluent 모형(Ansys Workbench 13.0)을 활용한 수치모의를 수행하여 모형의 적용성을 검토하였다. 다상유동 해석을 위해 VOF(Volume of Fluid)방법을 적용하였고, 수치해석 방법으로는 비정상류, 난류 모형으로는 standard ${\kappa}-{\varepsilon}$모형을 적용했다. 도로 형상에 따른 우수유출량을 비교 분석하기 위하여 횡경사는 2%로 고정하고 종경사를 2%로 선정하여 수치모의를 통한 배수능력을 분석하고 설계에 직접적인 적용성을 검토하였다. 횡배수관의 간격변화 및 배수공의 위치 변화 등에 따른 차집량을 분석하였으며, 개략적인 수리실험 결과와 수치모의의 차집율을 비교 및 분석하여 Fluent 모형의 적용성을 확인하였다. 또한, 횡배수관의 유입부에서의 유속 변화 및 유출부에서의 유속이 모의가 가능하므로 배수시설에서 보다 정확한 흐름 해석이 가능하여 보다 적정한 배수능력 분석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