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지정면

Search Result 228, Processing Time 0.027 seconds

Design & Implementation of a Spatio-Temporal Data Generator for Moving object Databases (이동객체 데이타베이스를 위한 시공간 데이타 생성기의 설계 및 구현)

  • 정종환;전세길;나연묵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3.10b
    • /
    • pp.82-84
    • /
    • 2003
  • 위치 기반 서비스 시스템은 이동객체에 대한 효율적인 검색을 가능하게 해주는 시스템으로 이동객체의 현재와 과거 위치에 대한 정보를 유지한다. 이러한 시스템을 평가하기 위해서는 이동객체들의 사실적인 움직임을 기술한 데이타 집합이 필요하다. 이러한 데이타 집합을 생성하는 대표적인 생성기로는 GSTD가 있다. 하지만 GSTD도 몇 가지 문제점을 지니고 있다. GSTD에 의해서 생성되는 작업공간과 데이타 집합은 실생활 객체의 움직임을 묘사하는데 부적절한 면이 있다. 또한 GSTD가 제공하는 매개변수 안에 사용자가 객체의 이동성과 시간성을 명확히 기술 해줄 수 있는 부분이 제시 되어 있지 않다. 본 논문에서는 GSTD의 여러 매개변수들과 함수들을 변환하거나 추가하여 좀 더 현실적인 객체 움직임을 나타내는 데이타 집합을 만들고, 사용자가 객체의 특성을 세밀히 지정해 줄 수 있는 확장된 GSTD를 구현한다. 또한 확장된 GSTD 기반 LBS 시뮬레이터의 설계와 구현에 관한 원리를 포함한 주요 특징을 기술한다. 확장된 GSTD는 다양한 LBS 응용 시스템의 성능 측정에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PDF

Remote Touch Interaction System for Intelligent Office Control (지능형 오피스 환경 제어를 위한 원격 터치 인터렉션 시스템)

  • Bae, Ki-Tae;Nam, Byeong-Cheol
    • Proceedings of the KAIS Fall Conference
    • /
    • 2010.05a
    • /
    • pp.221-224
    • /
    • 2010
  • 본 논문에서는 레이저 포인터를 이용하여 지능형 오피스 환경을 자유롭게 제어 할 수 있는 지능형 정보처리 시스템을 제안한다. 저가의 웹캠을 이용하여 카메라로부터 입력된 레이저 포인터 스팟의 위치를 자동 검출한 후 검출된 위치좌표정보를 컴퓨터상의 제어 명령 이벤트와 매칭 시킨다. 매칭이 이루어 진 후 사용자는 레이저 포인터를 이동시키면서 보조자의 도움 없이 자유롭게 디스플레이 화면을 제어할 수 있다. 사용자는 화면상의 임의의 영역을 특정 명령영역으로 지정할 수 있는 가상 키패드 인터페이스를 통해 특정 프로그램이나 가전 기기를 제어할 수 있다. 실험 결과를 통해 제안한 시스템이 기존의 원격 제어 방법에 비해 가격이나 성능 면에서 뛰어난 결과를 보임을 확인할 수 있다.

  • PDF

Emergency Storage Utilization Effect Considering Water Supply Adjustment Standard (용수공급조정기준을 고려한 비상용량 활용 효과 -합천댐을 대상으로-)

  • Ahn, Jaehong;Ji, Jungwon;Yi, Jaeeu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6.05a
    • /
    • pp.155-155
    • /
    • 2016
  • 화석연료 사용으로 인한 지구온난화는 평균 기온 및 해수면 상승과 함께 기후변화를 야기하여 수자원 관리에 어려움을 증대시키고 있다. 우리나라도 기후변화로 인한 홍수 및 가뭄의 피해가 커지고 있으며 심도 또한 증대되고 있는 추세이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수자원 시설물을 건설하여 대비하고 있지만 설계 당시 이용할 수 있었던 수문자료의 한계로 인해 최근 발생하고 있는 문제를 해결하기엔 어려움이 있다. 또한 대부분의 다목적댐은 가뭄과 같은 비상 상황에 활용할 수 있도록 비상용량을 확보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사용에 관한 명확한 기준이 없어 거의 활용되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가뭄에 취약한 낙동강 유역 중 이수용량 대비 비상용량이 가장 큰 합천댐을 대상으로 HEC-ResSim 모형을 이용하여 실제 다목적댐에 적용된 용수공급조정 기준을 고려한 비상용량 활용에 따른 용수공급능력 변화를 모의하였다.

  • PDF

국제 개인정보보호 표준화 동향 분석(2022년 4월 SC27 WG5 전자 회의 결과를 중심으로)

  • Youm, Heung Youl
    • Review of KIISC
    • /
    • v.32 no.4
    • /
    • pp.77-84
    • /
    • 2022
  • 2020년 8월 5일 통합 개인정보보호법 [3]이 본격적으로 시행되면서 데이터의 보호와 활용을 동시에 만족할 수 있는 가명처리 개념이 도입되었다. 여러 개인정보처리자로 수집된 가명정보를 결합하기 위한 결합 관리기관이 지정되고 있다. 개인정보보호 국제표준은 관행이나 기술을 국제표준으로 개발하여 상호 연동이 가능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품이나 서비스의 경쟁력을 강화하는데 활용할 수 있다. 개인정보보호 국제표준화를 주도적으로 추진하고 있는 대표적인 국제표준화 그룹은 국제표준화위원회/전기위원회 합동위원회 1/서브위원회 27/작업그룹 5 (ISO/IEC JTC 1/SC 27/WG 5)를 들 수 있다. 이 그룹의 의장님 독일 쾨테대학 Kai Rannenberg 교수가 맡고 있다. 여기서는 2020년 4월 전자회의 이후에는 개인정보보호 분야 3건의 국제표준을 채택하였다. 차기 회의는 2022년 9월 룩셈부르그에서 펜데믹 이후 최초로 대면과 비대면으로 개최될 예정이다. 본 고에서는 이 그룹에서 2020년 4월 이후 추진되고 있는 개인정보보호 관련 국제표준화 동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또한 지난 4월 SC27 WG5 전자 회의에서 논의된 개인정보보호 관련 주요 표준화 이슈와 대응 방안을 제시한다.

Assessing Vulnerability to Flood Disaster in Jeju area (제주지역 침수재해 취약성 평가)

  • Park, Changyeol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1.06a
    • /
    • pp.338-338
    • /
    • 2021
  • 우리나라 최남단에 위치한 광역자치단체인 제주특별자치도는 태풍의 길목에 위치한 지정학적 특성, 한라산 영향에 의한 호우의 산지효과, 기후변화로 인한 해수면상승 가속화 등에 의해 재해 위험이 매우 높은 지역이다. 또한, 연안지역에 위치한 주거지, 숙박시설 입지 특성과 더불어 해안가의 개발수요 증가에 따라 재해취약성도 지속적으로 악화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제주지역을 대상으로 침수재해 취약성을 평가하고, 취약지역 특성을 파악한다. 그 결과, 도 내의 취약지역 분포와 취약등급에 따른 지역적 특성을 알 수 있었으며, 이를 토대로 취약지역 여건에 맞는 도시계획적 방재대책에 대한 시사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상과 같은 결과는 기후변화 심화로 인한 호우 패턴 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전방위적인 방재시설이 필요함은 물론, 취약지역에 적합한 도시계획적 관점의 관리대책이 마련되어야 함을 시사한다.

  • PDF

3-Dimensional Terrain Model of Ruins Distribution Using GIS (GIS를 이용한 유적분포 3차원 지형모델)

  • Kwak, Young-Joo;Kang, In-Joon;Jang, Yong-Gu;Kang, Young-Shin;Kim, Sang-Seok
    •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Geospatial Information Science
    • /
    • v.12 no.4 s.31
    • /
    • pp.27-33
    • /
    • 2004
  • Recently, as a part of NGIS project, cultural-assets digital map is produced by cultural properties administration and local autonomous entities. Cultural-assets unified GIS(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is essential to cultural properties managers md other organizations which are executing land related business for appling it at planning stage. With explosive national land developments, it has been obligated to implement surface survey by the cultural properties protection Art. In this paper, the authors used the district of Sachon city and made 3D terrain model using digital map which is made of 1/5000 stale. Moreover, the authors improved to RDBMS(Relational Database Management System) structure and remodeled the existing DB design in detail, and also tried recovery of past sea level, based on researches about the water level of southern area. By recover past sea level. the shell mound, apart from lever is actually near lever at past, and it make sure its nature. The authors suggested to realize shape and kind of remains which have 3D information of accuracy and actualization from surface-surveying to excavation.

  • PDF

Analysis of Surface Image Velocity Field without Ground Control Points using Drone Navigation Information (드론의 비행정보를 이용한 지상표정점 없는 표면유속장 분석)

  • Yu, Kwonkyu;Lee, Junhyeong
    • Ecology and Resilient Infrastructure
    • /
    • v.9 no.3
    • /
    • pp.154-162
    • /
    • 2022
  • In this study, a technique for estimating water surface velocity fields in the Universal Transverse Mercator coordinate system using the GPS information of a propagating drone but not ground control points is developed. First, we determine the image direction in which the upper side of an image is directed based on the navigation information of the drone. Subsequently, we assign the start and end frames of the video used and determine the analysis range. Using these two frames, we segment the measurement cross-section into a few subsections at regular intervals. At these subsections, we analyze 30 frame images to create spatio-temporal volumes for calculating the velocity fields. The results of the developed method (propagating drone surface image velocimetry) are compared with those of the existing method (hovering drone surface image velocimetry), and relatively good agreement is indicated between both in terms of the velocity fields.

Restriction of groundwater drawdown levels in one representative drought-prone zone (상습가뭄지역 지하수위 한계치 설정 연구)

  • Lee, Byung Sun;Myoung, Wooho;Lee, Gyu Sang;Song, Sung-Ho;Ha, Kyoochul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0.06a
    • /
    • pp.31-31
    • /
    • 2020
  • 가뭄 발생 시 국내 농어촌 지자체 대부분은 추가 수원공 확보를 위한 긴급 대책으로 신규 관정을 개발하거나, 저수지와 하천을 준설하여 가뭄 수요에 대응하는 편이다. 이러한 방법은 즉시 대응에는 효과가 있지만, 고가의 비용이 소요되고, 무엇보다도 국지적으로 가뭄이 빈번하게 발생하는 지역에는 적용에 한계가 있다.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기 위하여, 최근 기설 관정을 연계 이용하여 지하수 공급 극대화를 도모하는 기술이 제안되었다. 그런데 기설 관정 연계 이용 시 가장 중요한 사항은 모든 관정에서 최대 양수량을 유지하며 지하수를 공급할 수 있도록 관리해야 하는 점이며, 특히 암반관정의 과잉양수로 인한 간섭현상으로 충적관정이 고갈되어 공급가능한 지하수 수량이 오히려 감소되는 것을 사전에 방지하여야 한다. 이 연구에서는 가뭄 발생 시 암반관정(양수정)에서 최대로 양수했을 때에도 주변 충적관정의 양수능이 유지되는 최소 지하수위를 「지하수위 저하 한계치」로 지정하여 관정 연계 이용의 최적화를 도모하였다. 지하수위 저하 한계치 산정을 위하여, Theis의 자유면 대수층 정상류 우물수리 방정식과 지하수영향반겅 설정에 관한 경험식(Schultz, Weber, Kozeny 및 Jacob 경험식)을 이용하였다. 그런데 지정된 지하수위 저하 한계치는 충적관정의 지하수위이므로, 암반관측공만 소재하는 지역에 대해서는 충적층 지하수위 변동과 암반층 지하수위 변동 간의 상관분석을 통해 암반 관측공의 지하수위 저하 한계치를 추정하였다. 이후, 양수시험 자료(양수정과 주변 관측공의 수위변동 자료)를 이용하여 지하수 대수층의 이방성을 확인하였고, 이를 통해 암반관정의 양수에 따른 간섭을 크게 받는 충적관정과 그렇치 않은 충적관정을 구분하여 이방성에 따른 지하수위 저하 한계치를 수정하고, 상습가뭄 발생지역의 암반관정과 충적관정의 최적 지하수 양수를 도모하였다.

  • PDF

Natural Heritage Values and Diversity of Geoheritages on Udo Island, Jeju Province (제주도 우도 지역 내 지질유산의 다양성과 가치)

  • Woo, Kyung Sik;Yoon, Seok Hoon;Sohn, Young Kwan;Kim, Ryeon;Lee, Kwang Choon;Lim, Jong Deock
    • Korean Journal of Heritage: History & Science
    • /
    • v.46 no.1
    • /
    • pp.290-317
    • /
    • 2013
  •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are to investigate the natural heritage and scientific value of various geosites on Udo Island, and to evaluate the sites as natural monuments and as world natural heritage properties. Udo Island includes a variety of geoheritage sites. Various land forms formed during the formation of the Someori Oreum formed by phreatomagmatic eruptions. The essential elements for the formation of Udo Island are the tuff cone, overflowing lava and overlying redeposited tuff sediments. Various coastal land forms are also present. About 6,000 years B.C., when sea-level rose close to its present level due to deglaciation since the Last Glacial Maximum, carbonate sediments have been formed and deposited in shallow marine environment surrounding Udo Island. In particular, the very shallow broad shelf between Udo Island and Jeju Island, less than 20 m in water depth, has provided perfect conditions for the formation of rhodoids. Significant amounts of rhodoids are now forming in this area. Occasional transport of these rhodoids by typhoons has produced unique beach deposits which are entirely composed of rhodoids. Additional features are the Hagosudong Beach with its white carbonate sands, the Geommeole Beach with its black tuffaceous sands and Tolkani Beach with its basalt cobbles and boulders. Near Hagosudong Beach, wind-blown sands in the past produced carbonate sand dunes. On the northern part of the island, special carbonate sediments are present, due to their formation by composite processes such as beach-forming process and transportation by typhoons. The development of several sea caves is another feature of Udo Island, formed by waves and typhoon erosion within tuffaceous sedimentary rocks. In particular, one sea cave found at a depth of 10 m is very special because it indicates past sea-level fluctuations. Shell mounds in Udo Island may well represent the mixed heritage feature on this island. The most valuable geoheritage sites investigated around Udo Isalnd are rhodoid depostis on beaches and in shallow seas, and Someori Oreum composed of volcanoclastic deposits and basalt lava. Beach and shallow marine sediments, composed only of rhodoids, appear to be very rare in the world. Also, the natural heritage value of the Someori Oreum is outstanding, together with other phreatomagmatic tuff cones such as Suwolbong, Songaksan and Yongmeori. Consequently, the rhodoid deposits and the Someori Oreum are worth being nominated for UNESCO World Natural Heritage status. The designation of Someori Oreum as a Natural Monument should be a prerequisite for this procedure.

Development of Parking Space Forecast Model for Large Traffic-inducing Facilities Considering Surrounding Circumstance (주변 환경을 고려한 대규모 교통유발시설 주차면산정 모형개발에 관한 연구 - 판매시설을 중심으로 -)

  • Park, Je jin;Oh, Seok Jin;Kim, Sung Hun;Ha, Tae Jun
    • KSCE Journal of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Research
    • /
    • v.37 no.3
    • /
    • pp.593-601
    • /
    • 2017
  • With the rapid industrial development and national economic advance since 1970, the national income of Korea has sharply increased. As a result, issues regarding city expansion, urban concentration, increase in the number of registered motor vehicles, and increase in traffic have caused transportation issues such as traffic congestion and problems with parking. Especially, enforcement ordinances and rules have been established on installation and management of parking lots to solve problems with parking which are raised as social problems such as conflict with neighbors but the flexible calculation of legal parking space has the limitations because of the diversity and complex functionality of purposes of facilities. Accordingly, this study attempted to supplement such demerit of the parking space demand forecast method based on the legally required number of parking spaces and average unit requirement in the parking space supply. This study estimated the required number of parking spaces by analyzing existing literature, collecting field research data, and analyzing the factors that have an impact on the parking demand. Also, it compared the required number of parking spaces based on the average unit requirement as well as the required number of parking spaces by the forecast model based on the cumulative number of motor vehicles parked. The result was that the required number of parking space based on average unit requirement was less than the cumulative number of motor vehicles parked by 9.99%. Meanwhile, the required number of parking spaces by the forecast model was more than the cumulative number of motor vehicles parked by 4.37%. Therefore, it is believed that the parking space forecast model is more efficient than the others in estimating there quired parking space. The parking space forecast model of this study consider different environmental factors to enable practical parking demand forecast considering the local characteristics and thus supply the parking space in an efficient wa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