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지그문트 프로이드

Search Result 2, Processing Time 0.019 seconds

대중문화와 폭력성

  • Kim, Gwang-Hwan
    • Cartoon and Animation Studies
    • /
    • s.5
    • /
    • pp.440-446
    • /
    • 2001
  • 폭력의 발생 원인은 다양하고 그 표현 방식도 여러 가지 양상으로 나타나지만 인간의 기저에 갖고 있는 일반적 원인은 욕구불만이다. 욕구불만의 해소가 이루어지지 않은 상태에서의 인간은 항상 폭력성이 잠재되어있는 상태가 된다고 볼 수 있다. 윌리엄 맥두걸은 본능이 인간행동에 동기를 부여하는 가장 중요한 요인이며, 지각과 정서보다 동기의 힘을 강조했다. 사람은 본능이 동기를 부여해 준 것을 지각하고 적절한 대상이 지각되면 그 대상은 행동을 자극하는 감정변화를 일으킨다. 이러한 검정변화를 충동이라 할 수 있는데 지그문트 프로이드는 인간의 많은행동이 불합리한 본능적 충동에 바탕을 둔다고 보고 있다. 충동은 대개 생리적인 긴장, 결핍,또는 불균형상태에 뿌리는 두며 충족되어야 할 절박한기본 욕구로 유기체에 행동을 강요한다. 충동은 선천적이며, 기본적인 생리적 욕구와 직접적으로 관련된 충동과 학습을 통한 모방충동, 약물복용의 반복적으로 인한 양물중독이 있고, 성취, 활동, 친화, 호기심, 배설, 탐구, 조작, 모성애, 고통회피, 성애, 수면 등 인간의 생활에 반영되는 거의 모든 욕구를 포함한다. 따라서 욕구의 해소를 위해 무엇인가를 해야만 하는 인간은 욕구의 억압상태나 좌절상태에서 심한 분노와 폭력의 충동을 느끼게 된다. 현대 심층심리학은 어린이들이 말을 충분히 자유자재로 구사하기 전에 겪고 억누르게 된 무시무시한 분노의 환상을 가지고 있는데,. 공포예술의 무시무시한 영상들이 결부되어있다는 것이 밝혀졌다. 픽카드(P.M. Pickard)에 의하면 어린아이는 그들의 내적 현실을 외적 현실을 적응시키려는 힘겨운 투쟁 속에 근친상간적 갈등, 흡혈귀, 살인, 식인 등 끔찍한 환상을 겪는 것 간다고 한다. 청소년기는 사회적 부적응기로서 현실과 어릴 적 꿈꿔왔던 이상과의 괴리감에서 오는 당혹과 분노가 발생되는데, 이 시기에 많은 청소년들이 극단적인 선정적인 폭력성에 탐닉하게 되는 경향이 있다. 현실은 결코 아름답지 못하고, 행복하게 살 수 없다는 것에 대한 깨달음에서 기인한다. 욕구불만의 강도가 심해질수록 폭력성은 더욱 강하게 나타나는데 개인에게서 뿐만 아니라 가족, 동료, 사회 단체나 종교, 국가간에도 집단적으로도 발생하게 된다. 사회적으로 볼 때 폭력은 용인되는 것이 아니므로 도덕적으로 절제를 하거나 상대방과 적절한 타협과 조정을 필요로 한다. 그러나 절제의 한계를 넘어선다고 생각되거나, 조정의 노력이 불가능하거나, 실패했을 때 폭력적인 행동으로 나타나게 된다. 리차즈(I.A Richards)는 분노와 공포는 일단 겉잡을 수 없는 경향이 있다고 하면서 오늘날 폭력에 대한 요구가 일상의 정서 생활에 있어, 억압을 통한, 빈곤함을 반영하고 있지 않은지 생각해봐야 할 것이라고 충고한다.

  • PDF

The Study of the Inner Energy for following the Fashion Trend -Focusing on Masochism- (패션에서 유행을 따르게 되는 내적 에너지에 대한 연구 -Masochism을 중심으로-)

  • Lim, Sung-Min;Park, Meeg-Nee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 /
    • v.32 no.3
    • /
    • pp.362-372
    • /
    • 2008
  • The remarkable tendency shown in recent fashion can be the customer's passiveness, not only their feeling desire for product but also needs for product seem to be made by mass media. So this condition can be thought as the currency of energy for being subjected. The public of fashion eagerly want the fashion style to be suggested for following it. The late Freudian, Erich Fromm said that the reason why individuals demand themselves to follow the masses' move could be explained as the hope against the fear of feeling not being from staying isolated and having no direction. Escaping from this fear, individuals ought to believe the necessity of participation in public. The fashion is willing to be defined as the united condition by individuals in the hope being consolidate in masses against being solitude. Nowadays, people can share many informations with internet, the fastest medium, which makes the individuals impatient not to be isolate, thinking other people must contact the information and should feel pressure of taking part in the currency. Even though the style is considered to be awkward for following it, it's frequent exposure on mass media by celebrities wearing the style could soon make a fashion. This is able to show that many customers should incline to consider less about their style or taste, whereas lean to pursue after masses' authority. Recent consumers have propensity to avoid feeling concern about others' criticism, on the other side, they try to chase of the fashion as masses' choice for feeling peaceful. The reason why people recognize not to have clothing to wear in spite of a large wardrobe, it must reflect their needs promoted from outside influence of introducing for new styl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