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지역 분할

Search Result 1,999, Processing Time 0.033 seconds

Parameter Optimization Analysis in Urban Flood Simulation by Applying 1D-2D Coupled Hydraulic Model (도시침수 최적화 모의를 위한 1D-2D 모형의 연계해석)

  • Kim, Beom Jin;Ha, Chang Yong;Kim, Byung-hyun;Han, Kun Yeu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7.05a
    • /
    • pp.48-48
    • /
    • 2017
  • 도시지역에서는 이상강우, 돌발홍수와 더불어 급속한 도시화에 따라 침수 발생의 위험성이 증가하고 있다. 지자체에서는 빗물펌프장, 지하저류조 등을 이용하여 적극적으로 침수대책을 강구하고 있지만, 저지대 침수피해는 계속적으로 발생하고 있다. 2013년 7월 서울 경기북부 강원영서에 발생한 집중호우로 1명이 사망하고 피해액은 94,036백만원이 발생하였다. 춘천시 효자동 저지대지역의 주택침수는 인근 하천의 수위가 높아져 내수배제 및 하수도 처리 능력이 부족하여 침수가 발생하였다. 2014년 8월 경남지역에 발생한 집중호우로 2명 사망하였고, 피해액은 134,158백만원에 이르렀으며, 도시화 토지피복변화로 인한 홍수량이 증가하여 피해가 가중되었다. 이에 따라 도시 내 정확한 도시유출 및 침수해석을 통하여 과거 침수양상을 재현하고 앞으로 발생할 수 있는 침수피해를 방지할 수 있도록 침수 예 경보 시스템을 개발하여 도시침수에 대비하고 도시주민들의 인명과 재산피해를 경감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도시지역의 관망해석에 적합한 모형을 선택하여야 하며, 그 모형의 매개변수를 결정하여야 한다. 도시유출해석 및 관망해석을 위하여 SWMM 모형을 선정해서 유역분할조건, 매개변수에 대한 최적 검정과정을 제시하여, 1D-2D 연계모형을 통해서 침수지역예측의 정확도를 증대시키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서울시 강남역 주변 일대의 5개 배수분구을 대상으로 도시유출해석을 위한 최적화 모의를 위하여 1D-2D모형의 연계해석하였다. 실제 강우사상을 적용하여 매개변수와 소유역 개수를 달리하여 자동최적화기법인 PEST를 이용하여 최적인자를 도출하여, 실제 배수맨홀의 수위관측 자료를 이용하여 비교 보정을 하였다. 도시유출해석뿐만 아니라 내수침수시의 최적인자 도출을 위해 2차원 범람해석을 통하여 NDMS 자료를 이용하여 비교 보정을 한 뒤 다른 강우사상을 이용하여 검증을 하여 도시침수 해석의 정확도를 개선을 위한 최적인자들을 검토하였다.

  • PDF

Activity-based key-frame detection and video summarization in a wide-area surveillance system (광범위한 지역 감시시스템에서의 행동기반 키프레임 검출 및 비디오 요약)

  • Kwon, Hye-Young;Lee, Kyoung-Mi
    • Journal of Internet Computing and Services
    • /
    • v.9 no.3
    • /
    • pp.169-178
    • /
    • 2008
  • In this paper, we propose a video summarization system which is based on activity in video acquired by multiple non-overlapping cameras for wide-area surveillance. The proposed system separates persons by time-independent background removal and detects activities of the segmented persons by their motions. In this paper, we extract eleven activities based on whose direction the persons move to and consider a key-frame as a frame which contains a meaningful activity. The proposed system summarizes based on activity-based key-frames and controls an amount of summarization according to an amount of activities. Thus the system can summarize videos by camera, time, and activity.

  • PDF

A 3D Face Modeling Method Using Region Segmentation and Multiple light beams (지역 분할과 다중 라이트 빔을 이용한 3차원 얼굴 형상 모델링 기법)

  • Lee, Yo-Han;Cho, Joo-Hyun;Song, Tai-Kyong
    • Journal of the Institute of Electronics Engineers of Korea CI
    • /
    • v.38 no.6
    • /
    • pp.70-81
    • /
    • 2001
  • This paper presents a 3D face modeling method using a CCD camera and a projector (LCD projector or Slide projector). The camera faces the human face and the projector casts white stripe patterns on the human face. The 3D shape of the face is extracted from spatial and temporal locations of the white stripe patterns on a series of image frames. The proposed method employs region segmentation and multi-beam techniques for efficient 3D modeling of hair region and faster 3D scanning respectively. In the proposed method, each image is segmented into face, hair, and shadow regions, which are independently processed to obtain the optimum results for each region. The multi-beam method, which uses a number of equally spaced stripe patterns, reduces the total number of image frames and consequently the overall data acquisition time. Light beam calibration is adopted for efficient light plane measurement, which is not influenced by the direction (vertical or horizontal) of the stripe patterns. Experimental results show that the proposed method provides a favorable 3D face modeling results, including the hair region.

  • PDF

Face Recognition Using Histograms of Multi-resolution Segments Based on Discriminant Face Descriptor (판별 얼굴 기술자 기반의 다중 해상도 분할 영역 히스토그램을 이용한 얼굴인식 방법)

  • Lee, Jang-yoon;Lee, Yonggeol;Choi, Sang-Il
    • Journal of the Institute of Electronics and Information Engineers
    • /
    • v.53 no.2
    • /
    • pp.97-105
    • /
    • 2016
  • We propose a face recognition method using the histograms of multi-resolution segments in order to effectively utilize the local information of faces. Since the variations in faces can occur in various sizes, the DFD method, which uses the histograms from the sub-regions of the same size, is not effective for obtaining local information of faces. In this paper, we first divide an image into several sub-regions and extract the DFD(Discriminant Face Descriptor) from each sub-region. By dividing each sub-region into several segments with multi-resolution and extracting histograms for each segment, we reduce the loss of local information in the process of recognition. The experimental results for the Yale B, AR, CAS-PEAL-R1 databases show that the proposed method improves the recognition performance compared to the existing DFD based method.

Improvement and Evaluation of the Automatic Connection Module of Subarea-Stream for Accurate Field Analysis (유역 내 필지단위 분석을 위한 Subarea-Stream 자동 연결 모듈 개발 및 평가)

  • Lee, Seoro;Koo, Ja Young;Kim, Min Kyeong;Jeong, Jae Hak;Lim, Kyoung Jae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6.05a
    • /
    • pp.169-169
    • /
    • 2016
  • 농업 유역 내 수문 순환 및 비점오염원의 발생 및 거동에 대해서 유역단위로서의 많은 연구가 진행되어 왔다. 하지만 유역단위로서의 모의를 통해서는 필지 별 발생되는 농업 비점오염물질을 평가하고 대책을 세우기에는 한계가 있다. 따라서 농업 유역의 농경지를 대상으로 유역단위 모의가 아닌 필지단위 모의를 진행함으로써 농업 비점오염물질에 대한 관리를 해야 할 필요성이 있다. 그리하여 본 연구에서는 필지단위로 상세한 모의가 가능한 ArcAPEX 모형을 사용하였으며 모형 내 임계값 조정을 통한 유역 구분 시 우리나라 지형 및 농업특성 상 지형인자 추출의 어려움으로 Pre-defined Streams and Watersheds 기능을 활용하는 것이 농경지를 대상으로 정확한 필지 분할 및 필지 특성 반영이 될 것이라 판단하였다. 하지만 Pre-defined Streams and Watersheds 기능에 필요한 자료를 구축하는데 시간과 노력이 많이 소모되고 어려움이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입력 자료 구축의 편의를 도모하고자 Subarea-Stream 자동 연결 모듈을 개발하여 그 활용성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지형적 특성으로 인해 집약적인 농업이 행해지고 있는 강원도 양구군에 위치한 해안면 유역의 농경지 경계와 하천 및 수로에 대한 자료를 Subarea-Stream 자동 연결 모듈에 입력하여 최종적으로 Pre-defined Streams and Watersheds 기능에 필요한 입력 자료를 변환시켜 모형에 적용하였다. 본 연구결과 Pre-defined Streams and Watersheds 기능에 필요한 입력 자료를 단시간에 편리하게 구축할 수 있었으며, 농경지를 대상으로 필지 단위로 분할이 된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최종적으로 본 연구를 통해 지형인자 추출 오류로 인해 수계 추출 시 나타날 수 있는 문제점에 대한 해결을 할 수 있었으며 모형 내 Pre-defined Streams and Watersheds 입력 자료 구축 시 Subarea-Stream 자동 연결 모듈을 활용한다면 농업 유역 내 농경지에 대해서 편리하게 유역단위에서의 모의가 아닌 필지단위에서의 상세한 모의를 하는데 큰 기여를 할 것이라 판단된다.

  • PDF

An Empirical Study on the Causalities and Effects between Inbound Tourism and Service Industry GDP in China (국제 인바운드 관광과 중국내 서비스 산업 GDP간의 인과관계 및 효과에 관한 실증연구)

  • Kim, Jong-Sup
    • International Area Studies Review
    • /
    • v.14 no.3
    • /
    • pp.363-387
    • /
    • 2010
  • This papers studies the causalities and effect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inbound tourism(TOU) and the production amount of service industry in China, using the unit root test, the Granger causality test, the cointegration test, and VECM. we take their natural logarithm and define them as TOU and SGDP: these represent the distributed variable based the lagged values of the number of international tourists by continent and real production amount in service industry of China, respectively. The results of empirical study of this papers are as follows: Firstly, in the unit root test, we found that each time series was unstable one that has unit root. This result made me use 1st differenced data for this empirical study. Secondly, in the Granger casuality test, the study results show that there is unilateral casuality relation between DLSGDP-$DLTOU_i$ except DLSGDP-DLTOUL model for the same time, while no casuality relation between DLTOU-DLSGDP for all models of China. Thirdly, there is cointegration relation between all models for the period of 1980-2008.

A study on prediction for reflecting variation of fertility rate by province under ultra-low fertility in Korea (초저출산율에 따른 시도별 출산율 변동을 반영한 예측 연구)

  • Oh, Jinho
    • The Korean Journal of Applied Statistics
    • /
    • v.34 no.1
    • /
    • pp.75-98
    • /
    • 2021
  • This paper compares three statistical models that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national and provincespecific fertility rates. The three models are two of the regression models and a cointegration model. The regression model is by substituting Gompit transformation for the cumulative fertility rate by the average for ten years, and this model applies the raw data without transformation of the fertility data. A cointegration model can be considered when fitting the unstable time series of fertility rate in probability process. This paper proposes the following when it is intended to derive the relation of non-stationary fertility rate between the national and provinces. The cointegrated relationship between national and regional fertility rates is first derived. Furthermore, if this relationship is not significant, it is proposed to look at the national and regional fertility rate relationships with a regression model approach using raw data without transformation. Also, the regression model method of substituting Gompit transformation data resulted in an overestimation of fertility rates compared to other methods. Finally, Seoul, Busan, Daegu, Incheon, Gwangju, Daejeon and Gyeonggi province are expected to show a total fertility rate of 1.0 or less from 2025 to 2030, so an urgent and efficient policy to raise this level is needed.

Comparative evaluation of deep learning-based building extraction techniques using aerial images (항공영상을 이용한 딥러닝 기반 건물객체 추출 기법들의 비교평가)

  • Mo, Jun Sang;Seong, Seon Kyeong;Choi, Jae Wan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urveying, Geodesy, Photogrammetry and Cartography
    • /
    • v.39 no.3
    • /
    • pp.157-165
    • /
    • 2021
  • Recently, as the spatial resolution of satellite and aerial images has improved, various studies using remotely sensed data with high spatial resolution have been conducted. In particular, since the building extraction is essential for creating digital thematic maps, high accuracy of building extraction result is required. In this manuscript, building extraction models were generated using SegNet, U-Net, FC-DenseNet, and HRNetV2, which are representative semantic segmentation models in deep learning techniques, and then the evaluation of building extraction results was performed. Training dataset for building extraction were generated by using aerial orthophotos including various buildings, and evaluation was conducted in three areas. First, the model performance was evaluated through the region adjacent to the training dataset. In addition, the applicability of the model was evaluated through the region different from the training dataset. As a result, the f1-score of HRNetV2 represented the best values in terms of model performance and applicability. Through this study, the possibility of creating and modifying the building layer in the digital map was confirmed.

A Study on the installation of Optimal Stormwater Reservoir based on Grid units and the application of LID Facilities. (격자단위 기반의 최적 우수저류지 설치 및 LID 시설물 적용 연구)

  • Uugantsetseg, Gankhuyag;Choi, Gyung Min;Lee, Jung Ho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2.05a
    • /
    • pp.343-343
    • /
    • 2022
  • 강우의 유출은 하늘에서 발생한 강우가 다양한 유역을 거쳐 하천 및 해안 등으로 방류되는 일련의 과정을 의미한다. 강우의 유출과정에서 좀 더 효율적인 유량처리를 위하여 대부분의 도시 유역에는 우수관망이 설치되어 있다. 우수관망은 일정 빈도 이하의 강우량 방재를 목적으로 설계하며, 해당 강우량을 초과하는 경우 침수피해가 발생한다. 우수관망의 목표 강우를 초과하는 경우를 위하여 우수 저류지, 펌프장 및 LID(Low Impact Development) 시설물 설치 등 다양한 노력이 지속되어 왔으며, 이를 더욱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연구가 지속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강우 발생유역을 격자로 분할하여 우수의 흐름을 파악하여 효율적인 저류지 및 LID 시설물의 설치 위치를 지정하고자 한다. 분석지역은 경상남도 창원시 마산합포구 인근이며, ArcGIS 10.8을 이용하여 해당 지역의 지형을 3D로 구현하였으며 EPA-SWMM 5.1을 이용하여 침수분석을 진행하였다. 또한, 구성된 TIN(Triangulated Irregular Network)를 10m × 10m 크기의 격자로 분할하여 지표고에 따른 유량의 흐름 및 중첩을 판단하였다. 분할된 격자들 중 유량의 중첩 정도가 가장 높으며 침수피해 정도가 높은 지역을 대상으로 종류 및 크기를 고려한 최적의 비용과 효율을 갖는 저류지 및 LID 시설물 설치 위치를 결정하였다. 우수관망 시스템, LID 시설물, 우수 저류지 각각의 시선에서 접근한 기존의 연구와 달리 다양하고 포괄적인 방재시설물 설치를 통해 더욱 효율적이고 경제적인 우수 방재 시스템 구현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우수관망 시스템, LID 시설물, 우수 저류지 각각의 시선에서 접근한 기존의 연구와 달리 다양하고 포괄적인 방재시설물 설치를 통해 더욱 효율적이고 경제적인 우수 방재 시스템 구현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 PDF

Suitability Evaluation for Runoff Rate According to Measurement Term of Water Level Data (수위자료의 측정 간격에 따른 유출률 평가의 적정성 검토)

  • Oh, Chang-Ryeol;Lee, Yeon-Kil;Lee, Jin-Won;Jung, Sung-W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7.05a
    • /
    • pp.1870-1874
    • /
    • 2007
  • 신뢰성 있는 수위-유량관계곡선식 개발은 해당 수위관측소 지점에 대한 정도있는 저 평수기 및 홍수기의 유량조사가 담보되어야 한다. 이는 합리적이고 경제적인 이수 및 치수 계획 수립과 각종 수공구조물 설계의근간이 된다. 이와 더불어 상 하류 유출량 검토 및 유출률 평가에 있어서의 수위 자료 역시 중요한 수문자료 중에 하나이다. 이러한 수위 자료에는 다양한 형태의 오차를 내포하고 있으며, 또한 유출률 평가시 수위 자료의 측정 간격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결과 값을 갖는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섬진강 수계의 경천을 대표하고 전형적인 농촌지역 특성을 갖고 있으며 소유역에 해당하는 순창2수위관측소와 본류부를 대표하는 구례2수위관측소를 대상으로 수위자료의 측정 간격에 따른 유출률 평가의 적정성을 검토하고자 한다. 이에 따른 방법으로는 일차적으로 영산강홍수통제소에서 조사 관리중인 30분의 수위 자료를 획득하여 T/M 전송 오류 등에 의한 측정 오차 및 결측 자료는 보간을 하였다. 그리고 30분의 수위 자료를 이용하여 1분, 5분, 10분의 수위 자료를 선형보간법에 의해 재산정 하였으며 1시간, 3시간, 6시간, 12시간, 1일의 수위 자료에 해당하는 시간의 수위 자료를 획득하였다. 이러한 절차에 의하여 결정된 수위자료는 2006년에 개발된 수위-유량관 계곡선식을 이용하여 유출량 값으로 환산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