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지각된 지지

검색결과 410건 처리시간 0.06초

결핵환자의 스티그마, 가족지지와 삶의 질의 관계 (Relationships of Stigma, Family Support, and Quality of Life in Tuberculosis Patients)

  • 박수정;안민정;소향숙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5권9호
    • /
    • pp.285-294
    • /
    • 2015
  • 본 연구는 결핵환자의 스티그마, 가족지지 및 삶의 질과 이들의 상관관계를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연구 대상자는 일개 대학교 병원에서 결핵치료를 받는 환자 122명으로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기술통계, t-test, ANOVA, 및 Pearson's correlation으로 분석하였고,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스티그마 I(결핵에 대한 타인 관점에 대한 지각)은 $18.67{\pm}7.48$ 이었고, 스티그마 II(자신의 관점에 대한 지각)는 $14.84{\pm}6.93$ 이었다. 가족지지는 평균 $30.81{\pm}4.16$ 이었고, 삶의 질은 평균 $102.22{\pm}13.72$ 이었다. 스티그마 I과 스티그마 II 사이에는 높은 정적 상관성(r = .753, p <.001)을, 스티그마II와 삶의 질은 경도의 부적 상관성(r = -.250, p = .005)을, 가족지지와 삶의 질은 중정도의 정적 상관성(r = .314, p < .001)을 나타내었다. 본 연구결과가 보여준 가족지지와 삶의 질의 정적 상관관계를 기반으로, 결핵환자의 스티그마를 줄이고 삶의 질을 증진시키는 중재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효과를 평가하는 연구를 제언한다.

암 생존자의 외상 후 성장 영향요인: Double ABCX 가족스트레스 모델의 적용 (Posttraumatic Growth in Cancer Survivors: The Application of Double ABCX Family Stress Model)

  • 임수업;김영희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10권10호
    • /
    • pp.88-99
    • /
    • 2020
  • 본 연구는 Double ABCX 가족스트레스 모델을 기반으로 암 생존자가 지각한 가족스트레스, 지지자원, 의도적 반추, 대처행동이 외상 후 성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배우자와 함께 살고 있는 암 생존자 2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응답한 자료는 AMOS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경로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암 생존자가 지각한 가족스트레스는 지지자원, 의도적 반추, 대처행동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고, 지지자원, 의도적 반추, 대처행동을 통해 외상 후 성장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지지자원, 의도적 반추, 대처행동은 외상 후 성장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지지자원과 의도적 반추는 대처행동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칠 뿐 아니라 대처행동을 통해 외상 후 성장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암 생존자의 외상 후 성장을 예측하는데 Double ABCX 가족스트레스 모델이 적용될 수 있음을 입증해 주었다.

아동과 청소년의 사회적 기술과 가족 $[\cdor}$ 친구의 지원 및 적응과의 관계 (Relationship of Social Skills & Social Support from Family and Friends to Adjustment Between Children and Adolescents)

  • 심희옥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37권6호
    • /
    • pp.11-22
    • /
    • 1999
  • 아동과 청소년의 적절한 발달을 위해 이를 저해하는 요인들을 밝히는 일은 인간발달 연구자들의 끊임없는 관심거리이며 중요한 일이다. 아동과 청소년의 부적응과 관련된 주요 변인들과 이들 변인들간에 결합되어 있을 수 있는 영향을 규명하는 것은 부적응이 어떤 경로를 통해서 발달하는지에 대한 정보를 주며, 부적응의 예언력을 높일 수 있어 아동과 청소년이 온전하게 발달하고 기능하도록 도울 수 있다. 본 연구의 결과에 의하면, 아동과 청소년 모두 사회적 기술이 발달할수록 가족과 친구로 부터의 정서적인 지원을 더 많이 지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적 기술이 좋은 아동이나 청소년이 가족이나 친구들과 더 좋은 관계를 유지할 수 있고, 자신이 더 많은 정서적인 지지를 받고 있다고 평가하고 있음을 시사한다. 바꿔 말하면, 부모나 친구와 지지적인 관계를 발달시키는데 사회적인 기술이 필요함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생각할 수 있듯이 아동과 청소년 모두 가족과 친구로부터 정서적 지지를 많이 가질수록 덜 우울해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반사회적 행동의 경우 가족의 정서적인 지원이 많을수록 반사회적 행동을 적게 하고 있으나, 아동과 청소년 모두 친구로부터의 정서적 지지는 성별, 사회적 기술과 가족의 지원을 통제한 가운데 반사회적 행동을 더 하게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비행 친구가 많을수록 비행행동에 더 관여 할 수 있음을 보건대, 본 연구의 아동과 청소년이 이미 반사회적 행동에 많이 연루된 친구들로부터의 정서적인 지지를 받아서 더 많은 반사회적 행동을 하게 된 것인지도 모른다. 즉 친구의 지지가 긍정적이기보다 결과적으로 부정적인 측면의 정서적 지지였을 수 있다. 가족과 친구의 정서적 지지를 통제한 상태에서 사회적 기술이 여전히 우울성향과 반사회적 행동에 영향을 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적 기술은 직접적이고 간접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우울성향과 반사회적 행동에 주고 있는 것이다. 예측할 수 있듯이 아동과 청소년 모두 사회적 기술이 풍부하면 할수록 더 적응적이어서 대인관계에서의 적절한 기술은 아동과 청소년 모두에게 심리적, 행동적 적응에 중요한 변인임을 본 연구에서 보여주고 있다. 우울성향은 아동과 청소년간에 다 성별차이가 분명했다. 이는 사춘기 이전에는 우울에서 성차가 불일치하지만 사춘기에 접어들면서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분명히 더 우울해한다고 하듯이(Nolen-Hoeksema, 1994). 이 연구에서 아동으로 초등학교 5년과 6년생을 연구 대상으로 삼고 있어 이미 이 아동들간에 우울에서 남녀차이가 있는 것으로 해석된다. 반사회적 행동은 청손녀기에야 남녀차이가 더 분명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청소년기에 이르면 남학생이 여학생에 비해 월등하게 사회적으로 바람직하지 않은 행동에 연루되게 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아동과 청소년의 우울성향 정도는 가족의 지원정도가 가장 크게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동과 청소년 모두에게 가족의 정서적 지지는 그들의 심리적 적응에 중요한 존재임을 알 수 있다. 반사회적 행동에 가장 많이 기여하는 변인이 특히 아동의 경우 사회적 기술 부족으로 나타났다. 이는 청소년과 청소년 이전기 아동에게서 사회적 기술 부족이 비행또래와 어울리는 것과 관련이 있다고 보고한 Patterson과 Dishion(1985) 그리고 Snyder, Dishion,과 Patterson(1986)의 연구에서 설명을 구할 수 있겠다. 사회적 기술이 부족한 이들이 친구로부터 따돌림을 받기 쉬울 것이고 이들끼리 공격적이고 숙련되지 못한 상호작용을 하기 때문에 필요한 대인관계기술을 배울 기회가 적을 수 있어 반사회적인 행동을 더 익히게 될지도 모른다. 특히 인지적으로 덜 성숙하고 사회적인 경험이 부족한 아동의 경우 적절한 대인관계 기술이 아동의 행동적 적응에 중요함은 주목을 요한다. 사회적 기술은 아동보다 청소년이 더 발달 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초등학생보다 중학생이 생활속에서 사회적인 요구나 기대가 커지고 복잡해지면서 다양한 사회적인 경험을 하게되고 인지와 정서적인 성숙으로 타협이나 양보 등 대인관계기술이 발달됨을 알 수 있다. 또한 아동이 청소년보다 가족으로부터의 정서적 지지를 더 많이 지각하는 것으로 나타난 것은 청소년기에 이르면서 사고의 발달로 청소년이 가족의 행동이나 정서적인 지지에 더 냉철해 지는지도 모르겠다. 또한 부모로부터 더 독립적이 되면서 정서적으로 부모로부터 거리를 더 느끼게 될지도 모른다. 이런 발달 양상은 남녀간에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해보면, 사회적 기술, 가족, 친구지원과 부적응과의 전반적인 경로관계에서 아동과 청소년간의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사회적 기술이 발달한 아동과 청소년이 가족과 친구의 지지를 더 많이 받고 있다고 지각하여 적응적이다. 그러나 반사회적 행동은 성별, 사회적 기술과 가족의 지원을 통제할 경우 친구로부터의 지지를 많이 받을수록 그릇된 행동에 더 연루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동과 청소년에게 있을 수 있는 친구들간의 부정적인 결과를 초래하는 정서적 지지에 주목해야겠다. 심리적인 적응에는 가족의 지원이 중요하고, 행동상의 적응에는 청소년보다 특히 아동의 경우 적절한 사회적 기술의 발달이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적 기술이 청소년보다 부족한 아동이 이로 인해 그릇된 행동을 하는 친구들의 지지를 얻어 반사회적 행동에 더 참여할 수 있음에 주목을 요한다. 또한 사회적인 기술은 청소년이 아동보다 더 발달되어 있고, 청소년보다 아동이 가족으로부터의 지지를 더 많이 받고 있다고 지각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제한점을 생각해보면 첫째, 본 연구의 결과를 다른 사회나 경제환경의 아동과 청소년에게 일반화시키는데는 제한이 따를 수 있겠다. 둘째, 자료를 아동과 청소년의 자기보고 식으로 수집하였는데 관찰법이나 면접 등이 보충자료로 사용되고 또한 부모나 선생님으로부터 아동과 청소년에 관한 자료를 수집한다면 보다 더 신뢰로운 연구가 될 수 있겠다. 셋째, 본 연구에서 초등학교 5, 6학년생은 아동으로, 중학교 1, 2학년생은 청소년으로 간주한것은 인위적인 구분일 수 있음을 밝힌다. 상술한 제한점에도 불구하고 본 연구의 결과는 첫째, 아동과 청소년의 발달에 따른 그들의 적응에 관한 자료를 제공한다. 아동과 청소년의 내${\cdot}$외적인 부적응을 증가시키는 심리사회적인 변인들을 밝히고, 변인들간의 관계 규명을 통해 궁극적으로 그들의 부적응을 방지하는데 기여할 수 있겠다. 둘째, 사회적 기술과 부적응간의 관계에 관한 우리 나라 아동과 청소년의 연구가 미흡한데 본 연구는 이들 간의 관계에 관한 연구를 촉진시킬 수 있겠다. 본 연구의 결과 사회적 기술 부족이 직접적으로 부적응에 영향을 주거나 가족이나 친구의 지원 지각에 영향을 주어 간접적으로 부적응을 일으킬 수 있으므로 사회적 기술이 부족한 아동과 청소년에게 필요한 대인관계기술을 가르치거나 훈련시키는 프로그램의 개발이 요구된다.

  • PDF

암환아의 개인적 변인과 사회적 지지 지각이 불안, 우울 및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Anxiety, Depression, and Self-Esteem in Children with Cancer : The Influence of Personal Variables and Perception of Social Support)

  • 조유진;김광웅
    • 아동학회지
    • /
    • 제24권1호
    • /
    • pp.21-32
    • /
    • 2003
  • This study analyzed the influences of personal variables and perception of social support on the anxiety, depression and self-esteem of 102 children with cancer living in Seoul. Data were analyzed by t-test, ANOVA, and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Results showed that personal variables that influenced depression, anxiety and self-esteem of children with cancer were sex, grade in school, monthly income of the family, and regularity of school attendance. Perception of social support influenced depression and self-esteem; subjects higher in perception of social support were lower in depression and higher in self-esteem.

  • PDF

조손가정 아동과 일반가정 아동의 행동문제에 대한 사회적지지 지각의 조절효과 (The Adjusting Effect of Social Support Perception In Relation to the Behavioral Problems of the Children Raised by Grandparents and the Children Raised by Parents)

  • 이정이;최명선
    • 아동학회지
    • /
    • 제28권2호
    • /
    • pp.205-216
    • /
    • 2007
  • Instruments used in this study of social support effects on the behavioral problems of children raised by their grandparents compared with children raised by their parents were the revised Social Support Appraisal (Dubow & Ulman 1989) and the revised Children Behavior Criteria (Achenbach, 1991). Results showed that, compared with children raised by their parents, children raised by their grandparents engaged in (1) more excessive, nervous and immature behavior; (2) were aware of less support of friends and family (3) When given a higher degree of support from friends they engaged more excessive and aggressive behavior and (4) They displayed counter-buffering effects, namely immature behavior when given higher family support.

  • PDF

일 도시지역 주민의 스트레스 지각, 정신건강 및 사회적 지지 (Relationships between Perceived Stress, Mental Health, and Social Support in Community Residents)

  • 김판희;김희숙
    • 한국보건간호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197-210
    • /
    • 2010
  • Purpose: The study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s among perceived stress, mental health, and social support in community residents. Method: A self-reporting questionnaire was completed by 302 community residents aged 19-64-years-of-age from October 7 to November 30, 2008. Assessment tools were an The established perceived stress scale, standardized mental health scale, and established social support scale. The data was analyzed by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one-way ANOVA, Scheffe's test, and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using the SPSS WIN 12.0 program. Result: Significantly negative correlations were evident between perceived stress and social support, and between social support and mental health. But, there was a significantly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perceived stress and mental health. Conclusion: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strategy to decrease perceived stress, improve mental health, and increase social support for community residents.

소방공무원의 신경증 성격특성과 직무 스트레스와의 관계: 지각된 평가적 지지의 매개 효과 (The Mediating Effect of Perceived Appraisal Suppor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Neuroticism and Occupational Stress in Firefighters)

  • 김윤정
    • 지역사회간호학회지
    • /
    • 제32권3호
    • /
    • pp.396-403
    • /
    • 2021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mediating effect of perceived appraisal support between neuroticism and occupational stress in firefighters. Method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56 firefighters who worked at three fire stations in G province in Korea.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t-test, ANOVA,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using Baron and Kenny's method for mediation. Results: There were significant relationships between neuroticism and perceived appraisal support (r=.30, p<.001), neuroticism and occupational stress (r=.42, p<.001), and perceived appraisal support and occupational stress (r=.36, p<.001). Perceived appraisal support showed partial mediating effect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neuroticism and occupational stress. Conclusion: The impact of neuroticism in firefighters was mediated by perceived appraisal support for occupational stress. This suggests that strategies for enhancing perceived appraisal support in fire fighters should be considered when developing neuroticism management interventions for decreasing their occupational stress.

청년실업자의 스트레스와 사회적 지지와의 관계: 한국과 영국 비교 연구 (The relation between perceived stress among unemployed younger adults and their level of social support: South Korea and the UK compared)

  • 김성희
    • 한국가족관계학회지
    • /
    • 제21권3호
    • /
    • pp.25-47
    • /
    • 2016
  • Objectives: This research aimed to compare perceived stress among unemployed younger adults in South Korea and the UK, particularly the relation between perceived stress levels of unemployed younger adults and their perception of their level of social support including family support and community support. Method: In order to achieve a research purpose, this study undertook a quantitative analysis of 306 unemployed younger adults in portal sites of job recruiting centers in the UK and South Korea from the period of June to July 2014. Results: The analysis found that unemployed younger adults in the UK perceived higher levels of social support, family support among social support, and community support among social support than that of South Korea. Secondly, in the UK perceived levels of social support and community support among female unemployed younger adults outweighed that of male ones. Thirdly, in the dimension of perceived stress, unemployed younger adults in two countries reported opposite results via social class.

결혼이주여성의 지각된 사회적지지, 대처전략, 문화적응태도가 문화적응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구조와 경로 (The Structure and Pathway in which Perceived Social Support, Coping Strategy and Acculturative Attitude of Marriage-based Immigrant Women influences Acculturative Stress)

  • 한석우;김지운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9권10호
    • /
    • pp.55-63
    • /
    • 2018
  • 본 연구는 결혼이주여성의 문화적응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인지적 요소를 중심으로 경로분석을 하여 경로구조를 밝히고자 하였으며, 연구결과는 결혼이주여성의 문화적응을 돕기 위한 정책과 실천적 방안의 기초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이 연구는 결혼이주여성의 지각된 사회적지지, 대처전략, 문화적응태도가 문화적응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경로구조를 심리 스트레스이론을 기반으로 연구모형을 설정하여 실증적 검증을 하였다. 그리고 통제변수로서 인구사회학적 변인으로 연령, 교육수준, 결혼기간, 소득수준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를 위한 자료는 C지역과 J지역에 거주하는 결혼이주여성을 대상으로 편의표집과 눈덩이표집을 병행하여 설문조사하여 수집하였으며, 204명을 분석에 적용하였다. 연구결과, 결혼이주여성의 문화적응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진 이주여성의 인지적 요인으로 지각된 사회적 지지와 대처전략, 문화적응태도들의 영향 경로구조를 분석한 결과 문화적응태도가 매우 중요한 요인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결혼이주여성의 문화적응 과정에서 통합적인 문화적응태도가 문화적응스트레스를 감소시키는데 중요한 영향 요인임을 밝혔으며, 결혼이 주여성이 우리사회에 동화되길 강요하는 것 보다 결혼이주여성의 모국 문화와 우리 문화의 정체성을 공존할 수 있는 정책과 실천이 문화적응스트레스에 효과적으로 대처하는 방안이라 볼 수 있음을 시사한다.

장애인의 디지털정보화역량, 디지털정보화활용 수준, 일상생활만족도 간 관계: 지각된 사회적 지지망 수준에 따른 다집단 분석 (Relationship between Digital Informatization Capability, Digital Informatization Accessability and Life Satisfaction of Disabled People: Multigroup Analysis of Perceived Social Support Network)

  • 연은모;최효식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0권12호
    • /
    • pp.636-644
    • /
    • 2019
  • 본 연구의 목적은 장애인의 디지털정보화역량, 디지털정보화활용 수준, 일상생활만족도 간 구조적 관계를 탐색하고, 지각된 사회적 지지망 수준에 따라 구조적 관계에 차이가 있는지 확인하는 것이다. 2017년도 디지털정보격차 실태조사의 장애인 표본 데이터의 1,639명이 분석 대상이며, 구조방정식 모형 분석 방법과 다집단 분석 방법을 활용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디지털정보화역량은 디지털정보화활용 수준(β=.65), 일상생활만족도(β=.08)에 직접적으로 정적 영향을 미쳤다. 그리고 디지털정보화활용 수준 또한 일상생활만족도(β=.44)에 직접적으로 정적 영향을 미쳤다. 둘째, 장애인의 디지털정보화역량이 디지털정보화활용 수준을 매개로 일상생활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간접효과(β=.29)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직접효과보다 간접효과가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장애인의 지각된 사회적 지지망 수준에 관계없이 디지털정보화역량, 디지털정보화활용 수준은 일상생활만족도에 유사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결과는 장애인의 일상생활만족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디지털정보화역량 향상을 위한 교육도 중요하지만, 장애인이 디지털 기기를 활용하여 여가생활, 문화생활, 사회적 상호작용, 사회참여 등이 가능한 접근성과 활용성이 높은 디지털 및 온라인 환경을 조성해 주는 것이 필요함을 시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