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지질자료

Search Result 1,960, Processing Time 0.033 seconds

Analysis of debris flow movement and diffusion zone, on August 2020 (2020년 8월 토석류 발생지역의 이동확산범위 분석)

  • Kim, Minseok;An, Hyunuk;Lee, Seongjun;Kim, Jisu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1.06a
    • /
    • pp.235-235
    • /
    • 2021
  • 아시아 몬순기후의 영향에 의해 우리나라는 2020년 7월부터 9월까지 약 90일간의 장마로 인해 크고 작은 수재해가 발생하였다. 특히, 안성, 충주, 음성 그리고 곡성 등에서 인명피해가 발생하였으며, 그 외 13개소에서 많은 재산 피해가 발생하였다. 2020년 산사태/토석류 재해로 인한 전국적인 피해액은 약 3,900억으로 보고되고 있으며, 매년 집중호우에 의해 피해 양상이 변하고, 도시지역에서의 발생이 빈번하게 늘고 있다. 집중호우에 의한 산사태/토석류 전이 피해를 저감시키기 위해서는 발생 물질이 어디까지 이동할 수 있는지에 대한 위험범위확산에 대한 연구가 중요하며, 이런 연구를 기반으로 인명피해를 줄이기 위한 연구가 필요하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천수방정식, 유변학특성 식 그리고 연행침식 식을 조합하여 개발된 적응형 격자기반 2차원 토석류 모델을 이용하여 안성, 음성 그리고 단성지역에서 발생했었던 산사태/토석류 전이 피해 양상을 해석하였다. 산사태 발생 후 2~3일 이내에 지표 지질 및 지형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UAV 및 항공사진을 이용하여 산사태 및 토석류의 형태를 맵핑하였다. 지질 및 지형조사 시 간이 Vein tester를 이용하여 야외에서 토양 물성관련 자료를 취득하였으며, 토석류의 이동 흔적(나무 등에의 토석류 타격 흔적)을 이용하여 조사지점에서의 최대 토석류 흐름 깊이를 추정하였다. 정확한 토석류의 유속에 대한 자료 부족으로 2011년 우면산에서 발생한 약 26m/s의 속도를 이용하여 토석류의 흐름 특성을 계산하였다. 이와 더불어 연행침식의 계산을 위해 발생지점 부터 토석류가 퇴적된 하류부까지 기반암의 노출 및 퇴적 정보를 통해 최대 침식 깊이를 추정하여 입력자료로 활용하였다. 토석류 맵핑자료와 비교 결과 정확도가 90%이상으로 나타났으며, 토석류 발생 후 안성 200초, 음성 180초 그리고 단성 180초 이내로 토석류가 하류까지 이동할 수 있는 것으로 계산되었다. 본 연구와 같이 산사태/토석류 발생 메커니즘 해석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를 통해 산지 재해에 의한 인명 피해를 줄일 수 있는 토석류확산범위 해석에 대한 연구가 지속적으로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Establishing A Database for the Management and Utilization of Geological Research Data: Focusing on the Classification of Rocks and Minerals and 3D Models (지질 연구 자료의 관리와 활용을 위한 데이터베이스 구축: 암석, 광물의 분류와 3D 모델을 중심으로)

  • Ko, Bokyun;Lee, Chang-Wook;Park, Sungjae;Lee, Ki-Young
    •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 /
    • v.41 no.2
    • /
    • pp.137-146
    • /
    • 2020
  • A great number of geological research data have been produced by individually conducted researchers and then personally stored in domestic universities and research institutes. However, it is difficult to share data with other researchers owing to low and limited accessibil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ystematically establish metadata for inaccessible data, to manage them collectively and to provide opportunities for utilizing the data to those who require efficient research methods. Approximately 1,000 geological specimens (900 rocks and fossils, 100 thin sections) were gathered, along with their metadata such as high-resolution photographs, classification, name, owner, address, and geographical coordinates of the sample site, to establish their features. Additionally, 3D modeling data for 100 rocks and fossils were generated. On the basis of this study, it is possible for researchers to access and share crucial geological data that have a high potential to be lost and have been neglected in restricted spaces; by avoiding the wasted time, energy, and costs caused by repetitive collection of data, researchers may perform effective research and achieve qualified and competitive research results. Moreover, vulnerable and important geological data in the field can be protected from damage caused by indiscriminate, repetitive collection of specimens that have previously been secured. Through the establishment of additional metadata concerning the diversity of rocks, fossils, and thin sections kept at other universities and research institutes, much more data can be recognized, leading to advanced research results. Furthermore, specialized comparison and analysis of basic mineralogy and petrology knowledge are anticipated, based on the use of the metadata.

Corrections for Sampling biases of borehole data to characterize deep fractured rock mass (심층 절리암반의 구조특성 규명을 위한 시추공 자료편향 보정법)

  • 엄정기
    • Proceedings of the KSEG Conference
    • /
    • 2003.04a
    • /
    • pp.27-35
    • /
    • 2003
  • 시추공에서 측정된 절리자료의 샘플링 편향오류를 보정하는 절차를 기술하였다. 시추공에서 절리의 방향이 관측될 수 있는 확률은 시추공에 대한 절리의 상대적인 방향 이외에도 절리의 크기, 절리의 모양 및 시추공의 반경 과 길이와 같은 요인에 의하여 결정될 수 있으며, 이러한 요인들에 의하여 나타날 수 있는 절리자료의 방향편향을 보정할 수 있는 방법론을 제시하였다 유한 길이의 시추공으로부터 산정된 절리의 간격분포는 샘플링 영역인 시추공 길이의 영향에 의한 산정치의 오류를 내포하고 있으며, 이에 대한 보정법을 고찰하였다.

  • PDF

점추정법을 이용한 암반사면의 파괴확률 산정

  • 박혁진;장범수;민경덕
    • Proceedings of the KSEEG Conference
    • /
    • 2003.04a
    • /
    • pp.165-168
    • /
    • 2003
  • 최근 사면의 안정해석분야에서 자주 사용되고 있는 확률론적 해석 방법은 현장에서 획득 되는 자료들의 분산이 심하고 충분한 양의 자료가 획득되지 못할 경우 자료 내에 포함되는 불확실성과 가변성을 효과적으로 다룰 수 있는 방법 중의 하나로 인식되어 왔다. 그러나 대개 확률론적 해석 방법에서 이용되는 몬테카를로 시뮬레이션기법(Monte Carlo simulation method)은 파괴확률을 산정하기 위하여 수 많은 반복적인 계산과정이 요구되며 따라서 많은 시간과 노력이 필요하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중략)

  • PDF

Contribution of Hydrogeological Factors to Groundwater Recharge Ratio (수리지질학적 변수들의 지하수 함양률에 대한 기여도 평가)

  • 문상기;우남칠
    • Economic and Environmental Geology
    • /
    • v.35 no.5
    • /
    • pp.479-490
    • /
    • 2002
  • The aim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contributions of each hydrogeological factors to groundwater recharge ratios in order to determine areal estimates of recharges in entire inland area of South Korea. For this purpose, various statistical analyses and overlay techniques of GIS were conducted fur entire area and 4 river basins of South Korea. As a result, the spatial distribution of recharge, South Korea were visualized.

A State-of-the-Practice Review on the Management of the Domestic Geotechnical and Geological Information Data (국내 지질 및 지반조사 자료 관리 현황에 대한 실용적 고찰)

  • Jang, Yonggu;Jeon, Heungsoo;Chae, Deokho;Cho, Wanjei
    • Journal of the Korean GEO-environmental Society
    • /
    • v.14 no.4
    • /
    • pp.39-46
    • /
    • 2013
  • Recently, there have been various researches on the cost reduction and savings during the construction activities with the development of automation and computerized information system. Considering the cost savings during the construction, the development of the geological and geotechnical information system with high practical use becomes very important since the geologic and geotechnical data are required for the design of the various structures. Currently, the geological and geotechnical data are collected and distributed as a geological/geotechnical map or engineering geology map and map with other specific purpose through geoinfo system at Korea Institute of Geoscience and Mineral Resources, Korea Mineral Resources GIS at Korea Mineral Resources Corporation, Geotechnical Information Portal System at Korea Institute of Construction Technology, Geotechnical Information System at the City of Seoul and the Ocean Data Integration Material System at Korea Hydrographic and Oceanographic Administration. Furthermore, the information on the groundwater is monitored and collected via Integrated Ground Water Information Service at Korea Water Resources Corporation and Rural Groundwater net at Korea Rural Community Corporation. Therefore, in this study, the contents of the geological and geotechnical data collected from the above mentioned government organization are compared and the DB and distribution system with higher utilization are suggested based on the comparisons with those from other countries such as United States of America, Japan and German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