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지도계획

Search Result 860, Processing Time 0.025 seconds

A Study on Establishing the Under Space Integrated Map for Safety Management of Harbor Structures (항만구조물 안전관리를 위한 지하공간통합지도 구축 방안 연구)

  • Park, Dong-Hyun;Jang, Yong-Gu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6.05a
    • /
    • pp.139-140
    • /
    • 2016
  • 최근 대도심지를 중심으로 빈번히 발생하고 있는 지반침하, 지반함몰, 도로붕괴 등의 지하안전사고로 인해 정부는 지하안전 대책 수립에 만전을 기하고 있다. 특히, 국토교통부는 지하공간통합지도 구축 기본계획을 수립하고 본사업에 박차를 가하여 지하공간 안전관리체계를 마련하고자 하고 있다. 그러나 국토교통부에서 구축계획하고 있는 지하공간통합지도는 서울, 부산, 대전 등 대도시를 중심으로하고 있어, 태풍, 집중호우 등에 의한 지반침하 및 함몰 등의 안전사고가 우려되는 항만구조물을 관리하기에는 어려운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항만구조물의 안전관리를 위한 지하공간통합지도 구축 방안을 제시하였다.

  • PDF

A study of tiling and 3D mapping method for raster map visualization (래스터 지도 시현을 위한 타일링 및 3D 매핑 기법 연구)

  • Seong-Won Kim;Min-Seok Kim
    • Annual Conference of KIPS
    • /
    • 2008.11a
    • /
    • pp.189-191
    • /
    • 2008
  • 최근에 군에서 작전계획을 수립하는데 있어서 군사 지도 및 디지털지형정보를 이용한 지형공간 분석 및 판독은 필수적인 요소가 되고 있다. 이에 따라, 군의 작전계획 수립을 지원하는 각종 정보 체계에서는 보다 원활한 지형공간 분석 및 판독을 위해 신속한 지도화면 시현과 다양한 도식들의 제공을 위한 기술이 요구되고 있다. 본 논문은 신속한 지도화면의 시현을 위해 래스터 지도를 타일링하여 3D 평면에 직접 매핑하는 방법을 제안하였고 다양한 도식들을 입체적으로 표현할 수 있게 하였다.

Development of Climate Analysis Seoul(CAS) Maps Based on Landuse and Meteorogical Model (토지이용도와 기상모델을 이용한 서울기후분석(CAS)지도 개발)

  • Yi, Chae-Yeon;Eum, Jeong-Hee;Choi, Young-Jean;Kim, Kyu-Rang;Scherer, Dieter;Fehrenbach, Ute;Kim, Geun-Hoi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 /
    • v.14 no.1
    • /
    • pp.12-25
    • /
    • 2011
  • It is needed to preserve good effects and to prevent bad influences on local climate in urban and environmental planning. This study seeks to develop climate analysis maps to provide realistic information considering local air temperature and wind flows. Quantitative analyses are conducted by CAS for the production, transportation, and stagnation of cold air, wind flow and thermal conditions by incorporating GIS analysis on land cover and elevation and meteorological analysis from MetPhoMod - a mesoscale weather model. The CAS helps The easier analysis and assessment of urban development on local climate. It will contribute to the better life of the people in cities by providing better understanding of the local climate to the urban space planners.

Wind Road Analysis System Using GIS (GIS를 활용한 바람길 분석시스템)

  • Park, Tae-Og;Kim, Nam-Mi;Kim, Kyung-Jong;Kim, Do-Hoon
    • 한국공간정보시스템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3.11a
    • /
    • pp.98-103
    • /
    • 2003
  • 환경이 하나의 도시계획 요소로 작용하고 있는 상황에서 기후요소인 바람을 도시계획시 고려하여, 기존의 도시계획과는 다른 관점을 제시해 주는 분석시스템이다. 기상자료 및 해당 도면의 속성자료를 토대로 GRID분석과 Kriging보간 알고리즘을 구현하여 대상지역의 온도분포 및 바람흐름, 바람통로를 찾아내고자 하였다. 기후지도를 이용하여 주요 바람길을 파악할 수 있으며 대상지내 신선한 공기가 시작되는 녹지들을 추출하여 녹지계획의 핵으로 정한다. 녹지의 핵으로부터 각각의 녹지로 연결되는 바랑의 길을 분석하여 도시계획업무추진 시 바랑통로가 단절된 곳이나 단절된 계획이 있는 곳을 파악한다. 그리고 바람통로를 위해서 보존할 곳과 올바른 바람을 유도할 곳 등을 생성한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열섬현상이 빈번히 발생하는 대구시를 대상지로 정하여 Landsat TM영상을 활용 도시의 열섬현상을 분석하고 시스템을 통해 제작된 기후지도를 활용한 열섬 현상 저감방안도 모색하였다.

  • PDF

A Study on the Flood Inundation Analysis using CAD-Based (CAD기반을 이용한 홍수범람해석 연구)

  • Lee, Jung-Sik;Moon, Chang-Geon;Park, Jong-You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0.05a
    • /
    • pp.1836-1840
    • /
    • 2010
  • 최근 홍수범람해석에 대한 필요성이 점차적으로 증대되면서 다양한 해석모형과 프로그램들이 개발되었고 현재까지도 홍수범람분석에 관한 활발한 연구들이 이루어지고 있다. 하지만 다양한 홍수범람해석 Tool의 이해도 부족과 양질의 지형자료 부족으로 인한 실제 지형 구축시 상당한 수작업과 시간소요 등의 다양한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어 실무 엔지니어들에게 널리 적용되는데 있어 걸림돌이 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CAD를 기반으로 1차원 수리모형인 HEC-RAS를 자체 내에 통합함으로서 CAD환경에서 1차원 수리모형인 HEC-RAS 구동이 가능한 RiverCAD를 이용하여 실무적 요구빈도가 높은 중소규모 자연하천을 대상으로 홍수위 모의 후, 홍수범람도 작성 순의 홍수범람해석을 수행함으로서 CAD기반의 통합 해석 TOOL의 효율성과 적용성을 검토하였으며, 실무적 관점에서 하천과 관련한 각종 기본계획 및 지자체별 풍수해저감종합계획 등의 수립 시 많이 이용되는 수치지도를 활용하여 축척별로 제내지 지형의 DTM을 구성함으로서 홍수범람해석 결과를 비교 검토함으로서 계획의 목적과 범위에 따라 합리적인 결과를 도출 할 수 있는 수치지도의 축척을 제시하였다.

  • PDF

지도.독도요령

  • the National parks of Association of Korea
    • 공원문화
    • /
    • s.14
    • /
    • pp.24-29
    • /
    • 1980
  • 지도는 지구표면의 입체적인 지형을 일부 또는 전부를 일정한 비율로 축소하여 자연물과 인조물을 규정된 기호로써 지면에 그린 것을 말하며, 등산 계획 및 산행에 있어서 절대적으로 필요한 것이다. 따라서 지도는 등산중에 언제나 손쉽게 펴 볼 수 있도록 휴대하여 등산중에 자기 위치를 알아보고 다음 목적지의 지형을 지도상에서 미리 연구한 후에 행동하여야 한다. 그러므로 지도는 산을 찾는 등산객의 눈이 되며 안내자가 되어 주는 것이다. 그렇기 때문에 독도법 훈련은 평소부터 가까이 하여 충분히 읽을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하겠다.

  • PDF

Search Conference in Community Development Planning (지역사회개발 계획에 있어서의 탐색 회의)

  • Kim, Jung-Keun;Lee, Sung
    • Journal of Agricultural Extension & Community Development
    • /
    • v.5 no.1
    • /
    • pp.71-77
    • /
    • 1998
  • 탐색회의는 조직이나 지역사회의 사람들로 하여금 그들의 가장 바람직한 미래를 규정하고 참여에의 책임감을 강조하는 과업수행을 위한 전략을 만들어낼 수 있도록 하는 참여적 계획 방법이다. 참여자들은 가능한 한 다양한 배경을 지닌 사람들이며, 그리하여 그들이 지니고 있는 지역사회에 대한 자신들의 지식과 과정을 변화시킬 수 있는 기술을 가지고 지역사회 개발에 기여할 수 있다. 탐색회의는 이루어져야만 하는 특별한 활동들을 규정하고 필요한 변화를 만들어낼 책임을 지니는 사람들에게 힘을 부여함으로써 표준적인 전략 계획보다 훨씬 더욱 유용한 결과를 산출한다. 계획과정에의 전체 지역사회의 참여는 바람직한 결과를 지역사회 전체가 소유할 개연성을 증가시키는 데, 이는 과업을 수행하는데 필수불가결하고 지역사회가 희망하는 목표를 성취하는데 중심적인 조건이다. 효과적인 지역사회 개발 계획을 위한 탐색회의의 성공적인 수행을 위해서는, 중앙정부가 지방정부의 탐색회의와 관련된 교육프로그램을 제공해야 하는데, 이는 탐색회의가 참여자들을 조직하고 관리하는 따위와 같은 얼마간의 기술을 필요로 하기 때문이다.

  • PDF

A Study on the Establishment of a GIS-based Planning System for Terrestrial Imaging (GIS를 활용한 지상영상 촬영 계획 시스템 구축 방안에 관한 연구)

  • Ko, In-Chul;Seo, Su-You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amtion Studies Conference
    • /
    • 2010.09a
    • /
    • pp.330-334
    • /
    • 2010
  • 지상사진측량 시 카메라를 통한 영상 획득에 있어서 촬영 시간과 노력 등의 비용 감소를 위하여 카메라 촬영 위치의 최적화를 통해 촬영의 효율성을 고려하고 그에 따른 영상 촬영을 위한 계획을 구상해볼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GIS기반의 지상영상 촬영 계획을 위한 시스템 구성을 목표로 그 가능성을 평가하기 위한 기초 연구를 수행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GIS를 활용하여 1:5000 수치지도에서 추출한 2차원의 건물 지도로부터 카메라 렌즈의 화각에 따라 건물의 외벽의 촬영 범위를 결정함으로써 최적의 촬영 지점을 계획하기위한 실험을 하였으며 이를 통하여 GIS를 활용한 지상영상 촬영 계획 시스템의 구축 가능성에 대하여 평가해보았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