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지역주도성

Search Result 393, Processing Time 0.024 seconds

Study on Vietnam's 'Socialization' Cultural Policy as Reform Policy (사회주의 개혁개방 정책으로서 베트남의 '사회화' 문화정책 연구)

  • Tran, Thu Cuc;Seo, U-seok
    • 지역과문화
    • /
    • v.8 no.1
    • /
    • pp.55-76
    • /
    • 2021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se the complexity of Vietnam's cultural policy in the socio-economic context of socialism-oriented reform with a focus on the case of 'socialization'(xa hoi hoa) cultural policy. The Vietnamese socialization policy has been adopted to mobilise resources and participation from 'the whole society' in order to promote the development of culture and arts. Although there remains the discourse of its definition, the socialization policy has showed its achievements in mobilizing financial resources, privatization, enhancing decentralization, and revitalizing the private investment, and thus help improve cultural services in both quantity and quality. The socialization policy illuminates the leadership of the state, yet gradually improved in promoting and practicing cultural policy. This study is expected to enhance understanding of Vietnam's cultural policy after reform to the Korean scholars, therefore it contributes to boosting the cooperation and cultural exchange between Vietnam and Korea.

Activation of the Elderly Individual-Led Training Strategies and Policy Implications in Response to Demographic Shifts (인구 프로파일 변화에 따른 고령자의 개인주도 훈련 활성화 방안 및 정책적 함의)

  • Hanna Moon;Yumi Kim;Seonae Kang
    • Journal of Practical Engineering Education
    • /
    • v.16 no.4
    • /
    • pp.553-566
    • /
    • 2024
  • The core of this study is to review South Korea's individual-driven training scheme, identify factors hindering elderly participation, and derive implications to support their retention and participation of the elderly in the labor market. This study focuses on population aging, examining the National Lifelong Learning Card system and the current employment insurance scheme, both initiatives of the Ministry of Employment and Labor, to assess the status and issues surrounding elderly participation in vocational training. Based on this analysis, the study seeks to derive policy measures and academic significance to promote elderly participation in vocational training. Based on this analysis, the study aims to derive policy measures and academic significance to promote the participation of older adults in vocational training. The findings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employment retention for elderly and highlighted the need for vocational training tailored to the specific characteristics of each individual, along with the necessity for professional life-career consulting. Based on these findings, the study proposed recommendations to promote self-directed training among elderly, including enhancing the diversity of vocational training to meet individuals' varied needs, implementing lifelong vocational training programs from a life-cycle perspective, creating age-friendly workplaces at the national level, encouraging individual-driven training participation for the self-realization of elderly, and strengthening the linkage between employment counseling and vocational training for elderly.

155밀리 항력감소 이중목적 고폭탄 개발 의의 및 성과

  • Jo, Dong-Seong
    • Defense and Technology
    • /
    • no.6 s.268
    • /
    • pp.60-65
    • /
    • 2001
  • 21세기 첨단과학기술의 발전과 불특정 위협 그리고 세계적 무기체계 발전추세를 감안한 화포의 사거리 증가는 한계에 도달하고 화력운용개념 또한 정밀타격을 요구하고 있는 상황하에서, K9 신형 155밀리 자주포를 통하여 종심지역의 적 전차 및 인원표적을 공격하는 능력을 갖추며, 지능형 탄약을 개발할 수 있는 기반을 조성하고, 국내 독자적인 장거리 탄약개발기술을 확보했다는 측면에서 개발의의 및 성과가 매우 크다 하겠다. 따라서 한국의 지정학적인 전략적 요충지로서 항상 주변 강대국 위협에 대비하는 전투력을 구비하도록 방위산업체 주도의 무기개발이 일반화되어야 할 것이다.

  • PDF

Locality of the Cultural Cold War : Focusing on the activities of Daejeon Culture Center (문화냉전의 지역성-대전문화원의 활동을 중심으로-)

  • 위경혜
    • 한국학연구
    • /
    • no.49
    • /
    • pp.123-154
    • /
    • 2018
  • 이 글은 해방 이후 강화문화관을 시작으로 전국에 걸쳐 등장한 문화원의 사회사적 성격을 문화냉전의 맥락에서 규명한 것이다. 문화원은 미국의 해외 공보 업무를 담당한 미국 공보원(United States Information Service, Korea)의 적극적인 지원으로 개관했으며 한국전쟁을 계기로 급격히 증가하였다. 문화원은 미국 공보원이 지향한 '자유 동아시아' 국가 형성을 목표로 미국적 가치와 문화를 전파했지만, 해당 지역 공동체의 현실적인 이해관계를 반영하면서 문화원 사업의 방점에 차이를 두었다. 1962년 설립된 한국문화원연합회는 전국적인 연결망을 형성하고 미국식 민주주의와 공산주의 이념의 강화 그리고 박정희 주도의 산업화와 근대화의 선전과 홍보에 앞장섰다. 1960년대 중후반 대전문화원의 활동에 관한 사례 분석을 통해 확인한 바와 같이, 문화원은 지역의 행정과 경찰 및 교육 그리고 흥행업자와 긴밀한 관계를 형성하면서 지역의 모든 문화 관련 활동을 수렴하는 기관으로서 위상을 지녔다. 또한, 냉전 시기 후방 군사도시이자 대규모 노동자 집결 도시인 대전의 문화원은 미군의 주둔과 연관된 사업을 수행하는 한편으로 베트남전쟁 참전과 관련된 정치적 긴장에 적극적으로 대응하는 모습을 보였다. 대전문화원 강당에서의 상설 영화 상영을 비롯해 대전 시내와 충남 일대 지역에서 조직적으로 전개한 이동영화 상영은 이를 보여준다. 따라서 1947년 한국사회 최초로 등장한 강화문화관이 과거 일본 제국과의 단절을 강조했다면, 1960년대 중후반 대전문화원은 동아시아 지역의 문화냉전 벨트의 형성을 위하여 '새로운 일본'을 소개하는 데 적극적이었다. 이는 일국 차원에서 전개된 대전문화원 활동이 동아시아 국가의 문화냉전의 형성과 중첩되었음을 증명하였다.

중소기업구조개선(中小企業構造改善)과 지역기술혁신체제(地域技術革新體制)

  • Park, Jun-Gyeong
    • KDI Journal of Economic Policy
    • /
    • v.18 no.2
    • /
    • pp.3-61
    • /
    • 1996
  • 80년대초 이후 기술혁신의 가속으로 중소기업에서도 기술변화에 대한 적응이 경쟁력의 유지를 위한 핵심과제가 되면서, OECD 국가는 중소기업에 대한 과학기술정보(科學技術情報)의 이전(移轉)을 촉진하는 정부지원을 확충하였다. 경제성과의 개선을 위해서는 기술혁신만이 아니라 기술혁신의 성과를 확산시키는 것도 중요하다는 인식으로 중소기업의 경쟁력향상에 기여하는 과학기술정보의 공급확대를 위하여 연구개발사업(硏究開發事業)에 대한 지원을 강화하는 동시에 중소기업에 대한 과학기술정보의 이전을 촉진하기 위하여 과학기술정보의 공급원(供給源)(대학, 시험연구기관 등)과 중소기업을 연결하는 다양한 중개(仲介)(촉매(觸媒))기관(機關)의 설립 운영을 지원하고 있다. 연구개발과 과학기술정보이전에 관한 과학기술공급원과 중소기업간의 인식의 차이를 해소하기 위하여 정보교환(情報交換)과 인적교류(人的交流)를 확대하고 과학기술공급원이 제공하는 지식을 중소기업이 이용하기 쉬운 기술로 변환하기도 한다. 이러한 기능을 중개기관이 효과적으로 수행하기 위해서는 중소기업 사업자와 신뢰관계(信賴關係)를 구축하는 것이 긴요하며, 기술변화를 인지 수용하도록 유도하는 초기단계에서는 중소기업의 네트워크를 통하여 접근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이러한 기술확산과정(技術擴散過程)의 특성으로 인하여 지역혁신체제(地域革新體制)의 구축과 기술혁신정책(技術革新政策)의 지역화(地域化)가 강조되고 있다. 최근에 통상산업부와 과학기술처도 기술혁신정책의 지역화를 시도하고 있다. 연구기반과 산업기반을 고려하여 지역별로 다양한 유형의 산학연 공동연구기반이 구축될 계획이다. 기술혁신정책의 지역화는 시도단계에 불과하며 효율적인 지역혁신체제를 구축하기 위한 여건도 불리하다. 선진국에 비하여 대학과 연구기관의 연구자원(硏究資源)에서도 현격한 차이가 있으나, 네트워크의 혁신성을 좌우하는 지식집약형 중소기업의 비중과 중소기업기술개발의 혁신성에서도 선진국에 비하여 절대열위에 있다. 이러한 불리한 여건을 극복하기 위하여 중소기업의 혁신현장에 밀착된 지역의 전문가집단이 지역경제의 비전과 지역산업의 특수성을 고려하여 지역연구개발사업(地域硏究開發事業)을 전략적으로 기획하고 효율적으로 추진하며, 기획 추진과정에 참여하는 지역대학 지역시험연구기관 지역산업단체 등이 구성하는 지역사회(地域社會)의 협의체(協議體)가 정보공유(情報共有)와 공동학습(共同學習)을 통하여 지역혁신체제의 형성을 주도하고 경쟁과 협력의 조화를 통하여 기술혁신을 가속시키는 지역사회(地域社會)의 규범(規範)과 문화(文化)가 정착되도록 노력하며 중앙정부는 지역연구개발사업에 대한 지원에서 투명하고 합리적인 평가기준을 제시하고 지역산업의 혁신성과에 의하여 지원을 차등화(差等化)하는 경쟁원리를 도입하여 지역사회의 합리적 의사결정을 유도해야 한다.

  • PDF

Validation of Self-Directed Learning Perceptional Inventory for Middle School Students (중학교용 자기주도학습 지각도 검사도구의 타당도 분석)

  • Lee, Yun-Oug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9 no.12
    • /
    • pp.923-931
    • /
    • 2009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testify construct validity of Self-directed Learning Perception Inventory for middle school students(Lee, 2008). For the purpose, First, test was done with 1202 middle students sampled from nationwide. As a result of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 we confirmed 7 factor model was generally appropriate and acceptable. Second, in order to test criterion-related validity, test was done with 530 middle school students sampled form Seoul, Gyeonggido, Chungchongdo. The inventory has criterion-related validity enough to be a tool for measurement. Reliability of this inventory was .94 and retest reliability was .91. The limitation of this and suggestion for future research were discussed.

Cultural Industrial Districts as a Tool of Boosting Regional Economy in Korea (지역경제 활성화의 수단으로서 문화산업단지 정책: 평가와 과제)

  • Choo, Sung-Jae
    • Journal of the Economic Geographical Society of Korea
    • /
    • v.10 no.3
    • /
    • pp.332-343
    • /
    • 2007
  • It is not so long that the cultural industrial sector has been noted as one of the major engines of regional economy in Korea. In parallel with balanced development strategies recently emphasized in the Korean regional policy, there has been a wide range of investment to formulate cultural industrial districts in major cities. This trend of investment focus has changed the development strategies of each city. There are criticisms, however, to this public sector-dominated nurturing of cultural economy. This paper overviews the recent policy of cultural industrial districts in Korea, in terms of its background, institutional basis, performances, and some evaluations. Some suggestions are provided in order to make the policy successful; emphasize developing the culture industry itself, develop clusters specifically focu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culture industry, deliberate substantial measures for nurturing companies and human resources in the local regions, and formulate a system in which the local dominates and the center supports.

  • PDF

Theoretical review for Consilience activity model and program development to improve creative problem solving skills of students in fishing and agarian villages in Jeju (제주지역 농어촌 학생의 창의적 문제해결력 향상을 위한 통섭적 활동 모형 및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이론적 고찰)

  • Jung, Eun-Hee;Moon, Chang-Bae;Hong, Seung-Hee;Park, Jung-Hwan
    • Proceedings of the KAIS Fall Conference
    • /
    • 2010.05b
    • /
    • pp.937-940
    • /
    • 2010
  • 21세기 정보화 세계화 사회에서 창의적이고 자율적인 인간양성을 위한 교육개혁으로 창의적 인재양성, 자기주도적 학습능력 배양이 강조되어지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제주지역 농어촌의 경우 인구 집중이 도시로 이루어지면서 농어촌의 인구가 감소되어지고 그러한 결과로 소규모 학교는 통폐합이되면서 교육여건은 악화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제주지역 농어촌 교육문제를 해소하여 학생들의 이농현상을 줄일 수 있으며, 창의적이고 자기주도적인 학습 능력을 배양할 수 있는 프로그램 개발의 필요성을 느끼게 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도시와 농어촌의 서로 다른 교육여건에 기반하여 교육내용을 특성화함으로써 제주지역 농어촌 학생의 창의적 문제해결력 향상을 위한 통섭적 활동 모형과 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한 이론적 고찰을 하였다. 도시와 농어촌의 학력격차를 해소하기 위해서는 농어촌 학생에게 적절한 교육내용과 활동으로 재편성하여 가르칠 필요가 있다. 특히 제주도는 농촌과 어촌, 도시형이 특별히 구분되어지는 것이 아니라 하나의 통합된 생활문화의 특징을 가지고 있다. 앞으로 본 연구의 이론적 고찰을 바탕으로 제주지역 농어촌 학생들의 일상적인 생활환경에서 접하게 되는 다양한 활동 속에서 창의적으로 문제해결을 할 수 있도록 통섭적 활동 모형과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적용하게 되면 학생의 역량을 강화시키고 잠재해 있는 창의적 문제해결력을 개발하여 학력향상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 PDF

A Study about Establishing the Disaster Prevention Village and Management System (방재마을 구축 및 운영방안에 관한 연구)

  • Lee, Ji-Hyang;Shin, Ho-Joon;Back, Min-Ho
    • 한국방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1.02a
    • /
    • pp.187-187
    • /
    • 2011
  • 방재마을 구축 및 운영은 구조적 및 비구조적 재해예방사업을 통하여 지역의 전체적인 방재능력을 향상시키는 것을 기본방향으로 방재마을 구축에 따라 구조적 및 비구조적 컨텐츠가 활용된다. 방재마을 조성에 따른 구조적 및 비구조적 사업은 서로 상호보완적으로 작용되며, 이를 통해 각각의 재해유형과의 연계 및 컨텐츠 제시로 방재력향상을 도모한다. 현재 도시화로 인해 풍수해 발생시 우수유출량 증가로 침수피해 위험이 가중되고 있다. 이에 도시가 돌발성 집중강우에 의한 도시형 침수로부터 주민의 인명과 재산을 보호하기 위해 우수를 신속하게 저류시켜 우수유출량을 줄이는 대책을 수립해야 하며, 풍수해에 대비한 방재마을 구축 컨텐츠 및 운영방안에는 하천정비 및 하도개수, 하수도 정비 및 확충, 홍수조절, 저류지설치, 우수저류 및 우수침투시설 설치 등이 있다. 방재마을 운영 및 활성화를 위한 비구조적 사업은 재해예방을 위한 주민 기업 단체자구노력, 풍수해 예방주민활동, 침수피해 주민예방 활동, 지역자율방재단 운영, 주민주도의 추진체계 구축 등이 있다. 성공적인 방재마을만들기를 위해서는 주민주도의 추진체계를 확립하도록 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며, 방재마을에 있어 주민참여가 방재도시만들기와 밀착되어 전개될 때 방재마을의 운영 및 관리 효과가 향상된다. 따라서 구조적 운영방안과 함께 주민추진체계를 중심으로 한 방재마을 구축 및 운영을 통해 방재마을 활성화를 도모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PDF

An Effective Strategy to Improve the Economy of ChungNam Province by Business Incubating (창업보육을 통한 충남경제 활성화 방안)

  • 허용정
    • Proceedings of the KAIS Fall Conference
    • /
    • 2002.05a
    • /
    • pp.84-86
    • /
    • 2002
  • 21세기 지역경제는 지식정보화와 개방화에 의한 패러다임 변화를 요구하는 바, 산업구조 고도화 및 변화가 반드시 필요하다. 이를 위해서는 대기업 위주의 산업구조에서 벗어나 경쟁력 있는 중소기업 주도의 산업구조가 형성되어야 하며, 기술집약적 벤처기업의 창업을 활성화하고 대기업의 사업구조 전환을 유도하는 새로운 산업 및 문화시스템으로써의 지역단위의 네트워크가 구축ㆍ확장되어야 할 것이다. 이러한 시대적 배경 속에 지자체내 창업보육센터간 연계와 특성화의 필요성은 더욱 절실히 요구되며, 각 창업보육센터는 각기 특화된 창업지원 인프라를 통하여 예비창업자 및 창업기업가에게 창업에 필요한 능력개발 및 지식정보를 제공하면서, 협력체계 및 네트워크를 구축하여 상호 보완적으로 협력해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충남지역의 특색과 창업보육센터 현황을 고찰하고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해 창업보육센터들이 나아가야 할 방향을 모색해 보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