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지지활동

검색결과 512건 처리시간 0.023초

학령전기 아동 어머니의 아동 신체활동 지지 (Factors Influencing Maternal Support for Physical Activity of Preschool Children)

  • 라진숙;채선미
    •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 /
    • 제20권1호
    • /
    • pp.30-38
    • /
    • 2014
  •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학령전기 아동 어머니의 아동 신체활동 지지의 수준을 파악하고, 아동 신체활동 지지에 대한 영향요인을 확인하는 것이다. 방법 자가보고식 설문조사 방법을 적용하였으며, 대전 소재 3개 유치원에 다니는 만 3-6세 학령전기 아동의 어머니의 156명의 자료가 분석되었다. 결과 본 연구 결과, 전반적인 신체활동 지지 수준은 4점 만점 $2.69{\pm}0.35$점이었고, 세부적으로 볼 때, 장비 또는 경제적 지원 $2.61{\pm}0.61$점, 모델링 $2.42{\pm}0.54$점, 지역사회자원 이용 $2.55{\pm}0.47$점, 좌식활동제한은 $3.18{\pm}0.51$점으로 나타나 신체활동 지지 수준은 중등도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미국 부모의 지지와 비교하여 낮은 수준이다. 어머니의 아동 신체활동 지지에 대한 영향요인은 가정의 경제적 수준, 특히 월수입 500만 원 이상인 경우(${\beta}$=.417, p =.002)이며, 아동 신체활동 지지에 대한 어머니의 자기효능감(${\beta}$=.231, p =.003), 아동 신체활동 지지를 위한 충분한 정보(${\beta}$=.173, p =.022), 아동 신체활동 지지를 위한 교육경험(${\beta}$=.237, p =.002)이었다. 결론 본 연구의 결과에 의하면, 부모의 아동 신체활동 지지를 증진시키기 위해서는 부모의 신체활동 지지 자기효능감 증진을 위한 전략 개발과 충분한 전문적 정보제공이 필요하다. 추후연구로서 아동 신체활동 지지를 위한 부모교육 프로그램과 가족 중심의 아동 신체활동 증진 프로그램의 개발이 필요하며, 부모의 아동 신체활동 지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추가 탐색되어야 할 것이다.

생산적 활동과 이에 대한 가족의 지지가 여성 노인의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Productive Activities and Family Support on Elderly Women's Psychological Well-being)

  • 조윤주
    • 한국인구학
    • /
    • 제30권2호
    • /
    • pp.23-44
    • /
    • 2007
  • 본 연구는 유임금 노동, 자원봉사, 손자녀 양육과 같은 대표적인 생산적 활동에 참여하는 여성 노인을 대상으로 생산적 활동과 이에 대한 가족의 지지가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실시되었다. 상기한 활동별로 각 100명씩 총 300명을 면접 조사하였는데, 이 중 자원봉사자의 심리적 안녕감이 가장 높았으며, 활동시 가족으로부터 받는 지지는 손자녀를 돌보는 노인이 가장 많았다. 또한 이들의 안녕감을 설명하는 변인을 유형별로 살펴보면 유임금 노동을 하는 여성 노인의 경우 교육 수준이 높을수록, 활동에 대한 금전적인 보상이 적을수록, 심리적 안녕감이 높았다. 자원봉사를 하는 여성 노인은 활동에 대한 만족도가 높을수록, 활동에 대해 가족으로부터 도구적 지지를 많이 받을수록, 안녕감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손자녀를 양육하는 여성 노인은 배우자가 있는 경우, 총가계소득이 높을수록, 활동에 대한 금전적인 보상이 많을수록, 가족으로부터 활동에 대한 정서적 도구적 지지를 많이 받을수록, 심리적 안념감이 높았다. 본 연구는 여성 노인을 생산적 활동의 주체로서 조명한다. 그리고 이들이 행하는 생산적 활동들을 종합, 비교하여 살펴보았으며, 이를 통해 여성 노인의 심리적 안녕감을 고양할 수 있는 토대를 마련하였다는 점에서 연구의 의의가 있다.

노인의 사회체육활동과 사회적 지지 및 고독감의 관계 (Relationship between Participation in Sport for All, Social Support and Solitude among the Aged)

  • 강호정;김경식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7권11호
    • /
    • pp.280-288
    • /
    • 2007
  • 이 연구는 노인의 사회체육활동 경험에 따라 사회적 지지 및 고독감의 차이를 규명한 다음, 참가정도가 사회적 지지 및 고독감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며, 나아가 이들 세 변수간의 인과관계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이 연구는 2006년 서울 경기 거주 65세 이상의 노인을 연구대상으로 설정하였으며, 집락무선표집법을 활용하여 300명을 추출하였다. 최종 자료분석에 활용된 사례수는 245명이었다. 이 연구에서 사용된 측정도구는 설문지이며, 설문지의 타당도 및 신뢰도는 요인분석과 신뢰도분석을 통하여 검증되었다. 특히, 설문지의 신뢰도는 분석결과, Cronbach's ${\alpha}$값이 .775이상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는 SPSSWIN 15.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공변량분석, 회귀분석과 경로분석을 실시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방법 및 절차를 통해 도출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노인의 사회체육활동 경험에 따라 사회적 지지는 차이가 없다. 둘째, 노인의 사회체육활동 경험에 따라 고독감은 차이가 있다. 즉, 사회체육활동 참가 노인이 비참가 노인에 비해 고독감은 낮다. 셋째, 노인의 사회체육활동 정도는 사회적 지지에 영향을 미친다. 즉, 사회체육활동 강도가 높을수록 물질적, 정서적 지지와 정보적 지지는 높다. 넷째, 노인의 사회체육활동 정도는 고독감에 영향을 미친다. 즉, 사회체육활동 빈도가 많을수록 고독감은 낮다. 다섯째, 사회체육활동 정도는 사회적 지지 및 고독감에 인과적 영향을 미친다. 즉, 사회체육활동 정도는 고독감에 직접적 영향을 미칠 뿐만 아니라, 사회적 지지를 통하여 간접적인 영향을 미친다.

장애인 활동지원사의 심리적 소진과 이직의도의 관계 : 전담인력의 사회적 지지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The Relationship between Psychological Exhaustion and Turnover Intention of PAS Assistants for Disabled People: Focusing on Mediating Effects of Social Support of Dedicated Workforce)

  • 정새봄;전주람;임해영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0권3호
    • /
    • pp.309-323
    • /
    • 2020
  • 본 연구는 장애인 활동지원사들이 인식하는 심리적 소진과 이직의도, 전담인력의 사회적 지지 세 변인간 구조적 관계를 탐색하여 사회적 지지가 심리적 소진과 이직의도 및 두 변인간의 관계에 미치는 영향을 보고자 하였다. 연구결과를 통하여 장애인 활동지원사의 이직의도 경감을 위한 대안마련에 기초자료로 활용하고, 궁극적으로 활동지원서비스의 품질을 높이는 데 도움이 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서울소재 11개 활동지원서비스 기관에 근무하고 있는 장애인 활동지원사 274명을 대상으로 심리적 소진, 이직의도, 사회적 지지 척도로 구성한 설문을 실시하여, 전담인력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장애인 활동지원사의 심리적 소진은 이직의도를 높이고, 장애인 활동지원사가 지각한 전담인력의 사회적 지지는 심리적 소진을 낮추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전담인력의 사회적 지지는 심리적 소진과 이직의도 간의 인과관계를 부분적으로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장애인 활동지원사의 심리적 소진 경감 및 이직의도에 활동지원 전담인력의 사회적 지지가 미치는 긍정적인 영향력이 높음을 의미하는 결과로, 활동지원사의 이직의도를 낮추기 위하여 전담인력의 사회적 지지가 중요한 자원이 됨을 시사한다.

여성독거노인의 우울과 삶의 질과의 관계: 사회적 지지, 사회적 활동의 조절효과 및 매개효과 (Relationship Between Depression and Quality of Life in Elderly Women Living Alone: The Moderating and Mediating Effects of Social Support and Social Activity)

  • 림금란;김희경;안정선
    • 한국노년학
    • /
    • 제31권1호
    • /
    • pp.33-47
    • /
    • 2011
  • 본 연구의 목적은 여성독거노인의 우울과 삶의 질과의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와 사회적 활동의 역할 즉 조절 효과와 매개효과를 검정하여 그들의 우울을 줄이고 삶의 질을 높이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있다. 서술적 조사연구로써 K시의 여성독거노인 129명을 대상으로 2010년 6월부터 7월 까지 설문지를 이용하여 자료수집하고, SPSS Win 18.0 program으로 통계처리 하였다. 연구결과 여성독거노인의 평균 연령은 77.5세, 평균 독거기간은 14년이었다. 여성독거노인의 우울은 2.65점(±.42)으로 보통이상의 우울을 경험하고, 삶의 질은 2.80점(±.57), 사회적 지지는 3.34점(±.57)으로 보통정도의 삶을 영위하며 중간정도의 사회적 지지를 받는다고 생각하였다. 사회적 활동 중 여가활동은 3.75점(±1.08), 봉사활동은 3.80점(±.00)으로, 여가활동 시 보통이상의 만족도를 가지며, 경제활동은 2.84점(±1.00)으로 경제활동 시 보통정도의 만족도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성독거 노인의 우울과 삶의 질은 역 상관관계(r=-.745, p=.004)이며, 사회적 지지(r=.544, p=.000), 여가활동(r=.480, p=.024)과 경제활동(r=.711, p=.001)은 순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또한 사회적 지지와 사회적 활동의 조절효과는 없었고 사회적 활동의 매개효과도 없었다. 그러나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는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사회적 지지와 사회적 활동의 조절효과가 없어서 사회적 지지와 사회적 활동이 여성독거노인의 우울과 상호작용하여 삶의 질을 높일 수 있다고 할 수 없다.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는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나, 여성독거노인의 우울은 사회적 지지를 통하여 그 정도가 완화되며 사회적 지지가 높을수록 삶의 질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추후 사회적 지지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여성독거노인의 우울과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도록 유도하며, 사회적 활동에 대한 조절효과와 매개효과에 대한 반복연구가 필요하다.

노인의 여가활동과 사회적 지지가 심리적 복지감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the Leisure Activity and Social Support of the Elderly on Their Psychological Well-Being)

  • 이갑숙;임왕규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2권10호
    • /
    • pp.291-306
    • /
    • 2012
  • 본 연구는 노인의 여가활동과 사회적 지지가 심리적 복지감에 미치는 영향과 사회적 지지의 조절역할을 탐구하는데 그 목적이 있었다. 본 연구를 위해 서울 소재 노인종합복지관, 노인대학 및 노인문화센터 10곳의 여가활동프로그램에 참여하는 347명의 노인들로부터 자료를 수집하였다. 자료수집도구로는 구조화된 질문지를 사용하였으며, 가설검증을 위한 주된 분석방법으로는 단계적 회귀분석방법을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생산적 여가활동은 심리적 복지감의 긍정적 차원인 생활만족도의 증진과 부정적 차원인 고독감의 감소에 중요한 영향을 미쳤으나, 소비적 여가활동은 생활만족도의 증진에만 상대적으로 작은 영향을 미쳤다. 둘째로, 생활만족도 증진에는 배우자지지가 가장 중요한 영향을 미치고 그 다음으로 자녀지지, 친구지지의 순으로 나타난 반면에, 고독감 감소에는 친구지지가 가장 중요한 영향을 미치고 그 다음이 배우자지지였으며, 자녀지지는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마지막으로, 사회적 지지의 세 유형 중에서 배우자지지와 친구지지의 두 유형이 생산적 여가활동과 생활만족도 간의 관계를 조절하며, 생산적 여가활동과 고독감 간의관계에 대해서는 친구지지만 조절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가 갖는 이론적 실천적 함의를 논의하였으며, 향후연구방향을 제시하였다.

저출산 사회에서 지역사회연계와 정책참여를 통한 가정과교육의 역할 (Role of Home Economics Education in a Low Fertility Society by Community Involvement, Public Policy Participation, and Advocacy)

  • 이경숙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24권1호
    • /
    • pp.73-84
    • /
    • 2012
  • 본 연구의 목적은 저출산 사회에서 가정교과내용, 지역사회와 연계활동, 정책참여와 지지활동의 측면에서 가정과교육의 역할과 나아갈 방향을 모색하는 데 있었다. 2007 개정 교육과정에 반영된 저출산 관련 내용을 살펴본 결과, 가정교과에서는 8학년, 9학년, 10학년에서 학년별 연계성을 가지고 체계적으로 내용을 구성하여 미래에 가정을 꾸릴 학생들에게 긍정적인 가족관과 자녀관을 가질 수 있도록 하였다. 반면 사회교과에서는 저출산 고령화 현상의 원인과 해결방안을 살펴보는 것으로 한정되어 있고, 과학교과에서는 임신과 출산의 과정을 과학적 지식으로 다루고, 도덕교과에서는 저출산과 직접적으로 관련되는 내용을 거의 다루고 있지 않았다. 즉, 가정교과가 저출산을 다루는 주 교과로서의 역할과 책임이 있다. 중등학교와 지역사회, 대학과 지역사회를 연계한 교육과정의 개발, 동아리 활동, 구체적인 수업 방법을 개발하여 청소년들이 지역사회의 맥락에서 다양한 방법으로 인구문제와 관련한 활동을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또한 가정학 전문가의 적극적인 정책참여와 지지활동은 개인, 가족, 사회, 국가정책에 기여하며, 교과의 역랑을 발휘하여 저출산과 관련한 인구문제를 해결하는 교과로 거듭날 수 있다. 가정과교육의 나아갈 방향으로 저출산 극복을 위해 창의적 체험활동의 동아리 활동, 지역사회 봉사활동, 범교과 활동을 지원할 수 있는 다양한 프로그램의 개발에 가정과 교사가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지역사회에서 가족 아동 육아 저출산 고령화와 관련한 인구문제에 전문적인 지식을 갖춘 가정과 교사로서 평생교육의 강사요원으로 활동하며, 저출산 극복을 위한 적극적인 정책참여와 지지활동에 참여할 것이 제안되었다. 이를 통하여 자신의 삶과 지역사회, 국가의 안녕을 위한 변화의 주체를 육성하는 교과로 위상을 높일 수 있다.

  • PDF

사회활동과 성공적 노화의 관계에서 노화불안의 매개효과와 사회적지지의 조절효과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Activities and Successful Aging Mediating Effect of Aging Anxiety and Moderating Effect of Social Support)

  • 서대석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8권10호
    • /
    • pp.575-583
    • /
    • 2018
  • 본 연구는 사회활동과 성공적 노화의 관계에서 노화불안의 매개효과와 노화불안과 성공적 노화의 관계에서 사회적지지의 조절효과를 분석하여 사회활동을 통한 성공적 노화 방안을 모색하기 위함이다. 조사대상은 경기도 거주 만60세 이상 고령자이며 총513명이 설문에 참여했고 이 중 450부를 분석에 사용했다. 분석은 회귀분석을 활용한 매개효과 및 조절효과 검증을 사용하였다. 분석결과, 사회활동은 노화불안을 낮추고 성공적 노화 향상에 도움이 되며, 노화불안은 사회활동과 성공적 노화의 관계에서 매개효과를 보이고, 노화불안과 성공적 노화의 관계에서 사회적지지의 조절효과를 확인했다. 이를 바탕으로, 사회활동 제공기관들은 사회활동 프로그램을 다양화하되 노화불안 완화 효과를 거둘 수 있도록 사업 체계를 개편하고, 참여자끼리 상호지지 체계를 구성하여 사회활동을 통한 성공적 노화가 더욱 효과를 거둘 수 있도록 관리될 필요가 있음을 제안하였다.

노인의 사회체육활동이 사회적 지지에 미치는 영향 (The Relationship between Participation in Sport for All and Social Support among Older Person)

  • 강호정;김경식
    • 한국콘텐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텐츠학회 2007년도 추계 종합학술대회 논문집
    • /
    • pp.286-288
    • /
    • 2007
  • 이 연구는 노인의 사회체육활동 경험에 따라 사회적 지지의 차이를 규명한 다음, 참가정도가 사회적 지지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이 연구는 2006년 서울 경기 거주 65세 이상의 노인을 연구대상으로 설정하였으며, 집락무선표집법을 활용하여 300명을 추출하였다. 최종 자료 분석에 활용된 사례 수는 245명이었다. 이 연구에서 사용된 측정도구는 설문지이며, 설문지의 타당도 및 신뢰도는 요인분석과 신뢰도분석을 통하여 검증되었다. 특히, 설문지의 신뢰도는 분석결과, Cronbach's ${\alpha}$값이 .775이상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는 SPSSWIN 15.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공변량분석 및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노인의 사회체육활동 경험에 따라 사회적 지지는 차이가 없다. 둘째, 노인의 사회체육활동 정도는 사회적 지지에 영향을 미친다. 즉, 사회체육활동 강도가 높을수록 물질적, 정서적 지지와 정보적 지지는 높다.

  • PDF

베이비부머의 여가활동과 노후준비가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과 배우자 지지의 조절효과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Effects of Baby Boom generation' Leisure and Preparation for Old Aged on life satisfaction and moderated regression for Spouse support)

  • 정은경;김종근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5권10호
    • /
    • pp.501-512
    • /
    • 2017
  • 본 연구는 베이비부머의 여가활동과 노후준비가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과 배우자 지지의 조절효과에 대한 연구를 통해 그들의 특성과 욕구를 파악하는데 목적이 있다. 서울시에 거주하는 베이비부머(1955년생-1963년생)를 연구대상으로, 총 406부의 설문자료를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여가활동은 삶의 만족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며, 둘째, 노후준비와 독립적 여가활동 수준은 삶의 만족도에 정(+)의 영향을 미쳤다. 셋째, 노후준비는 여가활동 수준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매개하였으며 넷째, 배우자지지는 노후준비와 여가활동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조절역할을 하였다. 다섯째, 배우자지지의 조절효과는 경제적 노후준비에 의해 매개되어 삶의 만족도에 부(-)의 영향을 미치고, 신체적 노후준비에 의해 매개되어 삶의 만족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이전 세대와는 다른 특성을 가진 베이비부머가 노년의 행복한 삶을 영위하기 위하여 관련 산업분야와 정부부처 등에서 융 복합적인 관점의 접근을 통해 다양한 정책마련과 전략수립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