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지구과학 교육

검색결과 1,235건 처리시간 0.024초

교직과정을 이수한 교육대학원생의 내러티브 탐색 - 지구과학교육 전공을 중심으로 - (Inquiry into the Narratives of Graduate Students of Education who Have Completed Teaching Profession - With a Focus on Earth Science Education Major -)

  • 연유상;정덕호;이철민
    • 한국지구과학회지
    • /
    • 제44권1호
    • /
    • pp.90-103
    • /
    • 2023
  • 이 연구의 목적은 교직과정을 이수하는 교육대학원생의 심리적, 재정적 어려움으로부터 파생된 불안과 이들이 가진 교직에 대한 희망 사이의 갈등상황을 파악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지구과학교육 전공 교육대학원생 3명을 연구 대상자로 선정해 내러티브 탐구기법을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첫째, 연구 참여자들의 심리적 불안에 영향을 주는 요소는 전공 지식의 부족, 멘토의 부족, 늦은 출발, 재정적 문제와 차별, 정보의 부족 등이다. 둘째, 연구 참여자는 자신의 삶은 가치가 있다는 인식, 학생들을 선하게 변화시킬 수 있다는 인식, 자신은 점점 발전하고 있다는 인식에서 희망을 얻는다. 셋째, 연구 참여자들은 자신이 가진 희망 요소에 의해 현 상황을 감내하고 있지만 어려움으로부터 파생된 불안과 교직으로 진출하고자 하는 희망 사이에서 심리적 갈등상황에 놓여 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교직과정을 이수하는 교육대학원생의 수요를 바탕으로 정보의 수집 및 분석하여 그들의 요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제도 개선이 필요하다. 둘째, 불안을 극복하지 못하는 교육대학원생들을 대상으로 심리상담 프로그램이 필요하다. 이 연구는 향후 현시점의 교육대학원이 현직 교사의 재양성에만 초점을 두지 않고 구성원 모두의 만족감을 높일 수 있는 방향을 제시함으로써 더 나은 교육대학원의 환경이 마련될 수 있길 기대한다.

과학 영재 학생의 지구계에 대한 지식과 중요성이 과학 동기에 미치는 영향: 탐색적 연구 (The Impact of Self-Reported Knowledge and Self-perceived Importance about Earth Systems on Science Gifted Students' Science Motivation: An Exploratory Study)

  • 오준영;이현동;이효녕
    • 한국지구과학회지
    • /
    • 제36권6호
    • /
    • pp.580-590
    • /
    • 2015
  • 이 연구는 과학 영재 학생들의 지구계에 대한 지식, 중요성, 과학 동기 사이에 상관 관계를 분석하고 시사점을 얻는데 그 목적을 두고 있으며, 기존에 수행되지 않았던 내용을 다루는 탐색적 연구이다. 연구는 K 대학 부설 과학영재교육원 소속 중등 융합과학반 학생 93명을 대상으로 지구계에 대한 지식과 중요성, 과학 동기를 분석할 수 있는 설문지를 투입하고 지구계에 대한 지식과 중요성이 과학 동기에 미치는 영향을 상관분석과 회귀분석을 통해 결과를 도출하였다. 그 결과, 지구계에 대한 지식은 과학 동기에 상관계수 .656으로 높은 상관을 보여주었다. 반면 지구계에 대한 중요성은 과학 동기와 .387로 다소 낮은 상관이 나왔다. 높은 상관을 보여준 지구계에 대한 지식과 과학 동기의 회귀분석을 통해 그 설명력을 분석한 결과, 과학 동기의 총 변화량의 43%를 지구계에 대한 지식이 설명함을 나타내었다. 분석 결과를 토대로 지구계에 대한 체계적인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과학 영재 학생들의 수업에 적극적으로 활용한다면 과학 동기의 유발과 함께 학습 동기와 관련된 다양한 시사점을 얻을 수 있을 것이다.

중학교 과학 교과서에 사용된 시각자료의 유형, 기능 및 구조 분석: 제7차 교육과정 지구과학 내용을 중심으로 (Analysis of the Type, Function, and Structure of Inscriptions in Middle School Science Textbooks: Focus on Earth Science Content of the 7th National Curriculum)

  • 이기영
    • 한국지구과학회지
    • /
    • 제30권7호
    • /
    • pp.897-908
    • /
    • 2009
  • 시각자료는 과학교과서의 주된 구성 요소이며, 학습자에게 과학적 개념을 효과적으로 이해시키는 매개체가 된다. 본 연구에서는 제7차 교육과정에 따른 중학교 과학 교과서 지구과학 분야에 사용된 시각자료의 유형과 기능 및 구조를 분석하였다. 시각자료 유형에서는 사진과 삽화의 비율이 그래프와 표에 비해 매우 높게 나타났다. 시각자료의 기능에서는 예시적 기능과 보충적 기능의 비율이 높게 나타난 반면, 장식적 기능, 설명적 기능, 탐구적 기능의 비율은 낮게 나타났다. 시각자료의 구조에서는 단독의 비율이 다중에 비해 압도적으로 높았다. 또한 다중 구조에서 짝은 주로 대비에, 연속은 주로 순서를 표상하는데 사용되고 있었다. 시각자료의 유형, 기능, 구조 모두 교과서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토대로 학교 과학에서 시각자료의 교육학적 의의에 대한 보다 나은 이해를 위해 지구과학 분야에서 시각자료의 기능과 구조에 대한 기호학적 연구를 제안하였다.

대학생들이 인식하는 지구계 순환의 구성 개념 분석 (Analysis of Conceptions of Earth System Cycles as Perceived by College Students)

  • 김윤지;정진우;위수민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29권8호
    • /
    • pp.963-977
    • /
    • 2009
  • 이 연구의 목적은 지구계 교육의 학습자로서 대학생들의 지구계 순환에 대한 인식을 밝혀 교육에의 시사점을 찾는 것이다. 지구과학 교양 수업을 수강하는 62명의 비과학 전공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8주 동안 창의적 이야기 쓰기 활동을 실시하였다. 창의적 이야기는 스토리맵 그리기 방법으로 순환의 구성 개념과 유형을 분석하여 범주화 하였다. 지구계의 순환 구성 개념은 32가지로 매우 다양하게 표출되었고, 순환 유형은 원형과 복합형이 다수였으나 일부 사례는 순환 고리를 완성하지 못한 가지형과 선형으로 표현되었다. 지구계 순환에 대한 대학생들의 인식은 자연-생물계에 편향되어 있으며, 자연-생물계와 인간계의 3 범주를 모두 인식한 사례는 30% 미만으로 나타났다. 지구계 교육을 통해 인간 활동에 의한 피드백의 영향을 인지할 수 있도록 순환을 소재로 교수 내용을 다양화 하고, 학습자의 시스템 사고를 지원해야 하겠다.

유길준의 『서유견문』에서 보이는 지구에 대한 과학적인 서술 (A Scientific Description of the Earth as Seen in Yu Giljun's SeoYuGyeonMun)

  • 이면우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44권1호
    • /
    • pp.131-140
    • /
    • 2024
  • 이 연구에서는 유길준이 저술한 서유견문(1895) 중 제1편의 일부인 '1. 지구 세계의 개론' 항목을 대상으로 지구에 대한 과학적인 서술을 분석했다. 분석 대상은 서유견문 전체의 서론 역할을 한다. 전통적인 관념에서의 땅이 아니라 천체로서 지구를 언급한 우리나라 초창기의 문헌 중 하나이다. 과학용어가 확정되기 전에 활동했던 유길준은 지구의 자전 현상을 '자신전'으로, 해왕성을 '해룡성'으로 번역하는 나름의 노력을 보였다. 그는 지진파의 종류에 서양학자의 이론, 본초 자오선 설정과 관련한 국제적인 회의 내용 등, 같은 당시로서는 최신의 과학적 논쟁과 사실을 서유견문에 포함시켰다. 과학 전공이 아닌 유길준은 과학 내용을 서술하는데 후쿠자와(福澤諭吉)의 훈몽궁리도해(訓蒙窮理圖解)(1868)와 마쓰모토(松本駒次郎)의 격물지지(格物地誌)(1876)가 참고 자료로 이용되었을 것이다. '지구 세계의 개론'에 서술된 내용은 오늘날의 지구과학 교과서에 해당하는 기본적인 구성과 내용을 담고 있다.

근대 교육기(1876 ${\sim}$ 1910) 학회지를 통한 과학교육의 전개 (Development of Science Education through Academic Journal of Educational Associations during the Modern Educational Period (1876${\sim}$ 1910) in Korea)

  • 이면우
    • 한국지구과학회지
    • /
    • 제22권2호
    • /
    • pp.75-88
    • /
    • 2001
  • 근대교육기(1876${\sim}$1910) 중 1905년부터 1910년 사이는 우리 나라 교육에 대한 일제의 간섭이 가장 극심했던 시기였다. 이에 대응하여 우리 민족은 전국 단위나 지방 단위로 학회를 세웠고, 학회를 통하여 근대 교육을 실천하려는 의지를 보였다. 이 연구에서는 근대교육기에 국내에서 출판된 학회지 9종 132권을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근대교육기에 발간된 학회지의 주요 내용은 민족의 정체성을 확립하기 위한 역사나 지리 등의 내용과 계몽적인 차원에서 서구의 정치나 경제 체제를 소개하는 글과 더불어 자연과학에 관한 논술도 상당한 비중을 차지했다는 점이다. 둘째, 과학 관련 논술을 분야별로 분석해보면 생리${\cdot}$ 위생을 포함한 생물학 분야와 지구과학 분야가 비교적 많았다. 반면에 물리학이나 화학 분야는 아주 적었다는 특징이 나타난다. 셋째, 학회지에 게재된 지구과학 관련 논술만 분석하더라도, 대부분 같은 저자에 의해 교과서적인 기초 내용을 연재한 논술이 많이 보인다. 이러한 의미에서 학술지에 게재된 과학 관련 논술은 근대 교육기에 우리 나름의 과학 교육을 확립하기 위한 노력으로 평가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