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지역바람특성

Search Result 338, Processing Time 0.025 seconds

Beach and Sanddune Development along the Coastline of the Chungcheong-Namdo Province (충청남도 해안에 발달한 해빈과 해안사구)

  • Kahng, Tay-Gyoon
    •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 /
    • v.24 no.6
    • /
    • pp.568-577
    • /
    • 2003
  •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geomorphic processes of beach and sanddune development in the Chungcheong-Namdo Province. The sands consist mainly of quartz and feldspar with lesser amounts of mica and other heavy minerals. With the exception of those from the granite, the sands have a very fine texture. Another characteristic of the sand grains is low degrees of roundness and grading indicating that source areas for the material were in the vicinity of the accumulating field. Over the years, the beaches have receded as a response to the decreasing amount of depositional materials. The driving force for the formation and transformation of coastal dunes in the study area is dominant winds from the center of the Siberian High. To some extent, the erosion of coastal dunes has been a global phenomenon. The degradation process occurred most actively when spring tides attacked beaches, berms, and foredunes. The relief and shape of present-day coastal dunes is determined initially by the Pleistocene strata underneath. From the fact that the strata contained traces of frozen structure, it can be inferred that sediment once experienced the process of soil formation.

Modification of Sediment Routing of SWAT model for Predicting Sediment In Dry Condition (비강우시 하천 유사 예측을 위한 SWAT 모형 개선)

  • Bak, Sangjoon;Choi, Yonghun;Yang, Dongseok;Lee, Seroro;Lee, Gwanjae;Jeong, Yeonji;Lim, Kyoung Jae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2.05a
    • /
    • pp.202-202
    • /
    • 2022
  • SWAT모형은 장기간에 모의가 가능하며 다양한 토양이용과 토지특성을 고려할 수 있는 유역 단위 모형으로 많은 연구에서 이용된다. 이러한 유역단위 수문모형의 평가는 통계적 지수(NSE, R2)들로 모형의 적합성을 평가한다. NSE, R2는 상대적으로 큰 값에 대한 영향을 많이 받는다. 따라서 많은 강우량이 발생하는 시점에서의 유출량과 SS농도가 중요시되었다. 하지만 강우시에 하천으로 유입된 토양 중 일부는 하천에 퇴적물로 침전된다. 이 침전된 토양이 비강우시 바람 등과 같은 이유로 재부유되며 이로 인해 수중 DO를 고갈시켜 수생태계 악영향을 미친다. 이에 따라 비점오염저감시설 평가는 강우시 발생하는 SS농도도 중요하지만 비강우시 재부유되는 SS농도도 중요한 부분이다. SWAT모형에서는 하천 SS농도를 계산하는데 사용되는 매개변수가 강우시와 비강우시에 동일하게 적용되어 비강우시에 과대 산정되어 비강우시 SS농도가 증가되도록 sediment routing이 진행되고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sediment routing을 수정하여 비강우시 SS농도를 실측 농도와 비슷하게 보정할 수 있도록 개선하였다. 비점오염관리지역 중 하나인 자운천 유역에 개선된 sediment routing을 적용하였다. 개선된 모형은 비강우시 농도가 잘 반영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 PDF

Tsunami Evacuation Simulation at Samcheok Port (삼척항의 지진해일 대피 시뮬레이션)

  • Park, Seong-Kyu;Ha, Tae-Min;Cho, Yong-Sik
    • 한국방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0.02a
    • /
    • pp.109.2-109.2
    • /
    • 2010
  • 방재계획의 하나인 대피장소 및 대피경로의 결정은 방재계획 중 가장 기본이 되는 사항으로 재해발생 시 대비가 적절치 못하면 대규모 인명피해가 발생할 우려가 있기 때문에 결정에 신중을 기해야 한다. 대피장소 및 대피경로의 결정은 직접 대규모 인원이 참여한 모의실험을 실시하여 효율적이고 안전한 방법을 찾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그러나 이러한 접근은 현실적으로 불가능하기 때문에 본 연구에서는 대상 지역의 지진해일 대피 시뮬레이션 모형을 제작하고 이를 적용하여 최적의 대피장소 및 대피경로를 지정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러한 접근을 통하여 실제 지진해일 발생 시 주민들이 가장 빠르고 안전하게 대피하도록 할 수 있으며, 나아가 효율적이고 안전한 방재계획 수립에 큰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과거 지진해일로 인한 피해 경험이 있는 삼척항을 지진해일 대피 시뮬레이션을 위한 대상지역으로 선정하였다. 또한, 현장 조사를 실시하여 대상지역의 지형특성을 고려한 결과를 토대로 지진해일 대피 시뮬레이션에 앞서 필요한 가상 시나리오를 작성하였고 지진해일 대피 시뮬레이션을 통해 비상대처계획(EAP, Emergency Action Plan) 수립에 필수 사항인 대피계획을 검토하였다.

  • PDF

SAR 자료를 이용한 해안선 추출

  • 류주형;조원진;원중선ㄴ
    • Proceedings of the KSRS Conference
    • /
    • 2000.04a
    • /
    • pp.91-95
    • /
    • 2000
  • 위성영상을 이용한 해안선의 추출은 연안 지형의 변화감지의 조간대의 DEM 생성 등 지구과학적인 활용 외에도 지형도와 해도의 수정에도 활용될 수 있다. 바람이 세거나 파랑이 높을 때 돌아오는 레이다의 신호는 육지와 구별이 어렵고 또한 speckle 잡음으로 인하여 SAR를 이용한 해안선 추출은 광학자료에서 사용하는 thresholding 방법이나 간단한 edge detector 등의 방법을 적용하여 좋은 결과를 얻는데 어려움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SAR 자료를 이용하여 빠르고 정확하게 해안선을 추출할 수 있는 ratio에 기초한 해안선 추출 방법인 MSP-PoA(Maximum Stregth Edged Pruning Ratio of Average)을 경남 낙동강 하구지역의 인공해안선에 대해 적용하여 결과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는 매우 만족할 만 하나, 육지와 해수의 점이적인 특성을 나타내는 조간대가 분포하는 전남 곰소만 지역에서는 SAR intensity의 변화가 크지 않아서 만족할 만한 결과를 얻을 수 없었다. 이러한 지역에 대해서는 SAR의 위상정보를 이용하는 interferogram의 정확도를 정량적으로 평가하는데 사용되는 coherence map을 구하여 해안선을 추출하고자 한다.

  • PDF

Application of Ventilation Corridor to Mitigate Particulate Matter for the Sejong-Si (미세먼지 저감대책으로서 바람길 적용 방안 : 세종시를 대상으로)

  • Nam, Seongwoo;Sung, Sunyong;Park, Jong-Soon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20 no.3
    • /
    • pp.1-9
    • /
    • 2020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effects of ventilation corridor and derive adequate policy alternatives to its application for the city of Sejong, which is located in an inland of Korean Peninsula. In order to introduce the ventilation corridor in the city, it is necessary both to understand change on fresh air flow affected by the construction of new cities and to show its effects which are able to circulate air flow of the city. The study identified ventilation effects using computational fluid dynamics models. In particular, it analyzed change on wind speed and direction after constructing of a new town and cool air flow along the lowlands generated after sunset. In addition, it identified those of reducing particulate matter when arranging buildings conforming to the ventilation corridor at block level. The policy implications derived from simulation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it is desirable to plan ventilation corridors so that fresh air from mountains, forests, and valleys can flow into cities and mitigate the concentration of particulate matter. Furthermore, public facilities covering parks, plazas, and playgrounds should be installed preferentially to attract safe outdoor activities near to areas with low levels of particulate matter. Finally, it is adequate to prepare for a number of alternative plans by analyzing ventilation corridors when setting out district unit plan.

Geotechnical Considerations for Railway Design in the Middle East (중동지역 철도설계 시 지반공학적 고려사항)

  • Moon, Joon-Shik
    • Journal of the Korean Geotechnical Society
    • /
    • v.29 no.11
    • /
    • pp.49-60
    • /
    • 2013
  • The plan for major design-build projects of railway link among countries in gulf area (GCC) and freight rail construction is recently announced, but Korean companies have a hard time tendering due to special geotechnical condition in the Middle East. The major geotechnical risks during railway construction in the Middle East are related to ground improvement of soft Sabkha ground, wind-blown sand mitigation measure, dune sand compaction, and construction of large-scale cut and embankment. In this study, the characteristics of special geotechnical condition and potential geotechnical risks during railway construction in the Middle East are discussed on the basis of field observation, literature review, and field and laboratory test results.

Determining the Components of Residential Parking Permint Program (거주자우선주차제의 시행전략)

  • 황기연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 /
    • v.15 no.2
    • /
    • pp.7-23
    • /
    • 1997
  • 본 연구의 목적은 설문조사를 통해 주민들이 실정에 맞는 거주자우선주차제의 실행 요건을 결정하는데 있다. 연구의 구성은 제2장에서 거주자우선주차제의 이론적 배경을 검토 하고, 제3장에서는 실행요건의 결정을 위한 연구분석의 틀을 제시하며, 제4장에서는 설문조 사의 방법과 조사내용에 대한 분석결과를 제시한다. 마지막으로 제5장에서는 결론과 정책건 의로 맺음한다. 이론적으로 분석결과 거주자우선주차제는 주차수요관리와 주차장공급촉진이 라는 2원적인 목표를 내재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결과 허가요금, 시행시간대 등의 실 행요건을 결정하는데 있어서 다양한 외부요인들을 고려하여야 할 필요가 있으며, 외부요인 들은 거주자들의 사회경제적 특성, 주거환경적특성, 주차행태적 특성, 기타특성 들로 구성된 다. 실행요건을 결정하기 위해 주민들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그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요금수준 결정시 차고지 공급 목적일 경우 높은 수준의 요금을 부과하되 지역적 소득수준을 감안 하여야 하며, 목적이 수요관리에 있을 때는 외부인에 대한 규제만 하면 되 기 때문에 주민들에게는 무료이거나 가능한 낮은 요금을 징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2) 공 간적 범위는 주민들의 근거리주차 선호 때문에 블록단위 또는 세가로를 중심으로 시행하되, 집앞돌폭이 4m 미만이거나 8m 이상일 경우에는 공간적 범위를 넓게 잡는 것이 바람직 할 것이다. 3) 주차면 배정은 독점적 사용권을 부여하는 방식이 공공재의 사유화라는 부작용 및 주차면의 비효율적 사용이라는 측면이 있기 때문에 가능한 공동이용방식을 채용함이 바 람직 한 것으로 나타났다. 4) 외부인 주처허가는 전용주택가 지역에서는 허용하여도 그리 큰 문제는 없을 것이나, 외부인 주차수요가 많은 지역에서는 무조건적 허락보다는 요금지불, 주차확인증과 같은 제도적 보완을 통해 허용해야 한다. 5) 시행시간대 결정시 전용주거지역 에서는 야간만 실시하여도 문제가 없으나 그외 지역에서는 주차수요를 고려하여 주간 또는 전일로 시행할 필요가 있다. 특히 주차문제가 하루종일 발생하는 경우와 출퇴근시 주차문제 가 많은 곳에서는 하루종일 시행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차고지 확보율이 지나치게 낮은 곳 에서는 야간시 주민반대에 부디칠 가능성이 크기 때문에 차고지 여건이 개선될 때 까지는 시행을 보류할 필요가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PDF

A Numerical Study of the Effects of Land Characteristics on the Air Cooling (지표면 특성에 따른 대기 냉각 효과에 관한 수치적 연구)

  • An, Jae-Ho;Kim, Tae-Wan;Lee, Sang-Eun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Agriculture
    • /
    • v.23 no.4
    • /
    • pp.264-271
    • /
    • 2004
  • A three-dimensional numerical mesoscale model by Pielke's estimation (University of Virginia Mesoscale Model, UVMM) was appli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land characteristics including land-humidity, land-roughness and land-albedo on some micro-climatic coefficients and the air cooling capacity. The results indicated that land-characteristics exposed a significant effect on air cooling. Air cooling effects between in urban and agricultural areas were compared and the effects were much higher in agricultural area. Air cooling effects of weed species were different and when converted into economic values by diesel oil price the effects were ranged from 411 to 816 Won/plant.

Analysis of Atmosphere-Ocean Interactions over South China Sea and its Relationship with Northeast Asian Precipitation Variability during Summer (남중국해의 여름철 대기-해양 상호작용과 동아시아 강수량의 상관성 분석)

  • Jang, Hye-Yeong;Yeh, Sang-Wook
    • Atmosphere
    • /
    • v.23 no.3
    • /
    • pp.283-291
    • /
    • 2013
  • This study investigates the changes in the atmosphere-ocean interactions over the South China Sea (SCS) by analyzing their variables in the period of 1979~2011 during the boreal summer (June-July-August). It is found that a simultaneous correlation coefficient between sea surface temperature (SST) and precipitation over SCS during summer is significantly changed before and after the late-1990s. That is, the variation of precipitation over SCS is negatively (positively) correlated with the SST variations before (after) the late-1990s. Our further correlation analysis indicates that the atmospheric forcing of the SST is dominant before the late-1990s accompanying with wind-evaporation feedback and cloud-radiation feedback. After the late-1990s, in contrast, the SST forcing of the atmosphere through the latent heat flux from the ocean to the atmosphere is dominant. It is found that the change in the relationship of atmosphere-ocean interactions over SCS are associated with the changes in the relationship with Northeast Asian summer precipitation. In particular, a simultaneous correlation coefficient between the precipitation over SCS and Northeast Asia becomes stronger during after the late-1990s than before the late-1990s. We argue that the increase of the SST forcing of the atmosphere over SCS may lead a direct relationship of precipitation variations between SCS and Northeast Asia after the late-1990s.

Generation and verification of the synthetic precipitation data (고해상도 종합 강우자료 복원 및 검증)

  • Kang, Hyung Jeon;Oh, Jai Ho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6.05a
    • /
    • pp.142-146
    • /
    • 2016
  • 최근 저해상도 기상자료를 바탕으로 한 단기간에 내린 폭우나 극심한 가뭄 등과 같은 국지적인 기상 예보는 한계가 있기 때문에 고해상도 기상자료에 대한 수요가 증대되고 있으며, 특히 지형이 복잡한 한반도의 경우 지형적인 영향을 고려한 고해상도 기상자료가 요구되고 있다. 하지만 현재 기상청에서 제공하는 남한 지역의 지상 관측 자료는 약 10km의 불규칙한 간격으로 분포하고 있으며 이는 복잡한 남한지역의 지형 특성을 고려하기에는 해상도가 낮아 상세한 기상 현상을 예측하기 힘들다. 또한, 북한의 경우 사용가능한 관측 자료가 부족하여 한반도 전체를 대상으로 한 기상 예보 및 기후 특성 분석에는 한계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정량적 강수 예측 모형인 QPM(Quantitative Precipitation Model)을 이용하여 3시간 간격의 현재기후(2000-2014년)에 대한 한반도 지역의 1km 강우 자료를 복원하였다. 관측 자료가 부족한 북한의 경우 재분석 자료를 이용하여 1km 해상도의 강우 자료를 복원하였다. 이를 위해 몇 가지 특정한 강우 Case를 선별하였고, QPM 수행 시 필요한 강수, 상대습도, 지위고도, 연직 기온, 연직 바람장 등의 변수에 대하여 남한 지역에 해당하는 지점의 여러 재분석 자료와 실제 남한 지역의 지상/고층 관측 자료와의 비교 및 Correlation 분석을 통해 가장 적절하다고 판단되는 재분석 자료인 NASA에서 제공하는 MERRA Reanalysis data를 선정하였다. 또한, 소규모 지형효과를 고려하기 위한 상세 지형자료로 고해상도 지형 자료인 DEM(*Digital Elevation Model) 1km 자료를 사용하였다. 한반도의 강우를 복원하기 위하여 Barnes 기법을 이용하여 불규칙적으로 분포해 있는 강수량 데이터를 규칙적인 자료로 격자화 하였고, 격자화 한 10km 해상도의 자료를 QPM을 통해 복잡한 지형 특성을 고려한 1km 해상도의 강우 자료로 복원하였다. 또한, QPM의 모의 성능을 검증하기 위하여, 위에서 선별한 특정 강우 Case에 대하여 복원한 1km 강우자료와 200m 이내의 거리에서 겹치는 지상관측자료와의 비교를 통하여 모의 성능을 검증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복원된 한반도 상세 강우 자료를 통해 통일을 대비한 기상, 농 수산업, 수자원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 될 수 있으며, 국지적인 폭우 및 가뭄 등의 이상 기상 현상을 분석하는 데 참고 기초 자료로써 활용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