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지역별 발전량

Search Result 135, Processing Time 0.051 seconds

The highest spot selection of the domestic for MW class PV system which uses Solar pro adoption (Solar Pro를 이용한 국내 MW규모 태양광발전 최적지 선정)

  • Hwang, Jung-Hee;Ahn, Kyo-Sang;Lim, Hee-Cheon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7.06a
    • /
    • pp.292-294
    • /
    • 2007
  • 본 논문에서는 MW급 집중배치형 태양광 발전시스템 설치 전 기상청 기상대 기후자료를 Solar Pro 시뮬레이터에 적용하여 최적의 발전 Site를 선정하는 방법을 소개하고, 그 결과를 보여준다. 국내 지역별로 일사량 및 지역 기후 특성에 따라 태양광 발전의 발전량이 차이가 남에 따라 태양광발전 사업 전 반드시 거쳐야 할 단계이다. 이를 토대로 MW급 태양광 발전시스템 설치 시 각 지역별 경제성 차이도 알아 볼 수 있다.

  • PDF

Prediction of future potential hydropower in Asia based on AR5 climate scenarios (AR5 시나리오 기반 미래 아시아 수력 발전 가능량 전망)

  • Kim, Seon-Ho;Shin, Hong-Jun;Kim, Jin-Hoon;Bae, Deg-Hyo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0.06a
    • /
    • pp.70-70
    • /
    • 2020
  • 기후변화 대응을 위해 파리기후협약에서는 온실가스 배출량 감축을 위한 구체적인 목표를 제시하였다. 에너지 분야는 온실가스가 가장 많이 배출되는 분야 중 하나이며, 온실가스 감축 방안으로 신재생 에너지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특히 수력에너지는 신재생 에너지 중 가장 현실적이고 많이 활용되는 에너지원으로 각광받고 있다. 아시아 지역은 개발도상국이 다수 위치하고 있고 미개발된 잠재 수력에너지가 풍부한 지역으로 국내 기업의 진출 가능성이 높은 지역이다. 수력에너지 개발을 위해서는 수력 발전 가능량 평가가 필수적이며, 수력 발전 가능량은 기후, 수문조건에 민감하게 반응하기 때문에 기후변화에 따른 수력 발전 가능량의 변동 가능성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아시아 지역에 대한 AR5 기후변화 시나리오 기반 수력 발전 가능량을 전망하고 분석하고자 하였다. 수력 발전 가능량 산정을 위한 수문 자료 생성은 지표수문해석 모형 VIC (Variable Infiltration Capacity)를 이용하였으며, 모형 입력 자료로 APHRODITE (Asian Precipitation -Highly Resolved Observational Data Integration Towards Evaluation of water resources) 기상 자료, USGS (U.S. Geological Survey) 수치지형도, FAO (Food and Agriculture Organization) 토양도, NCC (Norwegian Climate Centre) NorESM 기후변화 시나리오를 활용하였다. 분석결과 수력 발전 가능량은 과거 및 미래 기간에 동남아시아, 남아시아 지역에 풍부한 것으로 나타났다. 동남아시아는 유출량이 풍부하며, 남아시아는 유역별 낙차가 크기 때문에 수력 발전 가능량이 풍부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동남아시아 지역의 수력 발전 가능량이 남아시아에 비해 기후변화의 영향을 크게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미래 기후변화로 인해 유출량의 변동 폭이 더욱 넓어져 발전 효율이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나 수력발전의 안정성이 감소하였다. 본 연구는 아시아 지역의 수력 발전 가능량을 산정하고 특징을 분석하였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 PDF

Development of Photovoltaic Output Power Prediction System using OR-AND Structured Fuzzy Neural Networks (OR-AND 구조의 퍼지 뉴럴 네트워크를 이용한 태양광 발전 출력 예측 시스템 개발)

  • Kim, Haemaro;Han, Chang-Wook;Lee, Don-Kyu
    • Journal of IKEEE
    • /
    • v.23 no.1
    • /
    • pp.334-337
    • /
    • 2019
  • In response to the increasing demand for energy, research and development of next-generation energy is actively carried out around the world to replace fossil fuels. Among them, the specific gravity of solar power generation systems using infinity and pollution-free solar energy is increasing. However, solar power generation is so different from solar energy that it is difficult to provide stable power and the power production itself depends on the solar energy by region. To solve these problems in this paper, we have collected meteorological data such as actual regional solar irradiance, precipitation, temperature and humidity, and proposed a solar power output prediction system using logic-based fuzzy Neural Network.

Regional Economic Impact of Potential Utilization of Ligneous Biomass (목질계 바이오매스에너지의 지역별 잠재적 파급효과 추정)

  • Bae, Jeong-Hwan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6.11a
    • /
    • pp.217-220
    • /
    • 2006
  • 목질계 바이오매스는 신재생에너지원에 비해 국내 잠재량이 가장 풍부한 에너지원 가운데 하나이다. 그러나 주요 공급원인 간벌목 부산물의 10%, 폐목재의 1/3 정도만 활용되고 있다. 따라서 향후 관련법제도 개선 및 지원을 통해 바이오매스의 에너지 활용도를 높일 필요가 있다. 목질계 바이오매스를 이용하여 에너지를 생산할 경우 잠재적 기여도는 2005년 신재생에너지 공급량의 29.4%에 달하며, 신재생에너지의 일차에너지 소비대비 2.13%에서 2.76%로 증가시킬 수 있는 잠재력을 갖고 있다. 본 연구는 전국 16개 시도별로 잠재되어 있는 목질계 바이오매스 생산 가능량을 추정하고 이를 바이오열병합발전소의 주연료로 이용할 경우 지역별 경제적 파급효과를 분석해 보았다. 그 결과 경기, 서울, 전남, 경북, 강원, 충남 등에서 파급효과가 크게 나타났다. 지역별 파급효과를 합할 경우 부가가치 파급효과가 15,736억원, 고용효과가 2,630명으로 나타났다.

  • PDF

Introduction of Small-Scale Pumped-Storage Generation Technology to solve the Problem of Renewable Energy Volatility (재생에너지 변동성 문제 해결을 위한 소규모 양수발전 활용 기술 소개)

  • Tae Gyu Hwang;Jong Seok Lee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3.05a
    • /
    • pp.78-78
    • /
    • 2023
  • 기후변화 위기는 유사 이래 인류가 직면한 가장 큰 도전으로 범정부적 글로벌 문제로서 이를 해결하기 위한 다양한 정책들이 범국가 차원 혹은 세계적 기업들에 의해 발표 혹은 시행되고 있다. 이러한 기후변화위기와 탄소배출 저감을 위한 대표적인 대응 방안 중 하나가 바로 재생에너지의 확대·보급 노력이다. 그러나 재생에너지는 날씨와 계절 등 자연환경의 영향을 받는 에너지원으로써 간헐성, 변동성을 가지므로, 시간대별 발전량 예측과 전력공급 안정성에 어려움이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재생에너지 발전은 석탄화력 발전과 달리 전력의 수요와 공급의 균형을 위한 에너지저장장치(Energy Storage System, 이하 ESS)가 있어야 한다. ESS는 전력공급 안정성 향상과 전력 수급의 유연성을 제공하는 장점이 있지만, 초기 설치비용이 높은 단점이 있다. 특히, 배터리 기반 ESS의 경우 높은 구축 비용과 한정적인 충. 방전수명으로 인하여 대용량 ESS로써의 역할 수행에는 분명한 한계가 있다. 하지만 재생에너지와 연계한 ESS로 양수발전댐을 활용할 경우 장주기, 장수명, 대용량 에너지 저장에 매우 합리적인 수단으로 판단되었다. 다만, 양수발전 댐 구축에는 토목공사로 인한 환경 훼손이라는 문제점도 존재한다. 본 고에서는 지역 분산형 소규모 양수발전(Pumped Storage Hydropower, 이하 PSH)댐 구축 및 운영기술 개발을 통해 지역 전력공급과 전력 수급을 조절하면서 변동성 재생에너지를 안정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방안을 소개하고자 한다. 특히, 해당 기술은 지역별 특성에 맞춰 유연하게 설치할 수 있으며, 대규모 토목공사로 의한 환경적 부작용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소규모 PSH는 지역의 저수지 및 수자원을 이용하여 에너지를 저장함으로써 변동성 큰 재생에너지의 유연화 대응과 동시에 안정적인 에너지 공급이 가능하다. 본 고에서는 재생에너지의 확대·보급에 따른 문제점과 대표적 ESS 기술들을 분석·소개한다. 지역분산형 소규모 PSH 기술개발 연구기획 내용 소개를 통하여 전력 생산 및 공급의 탈중앙화를 달성하고, 지역별 변동성 재생에너지의 안정적 활용과 지역 전력공급 특성 및 전력 수급에 대응할 수 있는 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 PDF

Present situation and utilization-rate of a mass solar-powerplant in Korea (우리나라 대용량 태양광발전 현황 및 이용률 분석)

  • Shin, Yong-Son;Jung, Rae-Hyuck;Ko, Jae-Whan;Jeon, Jong-Taek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08.11a
    • /
    • pp.469-471
    • /
    • 2008
  • 본 논문에서는 최근 급격히 증가하는 태양광산업에 대해, 전력시장에 등록된 200kW 초과 대용량 태양광발전소를 대상으로 기간별 증감추이 및 지역별 현황을 파악하고, 발전소 위치 및 이용률 분석을 통해 일조량과 바람 등이 태양광발전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해 보고자 한다.

  • PDF

Study on the Performance Ratio of PV System for Capability (용량별 태양광 시스템의 발전 성능에 관한 연구)

  • Park, Jaegyun;Yi, Somi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1.05a
    • /
    • pp.107.2-107.2
    • /
    • 2011
  • 태양광발전 시스템의 성능 평가는 신뢰할 수 있는 데이터의 취득 및 분석을 통하여 발전성능을 제시할 수 있다. 발전성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일사량과 온도 등의 환경적인 요인, 시스템 구성에 따른 기술적인 요인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특히, 시스템 구성에 의해 결정되는 기술적인 요인은 태양전지 모듈의 어레이 손실 및 BOS의 자체 손실 등을 분석하여 전체 시스템의 발전성능을 분석하여 그 성능을 평가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기 설치된 태양광발전 시스템에서 취득된 데이터를 통하여 용량별, 지역별에 따른 태양광발전 시스템의 성능 분석과 손실 원인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시스템의 성능은 환경적인 요인과 기술적인 요인에 의해 발전성능이 달라진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논문의 결과는 향후 태양광 발전 시스템의 성능의 기준을 제시하는 연구를 위한 사전연구로써 유용한 자료가 되리라 믿는다.

  • PDF

Economic Evaluation between Diesel vs Renewable Energy for Remote Islands (도서지역 기존 디젤과 신재생 전원의 경제성 비교 방안)

  • Kim, Bong-Suck;Jung, Jee-Hong;Kim, Hae-In;Beum, Yoon-Yong;Ryu, Je-Myun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11.07a
    • /
    • pp.584-585
    • /
    • 2011
  • 우리나라 자가발전 도서 132개 중 10개 도서를 대상으로 디젤발전과 태양광 풍력의 경제성을 비교하였다. 도서별 전력수요 추정과 함께 발전원의 수명기간 동안 총 비용을 총 발전량으로 나눈 균등화발전단가(원/kWh)를 경제성 분석지표로 사용하였다. 도서별 실제 태양광과 풍황 등 자원량을 반영하지는 않았고 태양광 15%, 풍력 21% 이용률을 가정하였다. 그 결과 4개도서가 경제성 확보가 가능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향후 국가 차원의 손실 최소화 방안 및 국가적 편익 비용을 산출함으로서 향후 도서지역 중장기 경제적 전력공급을 위한 도서 전원 구성에 관한 정책적 방향을 제시할 예정이다.

  • PDF

A study on the utilization of the supply reliability index applicable to the generation resource expansion (신규발전설비 평가시 공급신뢰도지수 활용방안에 관한 연구)

  • Lee, Seung-Hyun;Kim, Jung-Hyuk;Han, Seok-Man;Chung, Koo-Hyung;Kim, Bal-Ho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07.07a
    • /
    • pp.840-841
    • /
    • 2007
  • 현재 전력수급기본계획은 경쟁적 전력시장 출범에 따라, 시장기능 중심의 개념으로 전환되어, 사업자의 건설의향을 토대로 수립한다. 설비 과잉시 각 사업자별 건설의향 발전설비는 다양한 계량지표와 비계량지표로써 평가하게 되며, 이를 바탕으로 평가순위를 매겨 전력수급기본계획이 수립되게 된다. 하지만, 공급신뢰도측면에서 각 건설의향 발전설비의 가치는 시스템 전체별, 각 지역별, 연계지역별로 달라진다. 본 논문에서는 신규발전설비 평가시 공급신뢰도지수를 활용하는 방안에 대해 제안하고자 한다.

  • PDF

The Evaluation of Solar Power Promotion Policy: From the Perspective of FIT(Feed-in Tariff) (국내 태양광보급사업의 평가: 발전차액 지원제도를 기준으로)

  • Eo, Sung-Yun;Um, Shin-Young;Lee, Jin-Ho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9.11a
    • /
    • pp.401-404
    • /
    • 2009
  • 정부는 신재생에너지 보급지원을 위해 2002년도부터 발전차액지원제도를 시행해 오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발전차액지원제도와 관련된 에너지관리공단의 내부 자료를 이용하여 119개의 태양광발전사업의 실증평가를 시행하였다. 실증분석을 위해 단위투자비당 발전량을 지수화하고 투자비 대비 효율을 산출하였다. 또한 이 분석을 위해 일사량, 설비용량, 모듈 인버터 투자비 등을 고려하였다. 분석결과 투자대비 효율 산정결과에 일사량과 단위 설비용량당 모 듈 인버터 투자비의 영향이 크게 나타난 것으로 확인되었다. 단위 투자비당 발전량을 분석한 결과 전라도의 태양광발전소의 효율은 분석 대상인 24개 지역의 평균보다는 높으나 발전소별 편차가 높게 나타난다는 점은 향후 보급사업을 평가하는 경우 추가적으로 고려되어야 할 문제라고 판단된다. 기타 자료분석 결과에 따라 효율관리를 위한 대안을 제시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