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지상기상자료

Search Result 334, Processing Time 0.027 seconds

Calculation of Soil Moisture and Evapotranspiration of KLDAS applying Ground-Observed Meteorological Data (지상관측 기상자료를 적용한 KLDAS(Korea Land Data Assimilation System)의 토양수분·증발산량 산출)

  • Park, Gwangha;Kye, Changwoo;Lee, Kyungtae;Yu, Wansik;Hwang, Eui-ho;Kang, Dohyuk
    • Korean Journal of Remote Sensing
    • /
    • v.37 no.6_1
    • /
    • pp.1611-1623
    • /
    • 2021
  • Thisstudy demonstratessoil moisture and evapotranspiration performance using Korea Land Data Assimilation System (KLDAS) under Korea Land Information System (KLIS). Spin-up was repeated 8 times in 2018. In addition, low-resolution and high-resolution meteorological data were generated using meteorological data observed by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KMA),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RDA), Korea Rural Community Corporation (KRC), Korea Hydro & Nuclear Power Co.,Ltd. (KHNP), Korea Water Resources Corporation (K-water), and Ministry of Environment (ME), and applied to KLDAS. And, to confirm the degree of accuracy improvement of Korea Low spatial resolution (hereafter, K-Low; 0.125°) and Korea High spatial resolution (hereafter, K-High; 0.01°), soil moisture and evapotranspiration to which Modern-Era Retrospective analysis for Research and Applications, version 2 (MERRA-2) and ASOS-Spatial (ASOS-S) used in the previous study were applied were evaluated together. As a result, optimization of the initial boundary condition requires 2 time (58 point), 3 time (6 point), and 6 time (3 point) spin-up for soil moisture. In the case of evapotranspiration, 1 time (58 point) and 2 time (58 point) spin-ups are required. In the case of soil moisture to which MERRA-2, ASOS-S, K-Low, and K-High were applied, the mean of R2 were 0.615, 0.601, 0.594, and 0.664, respectively, and in the case of evapotranspiration, the mean of R2 were 0.531, 0.495, 0.656, and 0.677, respectively, indicating the accuracy of K-High was rated as the highest. The accuracy of KLDAS can be improved by securing a large number of ground observation data through the results of this study and generating high-resolution grid-type meteorological data. However, if the meteorological condition at each point is not sufficiently taken into account when converting the point data into a grid, the accuracy is rather lowered. For a further study, it is expected that higher quality data can be produced by generating and applying grid-type meteorological data using the parameter setting of IDW or other interpolation techniques.

Analysis of Runoff Characteristics in the Youngdong Region Using a Distributed Hydrologic Model - I : Case study on O-sip cheon Basin in Samcheok - (분포형 모형을 이용한 영동지방의 유출특성 분석 - I : 삼척오십천 유역을 대상으로 -)

  • Noh, Hui-Seong;Jeung, Se-Jin;Lim, Joo-Ho;Choi, Jong-In;Kim, Byung-Si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2.05a
    • /
    • pp.943-943
    • /
    • 2012
  • 태백산맥의 중심부인 중앙산맥을 경계로 하여 동쪽에 위치하고 있는 영동지방은 서쪽으로 태백산맥이, 동쪽으로는 동해바다와 바로 인접해 있는 지리적인 특성으로 인해 지역적 특성이 매우 강하며, 이에 따라 국지적 기상현상이 계절적 변화와 함께 빈번히 발생하는 지역이다. 2002년 태풍 루사가 영동지방을 강타했을 때 영동지방의 대표도시인 강릉지방에서는 기록적인 폭우(일최다 강수량 870.5mm)가 내렸으며, 그 다음해인 2003년 매미 뿐 아니라 최근발생하고 있는 국지적인 호우로 인한 영동지방의 피해가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도 수문학적 관점에서의 홍수유출 및 강우특성에 대한 분석 및 연구가 거의 전무한 실정이다. 이것은 대상지역인 영동지방 특히 삼척오십천 유역내의 강우 및 수위 관측소가 간헐적으로 분포되어 있으며, 강우 및 수위(유량)자료의 확보가 용이하지 않기 때문으로 사료된다. 본 연구에서는 동해 강릉 기상레이더(2010.5 동해기상레이더 교체 이전)의 레이더강우자료와 지상강우 및 수위(유량)자료를 활용하고, 집중형 모형에 비해 더 정확한 강우-유출 현상 모의가 가능한 것으로 분석되고 있는 분포형 모형(Vflo$^{TM}$)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먼저 영동지역 중 첫번째로 삼척오십천유역에 대한 유출분석을 하였으며, 과거 큰 홍수피해를 준 태풍 루사 매미 및 최근의 호우사상을 대상으로 하였다. 본 논문에서 연구된 삼척오십천유역에 대한 유출특성 분석을 시작으로, 양양남대천 강릉남대천에 대한 유출특성에 대한 연구를 추가로 수행된다면, 영동지방의 국지적 기상현상(집중호우 및 태풍)으로 인한 홍수피해를 최소화 할 수 있는 방재측면에서의 홍수대응방안을 마련하는데 본 연구내용을 충분히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 PDF

Analysis of Available Time of Cloud Seeding in South Korea Using Radar and Rain Gauge Data During 2017-2022 (2017-2022년 남한지역 레이더 및 지상 강수 자료를 이용한 인공강우 항공 실험 가능시간 분석)

  • Yonghun Ro;Ki-Ho Chang;Yun-kyu Lim;Woonseon Jung;Jinwon Kim;Yong Hee Lee
    • Journal of Environmental Science International
    • /
    • v.33 no.1
    • /
    • pp.43-57
    • /
    • 2024
  • The possible experimental time for cloud seeding was analyzed in South Korea. Rain gauge and radar precipitation data collected from September 2017 to August 2022 in from the three main target stations of cloud seeding experimentation (Daegwallyeong, Seoul, and Boryeong) were analyzed. In this study, the assumption that rainfall and cloud enhancement originating from the atmospheric updraft is a necessary condition for the cloud seeding experiment was applied. First, monthly and seasonal means of the precipitation duration and frequency were analyzed and cloud seeding experiments performed in the past were also reanalyzed. Results of analysis indicated that the experiments were possible during a monthly average of 7,025 minutes (117 times) in Daegwallyeong, 4,849 minutes (81 times) in Seoul, and 5,558 minutes (93 times) in Boryeong, if experimental limitations such as the insufficient availability of aircraft is not considered. The seasonal average results showed that the possible experimental time is the highest in summer at all three stations, which seems to be owing to the highest precipitable water in this period. Using the radar-converted precipitation data, the cloud seeding experiments were shown to be possible for 970-1,406 hours (11-16%) per year in these three regions in South Korea. This long possible experimental time suggests that longer duration, more than the previous period of 1 hour, cloud seeding experiments are available, and can contribute to achieving a large accumulated amount of enhanced rainfall.

A Study on Detection of Wind Shear Using Ground-based Observations at Incheon International Airport (지상관측자료를 활용한 인천국제공항 급변풍 탐지 연구 )

  • Geun-Hoi Kim;Min-seong Kim;Hee-Wook Choi;Sang-Sam Lee;Yong Hee Lee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Aviation and Aeronautics
    • /
    • v.32 no.3
    • /
    • pp.69-78
    • /
    • 2024
  • This study evaluates the detection and utilization of wind shear using data from the Low-Level Wind Shear Alert System (LLWAS) and the Aerodrome Meteorological Observation System (AMOS) for the year 2023 at Incheon International Airport. A comparison of wind shear occurrence days revealed that LLWAS recorded 57 days, the reproduced LLWAS recorded 84 days, and AMOS recorded 163 days, with AMOS and the reproduced LLWAS showing higher occurrences. Performance metrics, including Probability of Detection (POD), False Alarm Ratio (FAR), Critical Success Index (CSI), and True Skill Statistic (TSS), were analyzed to evaluate detection capabilities. For the reproduced LLWAS, most wind shear events were detected, but the FAR was high, indicating lower performance. AMOS detected about 50% of actual wind shear events, with a lower FAR than the reproduced LLWAS but still relatively high. To improve detection performance, optimal thresholds for wind shear warnings were analyzed and adjusted, resulting in an increase in the CSI from 0.53 to 0.68 for the reproduced LLWAS and from 0.25 to 0.28 for AMOS. By adjusting the wind shear warning thresholds, the balance between POD and FAR was improved, confirming the potential for ground-based equipment to issue wind shear warnings effectively.

Extraction of Snowmelt Parameters using NOAA AVHRR and GIS Technique for 5 River Basins in South Korea (NOAA AVHRR 영상 및 GIS 기법을 이용한 국내 5대강 유역의 융설 매개변수 추출)

  • Shin, Hyung-Jin;Park, Geun-Ae;Kim, Seong-Joon
    • Proceedings of the KSRS Conference
    • /
    • 2007.03a
    • /
    • pp.76-81
    • /
    • 2007
  • 융설 모형의 중요 매개변수인 적설분포면적은 실제 우리나라에서 적설과 관련한 관측 자료의 부족으로 인해 매개변수 추정이 어렵다. 이러한 문제점 해결을 위해 원격탐사기법을 활용하여 적설분포면적을 추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1997년 부터 2006년 까지의 겨울철 NOAA (National Oceanic and Atmospheric Administration)의 AVHRR(Advanced Very High Resolution Radiometer) 위성영상의 8 sets의 총 108개 영상을 이용하여 적설분포면적을 추출하였고,기상청의 지상기상관측소의 최섬적설심 자료를 이용하여 GIS 자료를 구축함으로써 적설심의 공간적 분포를 추출하였다. 이를 국내 5대유역인 한강,낙동강,금강,영산강,섬진강 유역에 대하여 융설모형의 주요 매개변수인 적설분포면적,유역 평균, 최대 적설심과 적설분포감소비곡선을 구축하였다. 그 중 적설분포면적감소곡선 (SDC : Snow cover Depletion Curve)는 적설분포면적의 감소형태를 나타내 주는 지표로써 융설의 가장 민감한 매개변수이다. 이를 국내 5대 강 유역에 대해 구축하여 정량화 하였다.

  • PDF

ADS-B based Wake Vortex Separation (ADS-B 기반 항공기 후류분리)

  • Kim, Jeong-Sik;Im, Dong-Heon
    • 한국항공운항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5.11a
    • /
    • pp.63-67
    • /
    • 2015
  • 항공기는 공중에서 양력을 발생시키는 과정에서 wake vortex를 생성하며, 항공기 중량과 항공기 주위의 기상(특히 바람 vector)에 따라 wake vortex의 크기와 그 소산속도가 결정된다. 이러한 Raw data 정보는 항공기에 장착된 FMS와 Sensor를 통해 수집될 수 있으며, 이를 ADS-B를 이용하여 지상관제기관과 주변항공기에 전파하면, 실시간으로 매우 정확한 후류크기와 영향범위를 확인할 수 있고, 이로써 보다 안전하고 효율적인 항공기 후류분리가 가능할 것으로 볼 수 있다. 본 자료는, 이러한 맥락에서 ICAO(ASBU)의 후류분리기준 축소를 통한 활주로사용증진 동향과, RTCA DO-260B의 부록(V) "Potential wake vortex and Arrival management ADS-B Application" 요지를 소개한다.

  • PDF

Analysis of the Hydrological Components of the Chatancheon Catchment for the Year 2021 (2021년 차탄천 유역의 수문성분 분석)

  • Kim, Dong Phil;Chung, Il Mo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2.05a
    • /
    • pp.408-408
    • /
    • 2022
  • 환경부 홍수통제소의 경우는 전국단위의 강수량(지상, 레이더), 하천수위, 유사량 관측과 국부적으로 증발산량과 토양수분 관측이 이루어지고 있는 상황이며, 기상청 및 다른 공공기관도 각 목적에 맞게 수문기상관측이 이루어지나 유역(또는 지역) 단위의 물순환 과정(강우량, 유출량, 증발산량, 지하수함양량, 토양수분량 등 포함)을 규명하는 조사·연구는 매우 미비한 실정이다. 개별적인 물순환 성분별 수문조사에서 벗어난 전체적인 관점을 고려한 유역단위의 물순환 과정을 규명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즉 물순환 성분별 명확한 수문량 산정 결과는 수자원 개발과 물환경 보전에 중요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물순환 성분별 명확한 분석을 위해서는 중·소규모 유역 단위를 대상으로 지속적이고 신뢰성 있는 자료의 획득과 축적이 중요하므로 중·소규모 유역 단위의 대표성 있는 시험유역의 운영은 매우 의미가 있다고 볼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한국건설기술연구원에서 운영하는 차탄천 유역(보막교 수위관측소 기준, 유역면적 88.17km2, 유로연장 18.69km, 유로경사 1.62%, 경기도 연천군 소재)의 2021년 수문관측자료를 이용하여 지표수 물순환 성분인 강우량, 하천유출량, 증발산량의 자료를 산정하였다. 기본 관측자료인 강우량은 각 지점강우량의 관측자료의 비교·검토 등 품질관리를 통해 자료를 확정하고 유역평균강우량을 산정하였다. 하천수위는 기준수위표와의 검토를 통해 자료를 확정하였으며, 하천유출량은 기존 유량측정성과와 단면검토를 통해 수위-유량관계곡선식을 개발하고, 확정된 수위자료를 적용하여 산정하였다. 그리고 증발산량은 유역내의 기상관측자료와 유역인근 3개 관측소(동두천, 파주, 철원)의 기상자료를 이용하여 잠재증발산량을 산정하여 추정한 값이다. 각 물순환 성분별로 생성된 2021년의 차탄천 유역(보막교 수위관측소 기준)의 총강우량은 1,149.8mm이며, 하천유출량은 701.2mm(총강우량 대비 61.0%), 실제증발산량(잠재증발산량 추정값)은 381.3mm(33.2%)이며, 그 외는 유역 손실량이다. 이와 같이 산정된 물순환 성분별 자료는 유역의 물순환 과정 규명을 위한 기초자료로 매우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으며, 유역 물관리를 위한 의사결정 과정에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Evaluation of Utilization of Satellite Remote Sensing Data for Drought Monitoring (가뭄 모니터링을 위한 인공위성 원격탐사자료의 활용 가능성 평가)

  • Won, Jeongeun;Son, Youn-Suk;Lee, Sangho;Kang, Limseok;Kim, Sangdan
    • Korean Journal of Remote Sensing
    • /
    • v.37 no.6_2
    • /
    • pp.1803-1818
    • /
    • 2021
  • As the frequency of drought increases due to climate change, it is very important to have a monitoring system that can accurately determine the situation of widespread drought. However, while ground-based meteorological data has limitations in identifying all the complex droughts in Korea, satellite remote sensing data can be effectively used to identify the spatial characteristics of drought in a wide range of regions and to detect drought. This study attempted to analyze the possibility of using remote sensing data for drought identification in South Korea. In order to monitor various aspects of drought, remote sensing and ground observation data of precipitation and potential evapotranspiration, which are major variables affecting drought, were collected. The evaluation of the applicability of remote sensing data was conducted focusing on the comparison with the observation data. First, to evaluate the applicability and accuracy of remote sensing data, the correlations with observation data were analyzed, and drought indices of various aspects were calculated using precipitation and potential evapotranspiration for meteorological drought monitoring. Then, to evaluate the drought monitoring ability of remote sensing data, the drought reproducibility of the past was confirmed using the drought index. Finally, a high-resolution drought map using remote sensing data was prepared to evaluate the possibility of using remote sensing data for actual drought in South Korea. Through the application of remote sensing data, it was judged that it would be possible to identify and understand various drought conditions occurring in all regions of South Korea, including unmeasured watersheds in the future.

Assessment of Characteristics of Regional Climate Change : Urban Effect or Environmental Change (도시화 등 환경변화에 따른 지역기후변화 특성 분석)

  • Kim, Gwang-Seob;Yim, Tae-Kyu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5.05b
    • /
    • pp.912-915
    • /
    • 2005
  • 본 연구에서는 현재 이용 가능한 지상관측자료와 이차원 원격관측자료를 이용하여 장기간의 지역기후변화 특성을 분석하였다. 기상자료로는 강수량, 기온, 습도, 대형$\cdot$소형 팬 증발량 등을 월별, 연별로 분석하였고 이차원 원격관측자료로 정규식생지수를 사용하여 전통적 도시화지역, 산업화로 급격하게 도시화가 된 지역, 비도시지역으로 나누어 경향성분석을 실시하였다. 강수량과 기온은 관측전지점에서 증가추세를 보였고 도시화된 지역이 비도시지역보다 그 변화 추이가 강함을 볼수 있었다. 정규식생지수분석결과 도시화의 영향을 더 뚜렷이 관측할수 있었는데 도시지역은 정규식생지수값이 감소추세를 나타내는 반면 비도시지역인 소양강$\cdot$안동댐은 증가추세를 나타내었다.

  • PDF

Development of Radar Tracking Technique for the Short -Term Rainfall Field Forecasting- (초단기 강우예측을 위한 기상레이더 강우장 추적기법 개발)

  • Kim, Tae-Jeong;Lee, Dong-Ryul;Kwon, Hyun-Han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48 no.12
    • /
    • pp.995-1009
    • /
    • 2015
  • Weather radar rainfall data has been recognized for making valuable contributions to short-term flood forecasting and management over the past decades. There are several advantages to better monitoring rainfall in ungauged area compared to ground-based rain gauges with which spatial patterns of the rainfall are not effectively identified. Hence, this study aims to develop a new scheme to forecast spatio-temporal rainfall field. The proposed model was based on an advection scheme to track wind patterns and velocity. The results showd a promising forecasting skill with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measures. It was confirmed that the forecasted rainfall may be effectively used an input data for a distributed hydrological mode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