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지역R&D

Search Result 987, Processing Time 0.026 seconds

지역 R&D 생태계 활성화와 지역공공 R&D조직의 역할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 지역센터 발전방안을 중심으로 -

  • O, Se-Hong;Kim, Yang-Su;Park, Seok-Jong
    • Proceedings of the Korea Technology Innovation Society Conference
    • /
    • 2012.11a
    • /
    • pp.361-373
    • /
    • 2012
  • 지역 R&D 혁신생태계를 조성하고자 정부는 부처별로 다수의 지역 공공 R&D조직들을 다투어 구축하고 있다. 현재 지역 공공 R&D조직은 그 역할과 기능이 명확하지 않고, 지자체는 지역 실정에 맞는 지를 따지기 보다는 "일단 유치하고 보자"는 인식이 강하다. 조직의 구성원은 중앙정부 공공 R&D조직문화 및 운영방식에 익숙해져 있어서, 지역 공공 R&D 생태계와 상호작용, 협력메카니즘 구축에 여러 가지 어려움이 있다.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은 지역연구자들에게 근거리 연구지원을 위해 전국에 9개의 지역센터를 운영하고 있다. 지역 R&D 혁신생태계 중 기초과학지원이라는 중요한 영역을 맡고 있다. 하지만, 현재 지역센터는 분석수요 대비 지역센터의 인력 및 인프라 미흡, 유지비용 부족으로 성장의 한계에 부딪힌 상황이다. 현재 지역센터의 역할 재정립에 대한 요구가 크다. 본 연구에서는 기초과학지원연구원의 지역센터에 대한 인터뷰 및 설문조사를 통해 지역 공공 R&D 조직의 역할과 기능에 대해 짚어보았다. 우선 지역센터의 현황과 문제점을 종합적으로 살펴보았다. 그리고 지역센터의 역할과 기능, 지역내 포지셔닝을 살펴보고, 실질적인 운영방안검토 및 새로운 역할과 발전전략에 대해 검토하였다. 본 연구는 앞으로 기초과학지원 연구원의 지역센터를 비롯한 지역공공 R&D조직은 국가차원의 당위적 수직적 역할 외에도 지역차원의 수평적 협력적 역할에 대해 새롭게 조명하고, 지역 관점에서 지역 공공 R&D 생태계와 지역산업까지 그 성과가 이어질 수 있도록 역할전환이 필요하다는 점을 제시하였다.

  • PDF

Regional R&D efficiency of knowledge and value creation in Korea (지역R&D의 지식창출 및 가치창출 효율성 분석)

  • Min, Sujin;Kim, Juseong
    • Proceedings of the Korea Technology Innovation Society Conference
    • /
    • 2017.11a
    • /
    • pp.1281-1296
    • /
    • 2017
  • 세계경제가 범국가적 경쟁에 접어면서 과거보다 지역R&D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국내에서도 지역R&D의 경쟁력 향상을 통해 지역불균형 문제를 해소하고 지역경제발전을 이루고자 하는 노력이 지속되어 왔다. 이러한 문제인식을 바탕으로, 그동안 지역R&D의 효율성을 분석하고 개선점을 도출하기 위한 여러 정책적 학술적 노력이 있어왔다. 본 연구는 지역R&D 효율성을 지식창출과 가치창출의 두 가지 측면에서 진단하고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하려는 목적에서 15개 국내 지역의 통계자료를 대상으로 자료포락분석(DEA)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효율성 분석을 위해 사용한 R&D투입과 산출요소의 분포를 살펴본 결과 대부분 수도권과 대전에 양적으로 편중되어 있었다. DEA모형을 분석한 결과, 지식창출 부문의 효율성 점수는 평균 0.869 수준으로 나타났으며, 서울, 대구, 광주, 대전, 강원, 전남, 경북 지역이 효율적이었다. 반면 경남 지역은 0.630으로 지식창출에 있어 가장 비효율이 큰 지역이었다. 가치창출 부문의 효율성 점수는 평균 0.677 수준이며 지식창출보다 지역 간 점수 편차가 컸다. 광주, 대전, 울산, 강원 지역이 효율적인 것으로 나타난 반면 경기 지역은 0.198으로 가장 비효율적이었다. 종합하여 비교하면 광주, 대전, 강원 지역만 지식창출과 가치창출이 모두 1.000점으로 효율적이었고 이를 제외한 지역들은 효율성 개선이 필요하였다. 본 연구는 지역R&D 효율성의 개선방향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함으로써 지역발전 정책수립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그러나 특정 시점에 한정되어 효율성을 분석하였으므로 생산성 변화에 대한 추가적인 분석과 분석자료에 대한 보완이 필요하다.

  • PDF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R&D Promotion Program and its Investment Efficiency for Regional Industry by Practical Analysis: Focused on R&D for Regional Industry in Jeonbuk (실증분석을 통한 지역산업 R&D 육성전략 및 투자 효율성 제고방안 연구: 전북 지역산업 R&D를 중심으로)

  • Cha, Hwadong;Baek, Janghyun
    • Journal of Korea Technology Innovation Society
    • /
    • v.18 no.2
    • /
    • pp.233-263
    • /
    • 2015
  • This study considers the improvement of R&D promotion program and its investment efficiency for regional industry. We find out some problems of R&D promotion program and suggest plans to improve investment efficiency of R&D through practical analysis of achievement. Since the 2000s, our country has implemented diverse policies for regional industry; R&D for regional industry has become a core part of business from the point of view of regional industry. As ever, these policies are highly supported for the purpose of securing industrial competitiveness by the central government and local governments. This study, through practical analysis of certain region (Jeonbuk), reviews some problems of R&D promotion program and suggests plans to enhance the achievements of a variety of policies, strategies, and projects. We perform practical analysis using three methods for three different aspects: shift-share analysis for each industry type, performance analysis for each investment type and characteristic analysis for each company type. Reviewing the results of practical analysis, we suggest some plans to promote the collaboration of main R&D support organizations and to minimize the doubleness caused sporadically by the central government and local governments. This research will be used effectively in setting up, implementing, and evaluating R&D investments for regional Industry.

Multivariate Granger Causality between Regional R&D Investment and Regional Economic Variables (지역R&D투자와 지역경제지표 간 인과관계 분석)

  • Park, Chang-dae;Ahn, Seung-ku
    • Proceedings of the Korea Technology Innovation Society Conference
    • /
    • 2017.11a
    • /
    • pp.189-200
    • /
    • 2017
  • 본 연구는 국내 지역R&D투자와 지역경제지표 간의 관계를 파악하기 위한 것이다. 연구 방법은 패널VECM을 사용하여 1995~2014년 국내 17개 시 도별 정부 및 민간R&D투자, 고정자본과 고용, 지역내총생산의 상호 간 장 단기 인과관계를 도출하였다. 분석결과, 단기적으로 GRDP의 원인변수는 고정자본, 고용, 그리고 민간R&D투자로 나타났다. 고정자본의 원인변수는 고용, 민간R&D투자로 나타났으며, 고용의 원인변수로는 GRDP와 고정자본으로 나타났다. 장기적으로 고용, 고정자본, 정부R&D투자가 다른 변수들의 장기균형관계로부터 각각 인과관계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를 바탕으로 목적과 대상 그리고 시간의 흐름에 따라 지역R&D투자의 직 간접적 효과를 함께 고려할 수 있는 추가적인 분석이 요구된다.

  • PDF

정부 R&D투자가 중소기업에 미치는 영향 - 대전 지역특화(전략)산업을 중심으로

  • Jang, Gil-Su;Yeom, Myeong-Bae
    • Proceedings of the Korea Technology Innovation Society Conference
    • /
    • 2017.05a
    • /
    • pp.291-305
    • /
    • 2017
  • 대전은 전국에서 R&D투자가 많은 지역으로 이는 출연연 및 출연연 출신 연구원의 기술창업의 증가로 나타나는 현상으로 볼 수 있다. R&D가 많이 투자됨에 따라 이에 따른 효율성에 대한 분석들이 많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주로 R&D 투자가 대한 지역내총생산, 기업의 생산성 등에 미치는 영향 즉 R&D투자의 효율성 분석을 많이 하고 있다. 본고에서는 지역 R&D투자가 기업의 생산성에 어느 정도 영향을 미치는 지를 분석하였다. 특히 지역특화(전략)산업 분야별로 분석하여 지역 R&D 투자의 효율적 배분을 위한 전략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러한 분석을 위해서 생산성에 대한 대리변수로 종업원 1인당 매출액 종업원 1인당 부가가치를 종속변수로 설정하였고, 독립변수로 연구개발비, 종업원 1인당 영업이익, 종업원 1인당 자본집약도 등의 변수를 다중회귀모형으로 실증분석 하였다. 분석결과 R&D투자가 매출액과 부가가치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만, 연구개발비가 매출액이나 부가가치 등 생산성 증가에 결정적인 요인으로 나타나지 않았다. 산업별 분석결과 정보통신, 바이오산업보다 부품소재 산업에서 결정계수가 높게 나왔다. 또한 조절회귀모형을 설정하여 조절효과를 분석한 결과 R&D투자는 매출액에 영향을 미치지만, 부가가치는 조절효과가 발생하지 않았다. 이는 지역 R&D투자의 효율적 배분 측면에서 투자의 활성화를 이루고 연구개발 투자가 실질적으로 기업의 생산성 증가에 기여할 수 있도록 견인해야 할 것이다.

  • PDF

Effective analysis of Regional Industry Development Project (글로벌 경제체제 하에서의 지역 R&D 효율화 방안)

  • Bae, Jeong-Hwan;Lee, Jae-Kyu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10 no.4
    • /
    • pp.292-297
    • /
    • 2010
  • The Economic region, the strategy for regional development, is a global trend and has become the blue ocean. Korea has also moved forward with the concept of economic region as the strategy for regional development. So,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the strategies to improve the regional R&D competitive power and making regional R&D support system. As a goal of regional innovation and regional economic development, the business adds new jobs and new products, resulting in growth of the community.

The Effect of R&D Investment on Local Economies Using Dynamic Panel Estimator in Korea (동태적 Panel 분석을 통한 R&D투자의 지역효과 분석)

  • Yang, Ji-Chung
    • International Area Studies Review
    • /
    • v.18 no.3
    • /
    • pp.175-201
    • /
    • 2014
  • This paper analyses the effect of R&D investment on local economies. R&D investment contributes to the regional local economy by increasing employment and production activity of the investees. The investees may end up with increased productivity, sales and employment. At the regional R&D level, the central government R&D fund and firm self R&D budget will be the source of R&D investment. Further positive effects are inter-related with local industries. This study carried out an empirical analysis on the effect of R&D investment on local economies using Korean panel data after comparing international literatures. The dynamic panel estimator is used to estimate an autoregressive model with lagged dependent variable. Using the Da Silva method, mixed variance-component moving-average error process is estimated and selected. R&D investment is very important factor to improve the productivity of a region and the size of the effect is dependent on the time periods within the Korean economic history.

An Analysis of Region Industry Total Information System (지역산업종합정보망 구축현황 분석)

  • Oh, Han-Seok
    • Journal of the Korean BIBLIA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 /
    • v.22 no.1
    • /
    • pp.231-246
    • /
    • 2011
  • National R&D project management agencies have promoted continuous investment and development to provide efficient information such as collection and analysis of industry and technology information and research trend information, and development of user oriented information system. This research analyzes Region Industry Total Information System status to manage regional R&D and suggests methods for regional industry project management. This paper may contribute to the advancement of efficient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though research method.

중소기업 유형별 R&D 참여 요인 연구 - 정부 R&D출연금 지원받은(대전/충남/세종)지역 중소기업 중심으로

  • Kim, Chi-Guk
    • Proceedings of the Korea Technology Innovation Society Conference
    • /
    • 2017.05a
    • /
    • pp.647-647
    • /
    • 2017
  • 본 연구의 목적은 정부의 R&D 지원사업에 참여하는 유형별 중소기업들의 R&D참여 요인에 관한 연구이다. 각 정부부처별 R&D 지원사업이 지역전략산업별, 뿌리기술전문기업, 부품소재기업등 특수 산업분야별, 다양한 형태로 운영되고 있으며, 각 기업에 보조금, 지원금 및 마케팅, 기획, 교육등의 다양한 지원이 이루어지고 있고 각 기업들 또한 이에 참여하게 된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이와 같은 정부 R&D지원사업의 참여요인 즉, 다양한 유형의 중소기업이 정부 R&D과제 참여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지에 대한 가설을 검증한다. 또한 기술적 성과인 R&D 참여강화와 기술역량 강화에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가설을 검증한다. 이 분석결과를 통한 연구결과, 중소기업의 연구개발투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중 지역전략산업별, 뿌리기술전문기업, 부품소재기업등 특수 산업분야별등 기업유형에 따라 정(+)의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결과를 바탕으로 정부지원사업에 참여하는 유형별 중소기업들의 전략적 R&D참여를 위한 방향설정에 도움이 될 것이다.

  • PDF

A Priority Analysis of Excellent Agricultural R&D Performance Considering Region-wide Diffusion Effect (지역파급성을 고려한 농업R&D 우수성과 순위 분석)

  • Yun, Jin-Woo;Chae, Yong-Woo;An, Yong-jin;Kim, Seong-Sup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v.21 no.4
    • /
    • pp.471-478
    • /
    • 2020
  • This study aimed to suggest implications for the future development of agricultural R&D through a priority analysis of excellent agricultural R&D performance considering productivity, marketability, and effects on region, which are important factors of agricultural R&D evaluation. The subjects of analysis were R&D of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RDA), which was selected as national R&D excellent Performance from 2006 to 2018, and the priority was analyzed using Analytic Hierarchy Process (AHP).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relative importance of the criteria decreased in the order of marketability(0.423) > regional impact(0.360) > productivity(0.216). Secon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relative importance of the sub-criteria, the possibility of commercialization(0.515) was high in the category of marketability. The possibility of technology expansion(0.538) was high in the category of effects on region and the quality improvement(0.464) was high in the category of productivity. Third, the excellent agricultural R&D performance that had high relative importance was the technologies associated with improving the agricultural competitiveness of horticultural crop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