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지도와 교육

Search Result 3,316, Processing Time 0.035 seconds

EIS이론에 따른 정수 지도에서 학생의 학습 과정 연구

  • Go, Sang-Suk;Jeon, Tae-Hun
    • Communications of Mathematical Education
    • /
    • v.18 no.2 s.19
    • /
    • pp.441-451
    • /
    • 2004
  • 수학의 내용을 학생에게 지도할 때 기계적인 계산법칙을 가르치는 것보다 개념을 이해할 수 있도록 돕는 것은 교사의 중요한 역할이다. 그 동안 연구를 통해 정수를 지도하기 위한 모델들은 꽤 많이 알려져 왔으나 이 모델들을 학생에게 직접 적용하였을 때 일어나는 현상을 파악한 연구는 그리 많지 않다. 따라서 본 연구는 상위, 중위권 초등학교 5학년을 대상으로 EIS이론에 바탕을 둔 정수의 모델을 통해 학생들이 정수의 개념을 어떻게 형성하고 그 과정에서 어떤 오류를 나타내는지, 또 무엇을 가장 어려워하는지 등 그 학습과정을 조사하였다.

  • PDF

Students' Learning of Geometry through Freudenthal's Mathematizaton (수학화에 의한 도형지도에서 학생의 학습발달 과정 연구)

  • Go, Sang-Suk;Jang, Deok-Im
    • Communications of Mathematical Education
    • /
    • v.18 no.2 s.19
    • /
    • pp.427-440
    • /
    • 2004
  • Freudenthal의 수학화 이론에 대한 지금까지의 대부분의 연구는 이론의 탐색에 집중하고 이에 따른 학습 지도 방안과 자료개발에만 역점을 두었던 것이 그 한계점으로 지적되어져 왔다. 이에 본 연구자는 실제 이 이론이 어떻게 학습 현장에 적용될 수 있는지에 대해 첫째, Freudenthal의 수학화에 의한 도형 지도에서 학생이 어떻게 수학화를 이루어 가는지를 조사하였고, 둘째, 학습의 주체자인 학생들의 능동적인 활동을 강조한 수학화 과정에서 교수의 주체자인 교사는 학생들의 수학화가 원만히 이루어지게 하기 위하여 어떤 역할을 수행하게 되는지를 중학교 1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사례연구를 실시하여 조사하였다.

  • PDF

학습부진아에 대한 효율적인 지도방법 - 고등학교 중심 -

  • Lee, Sang-Won
    • Communications of Mathematical Education
    • /
    • v.10
    • /
    • pp.237-270
    • /
    • 2000
  • 본 연구는 고등학교 1학년 학습부진아를 위하여, 자연과학의 기초가 되고, 학습의 전이가 높다고 생각되는 수학 교과를 중심으로 학습부진아의 특성을 규명하고 학습부진아를 위한 교수, 학습방법, 수학적 능력향상, 학습부진아에게 새로운 흥미와 학습 의욕을 야기 시켜 보다 효율적인 지도방법, 학습부진아의 원인을 규명하고, 개인차에 알맞은 학습과 현장에서 나타나는 문제점을 해소하여 학습부진아를 위한 교재를 개발하여 학습의 전의력을 높임으로써 수학교과 학습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교수, 학습 모형을 구성 적용하고, 학습에 대한 태도를 바람직한 방향으로 변화시키고, 학습부진아를 위한 효율적인 지도방법을 연구하고자 한다.

  • PDF

An Analysis on Teaching of Data Collection in Elementary School Mathematics Textbooks for 3rd and 4th Grades from the Perspective of Statistical Problem Solving Education (통계적 문제해결 교육의 관점에 따른 초등학교 수학 교과서의 자료 수집 지도 방식 분석: 3~4학년군을 중심으로)

  • Tak, Byungjoo;Ko, Eun-Sung
    • Education of Primary School Mathematics
    • /
    • v.25 no.4
    • /
    • pp.329-341
    • /
    • 2022
  • Data collection is crucial to the process of statistical problem solving since it influences the quality of statistical data. However, there is little instruction on data collection in the Korean mathematics curriculum. In this study, we examined how the data were collected and how the data collection method was taught in the Korean mathematics textbooks for 3rd and 4th grades. As a result, the data appeared in these textbooks were collected by using a variety of methods, including surveys, experiments, observations, and secondary data collections. There were not enough instructions on experiments and observations, compared to surveys and secondary data collection. Additionally, as each textbook works with a distinct contents while teaching data collection, it is expected that there would be variations in the levels that students learn in relation to data collection. Based on these findings, we draw some discussion points to determine how to improve the mathematics curriculum in order to effectively teach data collection in the elementary school.

An analysis of the educative features of mathematics teacher guidebooks for grades 3 and 4 (초등학교 3~4학년군 수학 교사용 지도서의 교육적 특징 분석)

  • Pang, JeongSuk;Oh, MinYoung;Park, Yejin
    • The Mathematical Education
    • /
    • v.62 no.4
    • /
    • pp.531-549
    • /
    • 2023
  • Despite the significance of mathematics teacher guidebooks as a support for teacher learning, there are few studies that address how elementary mathematics teacher guidebooks support teacher learning.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educative features of elementary mathematics teacher guidebooks for grades 3 and 4. For this, six units from each of ten kinds of teacher guidebooks were analyzed in terms of seven dimensions of Teacher Learning Opportunities in Korean Mathematics Curriculum Materials (TLO-KMath).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mathematics content knowledge for teaching was richly provided and well organized. Teacher guidebooks provided teacher knowledge to anticipate and understand student errors and misconceptions, but were not enough. Sample dialogues between a teacher and students were offered in the teacher guidebooks, making it easier for teachers to identify the overall lesson flow and key points of classroom discourse. Formative assessment was emphasized in the teacher guidebooks, including lesson-specific student responses and their concomitant feedback examples per main activity. Supplementary activities and worksheets were provided, but it lacked rationales for differentiated instruction in mathematics. Teacher knowledge of manipulative materials and technology use in mathematics was provided only in specific units and was generally insufficient. Teacher knowledge in building a mathematical community was mainly provided in terms of mathematical competency, mathematical classroom culture, and motivation. This paper finally presented implications for improving teacher guidebooks to actively support teacher learning.

Design of the Web-Based Guidance on using the manuscript paper system for Guidance on the rules of Korean spelling (한글 맞춤법 지도를 위한 웹 기반 원고지 사용 지도 시스템의 설계)

  • Park, Ki-Soon;Yang, Chang-Mo
    • 한국정보교육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4.08a
    • /
    • pp.138-145
    • /
    • 2004
  • 독후감상문을 쓸 때에나 각종 생활문, 논설문을 쓸 때에 원고지를 이용하지만 많은 어린이들은 원고지 사용법이나 맞춤법에 익숙하지 않다. 어릴 때부터 한글 맞춤법에 대해 많이 공부를 하고, 교육을 받지만, 학교현장에서는 시간을 내어서 특별히 할 수 있는 시간이 많지 않기 때문에 또 다른 지도 방법이 요구되는 바이다. 따라서, 아동들이 원고지를 이용하여 스스로 맞춤법에 대하여 공부를 해 보고, 복잡한 기구 없이 좀 더 쉬운 방법으로 아동들의 한글 맞춤법 등 글짓기의 기능적인 측면을 지도할 수 있는 웹 기반의 원고지 첨삭지도 시스템을 설계한다.

  • PDF

Mathematics Teachers' Conceptions of Proof and Proof-Instruction (수학 교사의 증명과 증명 지도에 대한 인식 - 대학원에 재학 중인 교사를 중심으로 -)

  • Na, Gwisoo
    • Communications of Mathematical Education
    • /
    • v.28 no.4
    • /
    • pp.513-528
    • /
    • 2014
  • This study is intended to examine 36 in-service secondary school mathematics teachers' conceptions of proof in the context of mathematics and mathematics education. The results suggest that almost teachers recognize the role as justification well but have the insufficient conceptions about another various roles of proof in mathematics. The results further suggest that many of teachers have vague concept-images in relation with the requirement of proof and recognize the insufficiency about the actual teaching of proof. Based on the results, implications for revision of mathematics curriculum and mathematics teacher education are discussed.

A Study on the Instructional Sequence of Addition and Subtraction in the Elementary School Mathematics Textbook (초등학교 수학 교과서에 제시된 자연수 덧셈과 뺄셈의 초기 지도 순서에 관한 소고)

  • Kim, Jiwon
    • School Mathematics
    • /
    • v.18 no.1
    • /
    • pp.175-191
    • /
    • 2016
  • In the elementary school mathematics textbook that has been revised in 2013, the instructional sequence for teaching addition and subtraction, which had remained unchanged for three decades since 1982, was finally changed in 2013. Particularly, the addition and subtraction of two-digit numbers without regrouping, such as 72+25=97 or 85-24=61, are taught earlier than the composing and decomposing of the number 10 using other numbers. This study examines the appropriacy and validity of these changes. However, the reason for these changes in the national curriculum or teacher's guide could not be determined. Further, several references emphasize the addition of two single-digit numbers, such as 7+8=15, and the subtraction of a single-digit number from a number between 11 and 19, such as 16-9=7, as basic facts. In other countries' textbooks, the teaching of addition and subtraction up to the number 20 is prioritized before teaching the addition and subtraction of two-digit numbers without regrouping.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 that these changes in the instructional sequence in the textbook that was revised in 2013 need to be reconsidered.

The Influence of Avatar on Immersion in Class Homepage And Elementary School Students Cyber-Self (아바타가 학급 홈페이지 몰입 및 초등학생의 사이버 자아에 미치는 영향)

  • Kim, Seong-Won;Jung, In-Kee
    • 한국정보교육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4.08a
    • /
    • pp.485-493
    • /
    • 2004
  • 초등학교 학급 홈페이지에 아바타를 접목시켜, 초등학교 학생들의 홈페이지에의 몰입 및 사이버 자아개념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한다. 학급 홈페이지를 구축, 활용하는 이유가 학교 교육 현장에서 이루어지는 교과 지도와 생활 지도를 온라인 상으로 확장하고 시간과 공간을 초월하여 지속적으로 지도하고자 하는 것에 있다고 볼 때, 방과 후 학생들의 자발적인 참여 및 활동이 필수적이다. 이러한 점에 착안하여 아바타를 접목시켜 활용하는 것이 과연 학생들의 학급 홈페이지에의 몰입 요소로써 작용할 수 있는지를 알아보는 것은 의미 있는 일이라 생각된다. 또한 사이버 공간에서의 새로운 자아 표현으로 여겨지는 아바타가 초등학생의 사이버 자아(cyber-self)에 어떤 영향을 주는가를 파악하는 것은 또 하나의 사회로 구축되어지고 있는 사이버 공간을 어떻게 받아들여야하는가에 대한 교육적 시사점을 줄 수 있을 것이다.

  • PDF

Polya의 문제해결 전략을 이용한 효과적인 문장제 지도방안 -고등학교 중심-

  • Bang, Seung-Jin;Lee, Sang-Won
    • Communications of Mathematical Education
    • /
    • v.8
    • /
    • pp.209-229
    • /
    • 1999
  • 보통 문장제(거리 ${\cdot}$ 속도 문제, 시계 문제, 농도 문제, 개수 세기, 측도 영역)는 초등학교부터 반복하면서 대학수학능력 시험에서는 외적 문제해결력을 측정하는 문장으로 나타난다. 문장제를 해결하는데는 사고가 여러 단계로 이루어져야 한다. 따라서 일반적으로 문장제는 난해하므로 조직적이고 전문적인 학습지도가 이루어져야 한다. 하지만 입시위주의 교육 등 여러 여건상 잘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수학을 잘하는 학생이라도 문장제를 해결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본 연구에서는 문장제의 해결의 저해 요인을 완화시킬 수 있는 지도 방안으로서 Polya의 문제해결 전략을 이용하며, 실험반과 비교반의 학습 효과를 비교 분석하여 이를 통하여 효율적인 문장제 지도방안을 연구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