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지리 학습

검색결과 250건 처리시간 0.028초

The Contents Construction for Learning a Region (지성에 대한 학습 내용 구성에 관한 연구)

  • 윤옥경
    • Journal of the Korean Geographical Society
    • /
    • 제39권1호
    • /
    • pp.153-168
    • /
    • 2004
  • This study begins with the interests of the problems in learning a region under the Korean National Curriculum in geography field and the perceptions on the region which affects students 'formation of regional concept.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find problems in learning a region and to construct a new content for learning a region to improve the current problems. This study suggests that it is necessary for student to establish a clear concept on a region in order to effectively learn a region. Therefore, this study reviews how concepts on a region have changed and selects important elements in learning a region by considering a level of students' understanding. The important elements selected in this study are the definition of a region, the formation of a region, and the system of a region. By learning a real region established as a 'region for instruction' of a medium scale, students can reach an appropriate level of meaningful understanding of a region. This study found that an appropriate selection of scale in choosing the extent of a region was critical in success of effective organization of learning contents.

Korea-Related Discourse Analysis of High-School Geography Textbooks in Japan (일본 고등학교 지리교과서에 나타난 한국 관련 담론 분석)

  • Cho, Chul-Ki
    • Journal of the Korean Geographical Society
    • /
    • 제43권4호
    • /
    • pp.655-679
    • /
    • 2008
  •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base of selection and feature of description on Korea-related content in Japanese curriculum(geography and history) and high-school geography textbooks. Japanese curriculum requires that there are two or three neighbor countries to be selected and their contents consist of life and culture and have to compare with those of japan in view of understanding and respect on similarity and difference. The content of physical environment is only dealt as factors influencing on life and culture because regional teaming of neighbor countries focus on it. Dok-do is described with conflict region in most of textbooks. But some textbooks describe Dok-do with territory of Shimane-Hyun in Japan or devide like japanese territory on the map. There are described han-gul(Korean language), confucianism, buddhism and christianity, han-bok(Korean clothes), rice and soup, bulgogi(Korean meat dishes) and scissors, spoon and chopsticks, ondol(Korean floor heater), etc. with the cases of specific Korean life and culture. And, exchange between Korea and Japan focuses on more cultural view increasing recently than political and economical view. Then Japanese high-school geography textbooks humanize geography because of they focus on life and culture and promote not only knowledge and understanding but also altruism and empathy because they focus on similarity and difference through comparison between neighbor country and Japan. This shows how to able to practice regional teaming in globalization and multicultural society.

The Current Status of Geography Education Research in Korea (한국의 지리교육 연구)

  • Seo, Tae-Yeol;Kim, Min-Sung
    • Journal of the Korean Geographical Society
    • /
    • 제47권4호
    • /
    • pp.625-640
    • /
    • 2012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troduce the current status of geography education research in South Korea. This article consists of mainly two parts: 1) source of knowledge and 2) content of knowledge in geography education research. The main academic journals are introduced as the sources of knowledge. The research trends in these journals are discussed as the content of knowledge. We classified geography education research into three types based on the framework suggested by Bednarz (2000): 1) nature of geographic knowledge, learning, and curriculum, 2) teacher education in geography, and 3) strategies in the geography classroom. Relevant research regarding each category is introduced. We hope this study serves as an access point where geography educators in South Korea and other countries facilitate interactions with each other.

  • PDF

The Organization and Coherence of the Geography Experimental Textbooks in Chinese Senior Secondary Schools (중국의 고급중학교 지리교과서 내용체계와 정합성)

  • Kang, Chang-Sook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regional geographers
    • /
    • 제19권1호
    • /
    • pp.181-200
    • /
    • 2013
  • The Chinese Geography Standards for Senior Secondary Schools(trial) was released in 2003. The Standards put forward some changes for senior geography education, the changes in geographical education are reflected explicitly and implicitly by the textbooks. The purpose of this descriptive study was to review of the improvement of Chinese senior geography education by analyzing contents organization and coherence of the new standards-based geography experimental textbooks. The results of study are as follows. The textbooks adopts a student-centered approach through the way of 'more chapter topics with slimmed contents' and by introducing four type activities, geographical inquiries. These student activities are implicity encourages students' active acquisition of geographical knowledge what they have learned in their real lives. The organic coherence of the textbooks' contents rests on the compulsory and the elective subject relating to diversification of the learning areas. The organic coherence between the compulsory and the elective subject rests on diversification of the learning areas. More, looking at the arrangement of the four basic concepts(population, resource, environment, sustainable development) among the textbooks, it was imbalanced by subject.

  • PDF

전북 남원 일대의 야외지질 학습자료 개발

  • Jo, Gyu-Seong;Jeong, Deok-Ho;Park, Gyeong-Jin;Jang, Hyeon-Geun
    • 한국지구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구과학회 2010년도 춘계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66-66
    • /
    • 2010
  • 야외지질학습은 교실에서 경험할 수 없는 물질과 현상을 관찰하고 직접 경험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받을 수 있어서 매우 중요하다(Orion 1989). 또한 체험활동으로서 교실에서 학습한 내용의 구체적인 예를 제공하여 교육과정을 촉진시키는데 중요한 요소로 인식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야외 활동은 교실 활동보다 학생들의 경험과 훨씬 더 밀접히 관련되어 있기 때문에 보다 의미가 있을 수 있다. 야외실습 중에서 얻은 경험은 학생들이 그가 관찰한 것에 대해 읽도록 동기화시키고, 교과서와 자연조건에서의 실제적 경험 사이의 차이를 연결해 주는 다리를 제공해 줄 수 있다(홍정수, 장남기, 1997). 야외학습을 위한 적절한 장소는 먼저 학습주제나 목표와 부합되는 곳이어야 하며, 지리적으로 가깝고 안전한 곳이어야 한다(김찬종, 2008). 그렇기 때문에 각 지역별로 학습주제와 부합된 지역을 선정하여 야외지질 학습자료를 개발하는 것은 무엇보다 중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전북 남원 일대를 중심으로 한 야외지질 학습자료를 개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전북 남원지역은 한반도의 중요지괴에 해당하는 영남육괴 지리산지구에 해당하며 편마암 복합체를 기저로 이를 관입하는 수 차례의 화성활동과 지구조운동으로 복잡한 지질양상을 보인다. 또한 지리산 지역은 평안분지와 경상분지의 일부가 보존되어 있고 지질시대를 달리하는 각종 화성암류가 골고루 분포하여 각 지질시대별로 화성활동과 지구조 운동이 활발했음을 시사해준다. 본 연구에서는 남원 지역의 지질학적 특징을 관찰하기 용이한 지역을 대상으로 총 5곳을 선정하였다. 남원 시내에 소재한 춘향대교 아래 지역은 중생대 쥐라기에 관입한 저반상의 남원화강암과 페그마타이트가 다수 분포하는 곳이다. 이 지역에서는 무수히 많은 관입암체를 찾을 수 있는데 다수의 지진과 지각변동이 있었음을 알 수 있다. 두 번째 장소는 다양한 바위들을 관찰할 수 있는 구룡계곡 일대이다. 이 장소는 오랜기간 동안 물의 흐름에 의해 풍화와 침식을 받은 다양한 크기의 바위를 관찰하고 구별함으로써 풍화에 따른 원마도의 관계, 바위들의 배치 형태를 통해 고지형 및 고수류의 방향을 유추해 볼 수 있다. 남원에서 장수 방향에 위치한 만행산 주변에는 흑운모편마암에 우세한데, 이 지역에서는 흑운모편마암에 나타나는 변성구조로 볼 때 높은 열과 압력을 받은 광역변성작용을 받는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관입암체 내에 다양한 맥들이 관입을 해와 이를 통해 관입암체들의 상대연령을 판단해보는 학습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네 번째 장소는 남원시 인월면 인풍리 소재의 인월 피바위 지역이다. 이 지역에서는 압쇄상 화강암이 주로 관찰되는데 이는 기원암인 반상화강암이 동력변성작용을 받아 생성된 것이다. 다섯 번째 지역은 지리산 내의 뱀사골로 지리산 인근에 분포하는 대표적인 편마암인 반상변정질 편마암을 관찰할 수 있다. 변정이란 변성작용을 받는 동안 형성되는 것으로 변성작용을 받는 동안 생긴 것도 있으나 경우에 따라 생성당시 원래 모암속에 포함되어 있는 반정들도 있다.

  • PDF

ICT를 활용한 프로젝트 학습의 실제와 그 효과 -중학교 "사회 1"교과서 지리영역을 사례로-

  • 김희선;손명철
    • Proceedings of the KGS Conference
    • /
    • 대한지리학회 2002년도 추계학술대회 요약집
    • /
    • pp.146-148
    • /
    • 2002
  • 21세기는 지식과 정보량이 폭증하여 방대한 정보를 신속하고도 체계적으로 전달할 수 있는 정보통신 기술의 중요성이 그 어느 때보다 강조되는 지식정보화 시대이다. 지식정보화 사회는 무엇보다 컴퓨터와 정보통신기술(ICT: Information & Communication Technology)이 주도하는 사회로서 정보와 지식의 생산과 소멸이 급속하게 이루어지기 때문에, 이러한 변화에 적극적으로 대처하기 위해서는 자신에게 유용한 정보를 찾아내고 분석하여 활용하는 능력이 필요하다.(중략)

  • PDF

A New Integrative Approach to Geography Education in the Social Studies Subject - with respect to Replacement of Geographical Contents in the Elementary-leveled Learning - (지리 교과의 통합교육적 접근방안 - 초등 사회과 학습 내용 조직을 중심으로 -)

  • Kang, Kyoung-Won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regional geographers
    • /
    • 제7권1호
    • /
    • pp.51-66
    • /
    • 2001
  • The curriculum of integrated social studies is not conceptually established, but various forms pursuing so-called perfect integrated subject have appeared from elementary school to high school. But we cannot find out desirable integration in the elementary school though the apparent goal is to integrate all kinds of social concepts into one unit. The current method of integration has some problems over advantages people initially expected by integration. It is problematic in that students learn fragmental knowledges of geography without capturing the whole geographical concept structure or obtaining their own geographical viewpoint. Therefore, we purpose to reinterpret integration of social studies and reorganize the current textbook into the right direction under the assumption that simple mixture of knowledges is far from our goal of true integration. For this purpose, we suggest a new method for social studies as an integrated subject. Instead of providing knowledges unrelated to each other into one bundle, it helps students to see the real world in his own knowledge framework equipped with geographical viewpoint. The text we claim will show students that geography consists of three key concepts: physical environment, man and environment, and spatial structure. With this text, they will have an easy access to the relationships between key concepts and details, and between geographical concepts and similar concepts from other disciplines. The proposal contributes to both upcoming textbook development and classroom teaching by eliminating problems in the current social studies teaching.

  • PDF

Teaching World Geography Using Travelog To Reinforce Affective Domain (세계지리 수업에서 여행기를 활용한 정의적 영역의 보완)

  • Son, Myong Cheol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regional geographers
    • /
    • 제22권3호
    • /
    • pp.730-744
    • /
    • 2016
  • This study aims to seek for solution to reinforce affective domain in World Geography instruction using travelog. The result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World Geography textbooks are given too much emphasis on cognitive domain. This overevaluation is due to the fact that official World Geography curriculum is concentrated in cognitive domain. Second, Travelogs can be effectively used for reinforcing affective domain in World Geography education. They can reinforce the various attitudes and values that students need. I hope that this study could activate discussion on affective domain and graphic skills in geography education.

  • PDF

An Action Research for the practical construction of the constuctivist geographic education II (구성주의 지리교육의 실천적 구성을 위한 현장 연구 II)

  • 송언근
    • Journal of the Korean Geographical Society
    • /
    • 제36권2호
    • /
    • pp.141-160
    • /
    • 2001
  • 본 논문은 지리교육의 통합을 위한 논리적 토대와 준거틀을 구축하고, 이를 토대로 통합의 구성원리 제시를 목적으로 하고 있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새로운 지리교육이 삶과 삶의 터전을 위한 것이라면, 지리교육은 삶의 통합적인 모습을 해석하고, 이해하는 쪽으로 가야 한다. 2) 지리교육과정의 통합은 지역을 중심으로, 그 속의 지리적 현상을 주제로 간학문적.초학문적 통합의 장점이 조화된 통합 방식이 가장 적절하다. 3) 지역 중심의 주제를 통한 통합지리교육의 주목적은 학습자들이 자신들의 삶의 터전 속에 내재된 지리적 의미를 찾아 해석하고 이해하는 것이며, 부차적으로 이 과정에서 관련된 지리적 지식을 능동적으로 구성하는 것이다. 4) 통합지리교육은 지역화 지리교과서 편찬으로부터 출발해야 한다.

  • PDF

The Analysis on the Contents of High School Geography Textbook with Cave (고등학교 한국지리 교과서에 나타난 '동굴' 컨텐츠 내용 분석)

  • Kim, Won-Jin
    • Journal of the Speleological Society of Korea
    • /
    • 제72호
    • /
    • pp.53-57
    • /
    • 2006
  • 고등학교 한국지리 8종 교과서에 수록된 동굴명과 학습 컨텐츠 유형별로 동굴의 특성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8종 교과서에 수록된 자연동굴의 경우 석회동굴에 대한 사례가 많으며 용암동굴과 해식동굴에 대한 소개는 상대적으로 미약하다. 둘째, 동굴에 대한 학습 컨텐츠의 경우 사진자료의 이용빈도가 매우 높은 편이며 그 외 모식도와 지형도를 이용하여 설명하고 있다. 셋째, 교과서 본문에 수록된 동굴명과 학습컨텐츠에 제시된 동굴의 경우 고수동굴에 대한 내용이 매우 높은 편이며 지역적으로도 충북 단양군을 사례로 한 경우가 많다. 특히, 북한에 분포하고 있는 동룡굴에 대한 소개가 특이할 만하다. 향후 천연자원으로서 자연동굴에 대한 주요 관광수요층인 고등학생들의 자연동굴에 대한 올바른 인식과 간접체험을 위한 학습컨텐츠의 개발이 기대된다. 이러한 학습컨텐츠의 개발과 교육현장에서 적용은 학생들로 하여금 지속 가능한 자연동굴의 보존관리와 환경 친화적인 관광개발 및 관광객의 관람태도가 왜 필요한가에 대한 당위성을 충분히 이해시킬 수 있을 것으로 보여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