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지속강우특성

Search Result 574, Processing Time 0.038 seconds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Huff's Method for Applying in Korea : II. Improvement of Huff's Method (Huff 강우시간분포방법의 개선방안 연구 : II. Huff 방법의 개선방안)

  • Jang Su-Hyung;Yoon Jae-Young;Yoon Yong-Nam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39 no.9 s.170
    • /
    • pp.779-786
    • /
    • 2006
  • In this study, we propose a new method that utilizes rainfall data in and out of a basin, which is greater than 25.4mm for point rainfall or 12.7mm for areal mean rainfall respectively. From our analysis, most frequent quartile for point and areal mean rainfall were found to be the same in general for various rainfall duration intervals. From an evaluation of design rainfall per each rainfall duration distributed in time by the MOCT(Ministry of Construction and Transportation) version of Huff's method and this study, peak rainfall intensity by this study was found to be greater than the one by MOCT, but there were no consistent increase or decrease of this difference with rainfall durations. Using the distributed design rainfall per each duration by MOCT and this study, corresponding flood inflow hydrographs were simulated and compared each other. Contrary to the case of peak rainfall intensity, difference in peak flow by both methods per each rainfall duration started to increase from about 12-hr duration. Especially, the difference in peak flow was significant when critical rainfall duration was considered, and this trend was similar for peak flows of other rainfall durations. Therefore, the method proposed in this study is thought to be the effective procedure for the construction of dimensionless cumulative rainfall curve that is representative of a basin while considering time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for different rainfall durations.

Consideration of Minimum Safety Factors for Cut-slope Infiltration Analysis (깎기비탈면 침투해석을 위한 최소 안전율 적용성 고찰)

  • Lee, Jeong-Yeob;Rhee, Jong-Hyun;Oak, Young-Suk;Koo, Ho-Bon
    • The Journal of Engineering Geology
    • /
    • v.22 no.4
    • /
    • pp.375-385
    • /
    • 2012
  • Infiltration characteristics of cut-slope safety factors are considered for precipitation duration and intensity. Infiltration characteristics (infiltration module) and safety factor (slope module) changes of a cut-slope are analyzed under various conditions of precipitation intensity and duration, using the Soilworks program. The results indicate that the addition safety factors of the slope decreased immediately after the end of precipitation due to an increase in pore water pressure. The minimum safety factor for cut-slope infiltration analysis should be considered because of the because of the decrement of safety factors after precipitation that exceeds the decrement of safety factor during the duration of precipitation.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River Turbidity by the Rainfall Properties in the Watershed of Highland-agriculture (고랭지유역의 강우특성에 의한 하천탁도 발생에 관한 연구)

  • Choi, Han-Kuy;Kim, Joung-Ouk;Oh, Ki-Ho;Park, Soo-Jin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Hazard Mitigation
    • /
    • v.8 no.3
    • /
    • pp.123-128
    • /
    • 2008
  • This study inquired into changes of turbidity of a river depending on the rainfall characteristics of each month through investigating the water quantity and turbidity of Jawoonchun drainage basin in the upper reaches of Soyangho (lake) for the year of 2005. It could be seen from the study that high turbidity occurred during the period from May to August due to rainfall intensity and rainfall duration. On the other hand, it could be confirmed that turbidity was constantly low after September because of early cleansing effect of rainfall. Next, the influence of controlling factors of turbidity was looked into. For May and June, it was 89% rainfall intensity among the controlling factors, for July and August, it was 67% rainfall intensity and 32% rainfall duration that was confirmed to have influence over the occurrence of turbidity. In addition, regression analysis was carried out about the controlling factors that had influence over the occurrence of turbidity and regression equation was suggested.

Development of Flood Runoff Characteristics Nomograph for Small Catchment Using R-Programming (R-프로그래밍을 이용한 소유역 홍수유출특성 노모그래프 개발)

  • Jang, Cheol Hee;Kim, Hyeon Ju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5.05a
    • /
    • pp.590-590
    • /
    • 2015
  • 본 연구는 집중호우에 의한 홍수예측 및 소유역의 유출거동에 대한 수문학적 민감성(susceptibility) 규명을 목적으로 강우강도, 지속기간 및 토양포화도 변화에 따른 홍수유출특성을 분석하여 유역의 유출거동 민감성을 표출할 수 있는 노모그래프를 개발하였다. 개별 홍수사상에 대한 유출거동 특성 분석을 위하여 한국건설기술연구원의 대표 시험유역인 설마천 유역의 과거 17년간(1996 ~ 2012)의 10분 간격의 강우량 및 유출량 자료를 수집하여 홍수유출해석을 수행하였다. 설마천 시험유역의 일누가강우량 100mm 이상, 50개 홍수사상에 대한 홍수유출해석은 유역 물순환 해석모형인 CAT(Catchment hydrological cycle Assessment Tool)을 이용하였으며 모의결과를 바탕으로 홍수사상별 지체시간, 강우강도, 지속기간 및 토양포화도 변화에 따른 홍수유출특성을 상세히 분석하였다. 이 중에서도 지체시간은 유역반응을 나타내는 시간변수로서 수문모델링 및 홍수량예측에 매우 중요한 요소이다. 특히, 강우량에 대한 홍수량의 반응이 빠른 소유역의 경우에 홍수량예측에 큰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강우강도, 지속기간, 토양포화도의 변화량에 대한 지체시간의 거동을 R 프로그래밍 언어 및 3D Surfer를 이용하여 분석한 후 최종적으로 소유역의 홍수유출 특성을 나타내는 3차원 홍수 유출특성 노모그래프를 개발하였다. 분석에 사용된 R 프로그래밍 언어는 통계 계산과 그래픽을 위한 프로그래밍 언어이자 소프트웨어 환경으로 데이터의 조작 및 수치연산, 시각화를 수행할 수 있는 기능을 여러 패키지를 통해 구현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R을 이용하여 10분 단위의 강우 및 유출량 자료를 1시간 및 1일 자료로 구축하고 17년간의 과거 홍수사상을 분리하여 추출하는 R 홍수유출해석 시스템을 개발하였으며 추출된 홍수사상을 관측 유출량 및 관측 토양수분을 포함하여 시각화함으로써 강우 및 토양수분 변화에 따른 소유역의 유출거동 민감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분석 결과, 지체시간은 강우지속기간 및 토양포화도에 민감한 거동특성을 나타냈으며 토양포화도는 첨두홍수량의 변화에 민감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개발된 3차원 홍수유출특성 노모그래프는 유역의 규모 및 지형물리학적 특성에 따라 다양하게 나타날 것으로 판단되며 여러 계측유역에 적용함으로써 유역별 홍수유출 반응특성을 정량화할 필요가 있다. 즉, 강우강도, 지속기간, 지체시간, 포화도 등의 변화에 따른 유역의 홍수유출 반응특성을 규명함으로써 미계측 유역의 홍수량예측 실무에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PDF

Runoff Characteristics of Non-Point Source Pollutants from the Industrized Area (공업지역의 비점오염원 강우 유출 특성)

  • Kim, Min Ji;Song, Inhong;Park, Chang Eon;Jun, Sang Min;Park, Jihoon;Kim, Da Rae;Kang, Moon Seo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5.05a
    • /
    • pp.415-415
    • /
    • 2015
  • 공업지역의 경우 비점오염원의 유출원단위가 타 토지이용보다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고, 불투수면의 비율이 높아 강우 초기에 오염물질이 다량으로 유출되는 특성을 가지고 있다. 공업지역의 비점오염원 유출 특성을 파악하고 저감 대책을 수립하기 위해서는 강우 유출수에 대한 장기적인 모니터링이 필요하다. 본 연구의 목적은 공업지역을 대상으로 강우 발생에 따른 유출량 및 수질을 조사하여 비점오염원의 배출 특성을 분석하는데 있다. 본 연구의 대상지역은 경기도 성남시 중원구 상대원동의 위치한 공업지역 3지점으로 선정하였다. 비점 유출 조사는 초음파 유량계와 자동채수기를 이용하여 2014년 강우시에 지점별로 7회씩 총 21회를 실시하였다. 유출특성 조사를 위해 집수구역면적, 선행무강우일수, 총강우량, 강우지속시간, 유출지속시간 등의 자료를 수집하여 총유출량과 유출고, 유출률, 강우강도 등을 산정하였다. 강우유출수 샘플링은 국립환경과학원의 '강우 유출수 조사방법'에서 제시한 방법에 따라 실시하였으며, 수질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BOD_5$, $COD_{Mn}$, TOC, SS, TN, TP 총 6가지 항목에 대한 EMC를 산정하고 강우특성과 연계하여 분석하였다. 모니터링 결과 항목별 EMC 평균(범위)은 $BOD_5$ 2.2 (0.8~5.1) mg/L, $COD_{Mn}$ 4.0 (1.2~8.6) mg/L, TOC 5.4 (1.7~15.7) mg/L, SS 20.9 (2.0~88.9) mg/L, TN 2.4 (0.1~5.8) mg/L, TP 0.2 (0.0~0.9) mg/L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공업지역 비점오염 원단위의 정확성을 향상시키는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PDF

Improvement and Supplement of Probability Rainfall in South Korea (한국 확률강우량도 개선 및 보완)

  • Hwang, Seok-Hwan;Ham, Dae-Heon;Lee, Dong-Ryul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2.05a
    • /
    • pp.333-333
    • /
    • 2012
  • 본 연구는 각종 수공구조물의 수문학적 설계기준으로 사용되고 있는 확률강우량을 전국에 걸쳐 산정하고, 그에 따른 확률강우량도를 작성함으로써 이를 토대로 우리나라의 각종 수공구조물 설계시 적합한 계획강우량을 채택할 수 있도록 하고자한다. 현재 일반적으로 제방, 하천횡단구조물 등 하천시설물과 도로의 암거 및 측구, 하수도 등 소형구조물 설계시 한국확률강우량도(건설교통부, 2000)를 활용하고 있다. 최근 기후변화로 인한 집중호우가 빈발함에 따라 증가된 홍수량을 감안하지 않고 기존 확률강우량도 만을 활용하는 경우 과소 설계의 우려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수집된 강우자료를 이용하여 자료 년에 따른 지속기간별 시계열 자료를 구축한 후, 분석 검토된 강우자료를 바탕으로 확률강우량 산정 지점을 결정하고, 이에 포함된 지점에 대하여 지속기간별 자료연한에 따른 임의시간 시계열 자료를 구축하였다. 수집된 임의시간 강우량 자료를 강우지속기간별로 연최대치 계열을 작성하여 강우량 자료를 검정하고, 지점별로 조사 정리된 사상별 강우자료의 통계적인 특성치를 분석하여 자료의 일관성과 지점간의 동질성 등을 검토하였다. 자료특성에 따라서 빈도 해석을 위한 최적확률분포형을 결정한 후, 지점별 강우지속기간별로 확률강우량을 산정하여 기존의 확률강우량도를 개선 및 보완하였다.

  • PDF

Runoff analysis for the Towangseong Falls at Seorak Mountain (설악산 토왕성 폭포의 유출 분석 - 설악산 토왕성 폭포의 물줄기는 비온 뒤 며칠을 볼 수 있을까? -)

  • Kim, Hyeonjun;Kim, Deokhwan;Jang, Cheolhee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9.05a
    • /
    • pp.36-36
    • /
    • 2019
  • 강원도 설악산 국립공원에는 국내 최장의 토왕성 폭포가 있다. 유역면적이 $0.54km^2$에 불과하여 평소에는 폭포의 물줄기를 볼 수 없지만, 비 온 뒤에는 며칠간 하얀 물줄기의 장관을 연출한다. 본 연구에서는 물리적 기반의 수문모형인 CAT3.0을 이용하여 강우시 토왕성 폭포의 유출량을 분석하고 강우량에 따른 유출지속기간을 산정하여 강우의 누적량 및 지속기간에 따른 폭포의 물줄기를 볼 수 있는 기간을 추정하고자 하였다. CAT 3.0은 다양한 침투방정식중에 Rainfall Excess, Horton Eq., Green-Ampt. Eq.을 이용하여 강우시 토양특성(토양깊이, 투수계수)과 잠재증발산량과 토양수분량에 의한 실제증발산량을 산정하고 유출량을 계산하는 수문모형이다. 토왕성 폭포의 유출 특성을 분석하기 위하여 속초지점의 19년간(2010~2018) 관측자료를 이용하였으며, 토양의 깊이는 10 cm, 30 cm를 가정하여 비교하였다. 유출해석을 위하여 일단위 자료를 사용하였으며, 강우지속일수 및 누가강우량에 따른 유출을 산정하고 폭포의 물줄기가 확연히 보일 수 있는 한계유출량을 추정하였다. 폭포로부터의 유출량을 측정하는 관측지점이 없으므로, 폭포의 물줄기를 볼 수 있는 기간은 방송사 뉴스, 신문기사, SNS 등의 다양한 정보원으로부터 유추해석하였다. 이러한 분석결과로부터 강우에 의한 토왕성 폭포의 물줄기를 볼 수 있는 기간을 제시하였다.

  • PDF

A Experimental Study on the Variation of the Pore-water Pressure in the Soil Slope during the Rainfall (강우시 토사사면내의 간극수압변화에 관한 실험적 고찰)

  • Jeung, Eujung;Kim, Hongtaek;Jang, Hyunik;Kim, Kyungsuk;Kang, Inkyu
    • Journal of the Korean GEO-environmental Society
    • /
    • v.9 no.1
    • /
    • pp.33-40
    • /
    • 2008
  • In this research, model tests have been performed for researching the seepage characteristics in the finite soil slope during the rainfall using a manufactured rainfall simulator. On the basis of the results, it has been analyzed how to change the seepage characteristics due to the duration time of rainfall. We are found that the pore-water pressure was gradually increased as increasing the duration time of rainfall. Specially, at the beginning of rainfall, the pore-water pressure in the middle surface of slope was measured larger than any point. As increasing the duration time of rainfall, the pore-water pressure at the inner part of slope was increased greatly at the collapse due to infiltrating the pore-water within the slope. In the research, it was not easy to get various test results because measuring instruments are high sensitivity and difficult to handle. For the future, the model test results are needed for the various slope angle.

  • PDF

Analysis of Flood Risk Area with Consideration of Heavy Rainfall Scenario and Uncertainty (극한강우 시나리오와 불확실도를 고려한 침수위험지역 분석)

  • Kim, Hyun Il;Han, Kun Yeun;Keum, Ho Jun;Lee, Jae Young;Kim, Beom Ji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9.05a
    • /
    • pp.33-33
    • /
    • 2019
  • 최근 반복적인 도시침수 피해가 발생하고 있으나 다양한 강우 및 홍수 자료를 이용하여 실시간으로 침수분석을 실시할 수 있는 기술력이 부재한 실정이다. 한정된 시나리오에 따라 다양한 강우패턴에 의한 침수지역 파악에 어려움이 있으며, 불필요한 자료의 사용으로 인해 짧은 시간에 발생하는 도시침수에 대해 실시간으로 대응하는 데에 한계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강우패턴과 극치강우 사상을 반영하기 위한 강우시간 분포법을 나타내고자 하였으며, 강우-유출 자료에 대한 최적의 자료조합을 선정하는 정량적 기준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지역 특성에 따른 극치강우사상의 시간분포에 대한 연구가 다양하게 진행되어 왔지만, 기존의 강우시간분포는 다양한 강우의 집중현상을 나타내기에는 한계가 있음을 보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기존 강우시간분포 기법의 단점을 보완하고 극치강우사상의 집중지속시간 특성을 반영한 강우시간분포 방법과 Huff에 의한 강우시간 분포법을 사용하여 다양한 강우시나리오를 생성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부산 및 울산 연구대상지역의 도시유출해석의 입력 자료로서 사용하였다. 강우 및 유출 자료의 상관성 분석과 불확실도 분석을 기반으로 추후 홍수예측을 위한 최적의 입력 자료를 선정하고자 하였다. 위의 과정들을 통해 다양한 강우조건에 따른 연구대상 지역에서의 침수예상도를 분석할 수 있었으며, 선정된 극치강우사상을 통해 다양한 강우의 집중현상을 나타낼 수 있었다. 1차원 도시유출해석을 실시하여 구축한 강우-유출 데이터베이스의 최적화를 위해 불확실도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수리학적 특성이 고려된 입력 및 출력자료에 대한 사용자의 합리적인 판단을 위해 정량적 기준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더욱이 제시된 방법론을 이용함에 따라 지속적으로 나타나는 국지성 호우와 급변하는 수재해 양상에 능동적으로 대처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공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Analysis of Rainfall Pattern Change According to Urbanization (도시화에 따른 강우특성 변화 분석)

  • Oh, Tae-Suk;Moon, Young-Il;Son, Chan-Young;Chun, Si-You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0.05a
    • /
    • pp.1327-1331
    • /
    • 2010
  • 최근 50년간 한반도는 산업화와 근대화로 인하여 급격한 도시화가 진행되었다. 도시화는 자연적으로 조성된 생태환경을 변화시키고, 열섬현상과 고층빌딩 등으로 인해 대기의 이동과 특성의 변화를 야기시키게 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의 과거부터 인구자료와 시가화면적비 자료를 이용하여 도시화가 많이 진행된 지역과 비도시화 지역으로 구분하여 발생된 강우특성자료에 대한 비교분석을 수행하였다. 따라서 우리나라의 관측자료가 존재하는 57개 지점을 대상으로 위도, 경도, 연강우량, 연최대일강우량, 강우일수, 10mm 이상의 강우일수 및 80mm 이상의 강우일수를 이용하여 군집분석을 수행하였다. 군집분석을 통해 우리나라를 크게 4개 권역으로 구분하고, 강우자료의 관측기간을 이등분하여 전후를 비교하였다. 분석 결과에서 도시화가 진행된 지역이 비도시화 지역에 비하여 강우사상의 변화가 연강우량과 강우일수, 80mm 이상 강우일수에서 나타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도시화가 강우특성 변화에 끼치는 영향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