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지역적 차별화

검색결과 471건 처리시간 0.026초

서울의 학력집단별 거주지 분리와 아파트 가격의 차별화 (The Residential Segregation and the Differentiation of Housing Value in Seoul)

  • 최은영
    •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
    • 제10권3호
    • /
    • pp.592-605
    • /
    • 2004
  • 본 연구에서는 IMF 경제위기 이후 서울의 아파트 가격이 지역에 따라 양극화 되는 현상을 거주지 분리 심화라는 틀을 통해 분석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서울의 지역별 아파트 가격 차별화와 고학력집단의 거주지 분리 정도를 밝히고, 아파트 가격과 고학력집단 거주 비율의 상관관계를 밝히고자 한다. 연구 결과 거주지 분리와 아파트 가격의 차별화라는 공간적 과정은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시 행정동을 단위로 45$\sim$59세 인구의 고학력집단 비율을 시계열적으로 분석한 결과 1990년에 이미 현재와 같은 학력집단별 거주지 분리가 관찰되고 있어, 거주지 분리가 지속적으로 재생산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행정동별 고학력집단 거주 비운은 아파트 가격의 행정동별 변이와 밀접한 관련을 보이고 있다. 1997$\sim$2003년 사이 아파트 가격의 상승은 고학력집단이 공간적으로 집중되어 있는 지역을 중심으로 발생하였다. 그외 지역의 아파트 가격은 정체되어 있거나 소폭의 상승을 보여 아파트 가격의 지역차가 매우 강화되었다. 아파트 가격의 지역별 차별화는 거주집단에 따라 지역이 달라지는 거주지 분리 과정을 적극적으로 반영하고 있다.

  • PDF

관광동굴의 재활성화에 대한 논의 (Revitalization of Commercial Caves)

  • 김원진
    • 동굴
    • /
    • 제92호
    • /
    • pp.41-47
    • /
    • 2009
  • 본 연구는 동굴의 이용가치를 제고하고 시대적 요구에 편승하여 동굴 특히 관광개방동굴의 재활성화와 개발 용도별 가치를 고려하여 차별적으로 개발하고 관리운영함으로써 지역의 관광자원 뿐만아니라 지역경제성장의 한 동력원으로서 역할을 논의하고자 한다. 동굴에 대한 개발접근방식의 전환이 요구되며 필히 지역실정과 해당 동굴에 대한 개발가능성을 검토하고 차별화된 개발전략이 반드시 포함되어야 동굴의 가치증대 뿐만아니라 지역의 중요한 자원으로서 인식될 것으로 보여진다.

한국 수출중소기업에서 성과, 자원, 차별화 우위의 관계 및 조직 유기성의 조절 효과 연구 (The effect of resource, differentiation advantage and the moderated role of organicity of organization on performance of export firm in Korea)

  • 조연성;이태희
    • 국제지역연구
    • /
    • 제15권3호
    • /
    • pp.409-428
    • /
    • 2011
  • 본 연구는 국내 수출중소기업을 대상으로 자원, 차별화 우위, 조직 유기성 그리고 수출성과의 관계를 살펴보기 위한 목적으로 진행되었다. 또한, 조직 유기성에 대한 이론적 논의를 통해 조절 효과를 분석하기 위한 통합적 모형을 구축하였다. 자원은 재무자원과 인적자원으로 나누어 설정하였다. 선행연구에 따라 8개의 가설을 설정하였다. 가설검정을 위해 377개 수출기업 표본을 대상으로 구조방정식 모형인 PLS(Partial Least Square) 분석을 시행하였다. 실증분석 결과 재무자원과 인적자원은 모두 차별화 우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더불어 차별화 우위와 조직 유기성은 수출성과에 유의한 영향을 주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조절 효과에 대한 분석에서 조직 유기성은 재무자원과 차별화 우위 사이에 그리고 차별화 우위와 수출성과 사이에 유의한 조절 효과를 나타냈다. 그러나 인적자원과 차별화 우위 사이에는 유의한 조절 효과를 나타내지 못했다. 이러한 결과는 조직 유기성이 높을 때 외국시장 변화에 적응하는 데 필요한 차별화 우위가 영향을 받는다는 것을 보여준다. 이후 분석결과에 대한 이론적, 실무적 시사점을 논의하였으며, 연구의 한계 및 앞으로의 방향에 대해 살펴보았다.

생태관광 서비스디자인 프로세스 및 방법론 연구 (Ecotourism Service Design Process and Methodology)

  • 남유선;하광수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9권9호
    • /
    • pp.376-387
    • /
    • 2019
  • 도시화에 따른 인구 집중으로 지방 분권 및 지역균형발전의 역할이 중요해지며 지자체에 관광 콘텐츠 개발도 활발히 시도되고 있지만, 이러한 시도는 대다수 양적인 성장에 치우쳐 지역적 특색을 살리고 차별화된 경험을 제공하는 관광 콘텐츠를 효과적으로 제시하고 있지 못한 실정이다. 결국, 지역 특색을 가꾸어 지역의 정체성을 강조하고 차별화된 이미지를 구축할 수 있는 프로그램과 콘텐츠를 개발하는 것이 중요하지만 특징적 자원 발굴이 어려운 대부분의 소규모 지역은 상대적으로 적은 개발기회와 재정적 제약으로 인해 차별화된 프로그램과 콘텐츠 개발이 어렵다는 문제가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소규모 지역의 특징적 콘텐츠 발굴은 지역의 특징을 분석하고 보유한 자산을 최대한 이용하는 것이 효과적이라고 보고, 대안적 측면에서 지역 생태 자산을 이용한 지역 활성화 방안 중 하나인 생태관광을 효과적으로 지원하는 서비스디자인 프로세스를 제안하였다. 그 과정에서 벤 다이어그램 포지션, 콘텍스트 맵 방법론을 개발하여 수통골 자연관찰로를 통해 검증하였다.

장소성에 입각한 하멜의 문화콘텐츠 자원화 (Utilization of Hamel's Cultural Contents based on Placeness)

  • 최석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8권4호
    • /
    • pp.137-146
    • /
    • 2008
  • 지역의 정체성을 확보하고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한 문화관광개발 정책으로서 차별화된 장소 이미지 정립이 더욱 중요해지고 있다. 지역이 소유하고 있는 문화적 역사적으로 차별화된 장소를 활용한 장소마케팅 전략은 그 지역의 경쟁력강화를 위한 지역개발전략의 일환으로 매우 가치가 크다. 장소 이미지가 차별화된 브랜드로 구축되기 위해서는 그 장소와 지역에 가장 적합한 장소이미지 포지셔닝이 수립 되여야 하고 더불어 다양한 시너지 효과를 창출할 수 있는 종합적인 마케팅전략이 요구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기존의 장소와 장소마케팅 관련 이론과 논의들을 토대로 하멜이 표류한 후 체류했던 역사적 문화적 배경과 장소자산을 가지고 있는 지역을 선정하여, 문화적 활동 공간으로서의 가능성과 보다 효율적인 활용방안을 모색하는데 있다. 이를 위하여 사례 조사를 통하여 역사적 문화적 배경을 고찰하고 브랜드화 및 장소 이미지 판촉과 관련한 제안, 그리고 종합적 이미지 구축을 위한 효율적인 방안모색과 자원화의 가능성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서울의 거주지 분리 심화와 교육환경의 차별화 - 학력자본 재생산의 차별화와 빗장도시 - (The Differentiation of: Reproduction of Educational Capital and Gated City)

  • 최은영
    • 대한지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지리학회 2004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88-88
    • /
    • 2004
  • 본 연구에서는 부모세대의 사회ㆍ경제적 지위에 따라 결정된 거주지에 따라 자녀세대의 학력자본이 차별적으로 재생산되고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연구결과 고학력으로 대표되는 사회ㆍ경제적 지위가 높은 집단의 거주 비율이 높은 분리된 거주지에서 재생산되는 학력자본은 양적인 면에서나 질적인 면에서 모두 매우 차별적인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과거에 비해 대학진학률이 많이 높아졌지만 4년제 대학 진학으로 제한해 지역별 학업 성취를 비교해 보면 지역별 차가 뚜렷하게 나타나고 있다. (중략)

  • PDF

스토리텔링 선택속성이 축제의 브랜드 자산과 사후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Select the Properties of Storytelling Effects on the Festival of Brand Equity and Reactive)

  • 김현철;전인오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3권10호
    • /
    • pp.480-494
    • /
    • 2013
  • 세계 브랜드 축제는 지역의 정체성과 문화를 핵심요소로 하는 차별성과 독창성 그리고 지역민과 방문객이 함께 체험하고 공유할 수 있는 꺼리를 통하여 브랜드화에 성공하였다. 경쟁적이고 모방적인 축제보다는 지역의 차별화된 문화를 함유한 지역축제는 독창적인 브랜드를 창출하고, 이를 통한 문화적 경제적 경쟁력 확보 뿐 아니라, 지역의 문화와 정체성을 보존 발전시키는 최고의 지역 자산이 될 것이다. 축제 브랜드를 구축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차별화 전략이 최우선시 되어야 하며, 변별력 있는 지역문화의 발굴과 전개 그리고 감성의 시대에 가장 강력한 마케팅 수단으로 제시되고 있는 스토리텔링을 통한 브랜드 자산을 방문객에게 전달하여야 한다. 지역축제 스토리텔링은 창조 감성의 시대에 맞는 축제의 방향성과 패러다임의 핵심동인으로 지역 이미지 개선과 경제 활성화 등 중장기적인 지역발전 기반 구축과 차별화된 지역 문화 창출로 삶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을 것이다. 지역의 문화적 경제적으로 가장 중요한 자원인 지역축제의 성공을 위해서는 일률적이고 단기적인 기획과 프로그램 구성, 관 중심의 일방적인 운영 등이 아닌 참여 공유 소통을 중시하는 스토리텔링 기법의 적용이 필수불가결하다고 판단된다.

1990년대 중국 사영기업의 성장과 지역발전 (The Growth of Private Enterprises in the 1990s and Regional Development in China)

  • 이원호
    • 한국경제지리학회지
    • /
    • 제8권2호
    • /
    • pp.285-299
    • /
    • 2005
  • 1978년 말 시작된 중국의 경제개혁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그 속도와 깊이가 심화되고 있으며, 특히 최근에 진행되고 있는 사영기업의 성장이 갖는 의미는 경제적으로나 정치적으로 매우 중요하지만, 공간적으로도 그 발전의 차별성으로 인해 특정지역의 발전과 지역불균등 성장패턴에 미치는 영향이 심대하다. 본 연구는 사영기업의 발전경로를 규정해 온 제도적 변화와 함께 사영기업 성장의 지역구조를 이해하고자하였다. 사영기업의 성장 이면에는 경제개혁의 근본접근양식이 시장화전략과 경제개혁이 진행됨에 따라 나타나는 실업의 문제해결이라는 중요한 동기가 자리 잡고 있다. 사영기업 발전의 지역패턴 또한 지속적으로 심화되는 공간적 차별화에 의해 특징 지워진다. 지역통계자료에 기초한 일차적인 분석결과, 사영기업의 발전은 지역경제의 시장화정도와 밀접한 관련성을 보이게 된다. 따라서 향후 경제발전의 지역적 패턴특정은 경제 개혁의 진전과 시장화 수준에 따라 결정될 것으로 생각되며, 이는 향후 지역발전을 위한 전략 수립에서 사영기업 발전전략이 차지하는 중요성을 뚜렷히 보여준다.

  • PDF

서울의 인구고령화와 고령자 고용의 지역적 특성 (The Characteristics of Population Ageing and the Employment of Aged Workers of Seoul)

  • 박삼옥;진종헌;구양미
    • 대한지리학회지
    • /
    • 제43권3호
    • /
    • pp.337-357
    • /
    • 2008
  • 본 논문은 서울의 인구고령화 현상을 살펴보고 이들 고령자 취업의 지역적 특성을 고찰하는 연구이다. 서울시 구별 자료를 토대로 노령화지수와 장수도를 산출하여 시 공간적 변화와 차이를 확인하였다. 또한 고령자취업알선센터의 자료를 통해 구인처와 구직자, 취업자에 대한 분석을 시도하였다 그 결과, 서울의 인구고령화는 다른 지역에 비해 최근 들어서 빠른 속도로 진행되었고, 서울 내에서 각 구별로 지역적 차별화를 보였다. 고령자의 취업현황을 살펴보면 단순노무직 비율이 전국 평균에 비해 높게 나타나고, 고용의 지역적 차별화로 인해, 몇몇 지역을 제외하고는 고령자를 위한 고용기회가 충분하게 주어지지 않았다. 결과적으로, 구인처와 구직자, 취업자간에는 지리적 부조응(geographical mismatch)이 나타났는데, 이는 고령구직자가 자신의 주거지 주위에서 적절한 일자리를 얻기 힘들다는 것을 의미하며, 고령자의 낮은 이동성을 고려할 때 정책적 제도적 지원 및 개선이 필요하다고 생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