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증식치료

검색결과 585건 처리시간 0.024초

Brunner 씨 선종 - 임상증례 및 임상상적 문헌고찰 - (BRUNNER'S GLAND ADENOMA - Case report, and review of etiopathogenesis and clinical features -)

  • 이경철
    • Journal of Yeungnam Medical Science
    • /
    • 제2권1호
    • /
    • pp.265-269
    • /
    • 1985
  • 십이장에 있는 Brunner씨 선의 양성증식성 병변은 상당히 희유한 변화이다. 지금까지 영문으로 보고된 증례는 대체로 120예를 넘지 않는다. 1835년 Cruveilhier에 의해 처음 증례가 보고되었는 바 대부분의 증례는 양성종양 또는 양성증식성병변으로 나타나나 이 때까지 2예의 악성종양도 보고 되었다. 방사선진단법의 개선과 fibropic endoscopy의 이용으로 십이장의 종양성 병변의 조기진단과 치료에 많은 진전을 보았으며, 따라서 저자는 비교적 희유한 십이장에 생긴 Brunner씨 선에서 발생한 양성종양을 경험하였기에 이 때까지 보고된 문헌을 고찰하고 그 원인, 임상상적 소견, 진단 및 치료에 대한 경험예를 보고하는 바이다. 환자는 51세된 남자로서, 1983년 12월 9일 상북부 동통과 4 주간의 설사를 주소로 하여 본 병원 내과에 입원하여 1984년 l월 23일 ERCP에 의해 십이장에 polyp가 있는 것을 확인하고 외과에서 적출하여 명리조직학적으로 Brunner씨 선에서 발생한 양성선종으로 진단하였다. 본 환자는 그 후 경과가 양호하여 수술후 1년 반까지 아무런 증상 없이 잘 지내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 PDF

Bee Venom이 NF-${\kappa}B$의 불활성화에 의한 세포자멸사를 통해 PC-3 세포의 증식에 미치는 영향 (Bee Venom Inhibits PC-3 Cell Proliferation Through Induction of Apoptosis Via Inactivation of NF-${\kappa}B$)

  • 오현준;송호섭
    • Journal of Acupuncture Research
    • /
    • 제27권3호
    • /
    • pp.1-13
    • /
    • 2010
  • 목적 : 이 연구는 봉약침의 봉독과 그 주요성분인 멜리틴이 NF-${\kappa}B$의 활성억제와 세포자멸사 관련 단백질의 발현 조절을 통하여 세포자멸사를 유도함으로써 전립선 암세포주인 PC-3 세포의 성장을 억제하는지를 확인하고 해당 기전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방법 : 봉독이나 멜리틴을 처리한 후 PC-3의 성장억제를 관찰하기 위해 WST-1 assay, CCK-8 assay를 시행하였고, 세포자멸사 조절단백질의 변동 관찰에는 western blot analysis를 시행하였고, 세포자멸사와 연관된 NF-${\kappa}B$의 활성 변화를 관찰하기 위해 EMSA를 시행하였으며, PC-3에서 봉독이나 멜리틴과 NF-${\kappa}B$의 상호작용을 관찰하기 위해 transient transfection assay를 시행하여 세포생존율과 NF-${\kappa}B$의 활성 변동을 측정하였다. 결과 : PC-3 세포에 봉독이나 멜리틴을 처리한 후, 전립선암세포의 성장, 세포자멸사의 유발, 세포자멸사 관련 단백질의 발현, NF-${\kappa}B$의 활성, NF-${\kappa}B$의 p50, $IKK{\alpha}$, $IKK{\beta}$ 치환 후 NF-${\kappa}B$의 활성과 PC-3 세포 증식에 미치는 영향을 관찰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PC-3 세포에서 봉독이나 멜리틴을 처리한 후 세포자멸사가 유도되어 세포성장이 억제되었고, 세포자멸사 관련 단백질 중 분리된 PARP, caspase-3, -9는 유의한 증가를, Bcl-2, XIAP, cXIAP2는 유의한 감소를 나타내었다. 2. PC-3 세포에서 봉독이나 멜리틴을 처리한 후 NF-${\kappa}B$의 활성은 유의한 감소를 나타내었다. 3. PC-3 세포에서 NF-${\kappa}B$의 p50, $IKK{\alpha}$, $IKK{\beta}$를 치환하여 작용기를 없애고 봉독이나 멜리틴을 처리하였을 경우에도 NF-${\kappa}B$의 활성이 유의한 감소를 나타내었다. 결론 : 이상의 결과는 봉독이나 멜리틴이 NF-${\kappa}B$의 활성 억제를 통하여 인간 전립선암세포주인 PC-3의 세포자멸사를 유발함으로써 증식억제 효과가 있음을 입증한 것으로, 전립선암의 예방과 치료에 대한 효과적인 치료제 개발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삼첨판막 심내막염 (Tricuspid Valve Endocarditis)

  • 문광덕;김대영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29권4호
    • /
    • pp.440-443
    • /
    • 1996
  • 삼첨 판막 심내막염은 감수성이 있는 항생제에 효과적으로 치료될 수 있다. 그러나 패혈증이 지속되거 나, 중증의 심부전, 다발성 폐 색전증 그리고 실 초음파상 증식증 (vegetation)이 있는 경우는 수술이 필요 하다. . 19세횝 남자환자가 감염성심내막염으로 입원하였다. 환자는 9년전에 perimembranous type의 VSD로 수술받은 병 력 이 있다. 심초음파상 삼첨판의 전엽부에 커다란 증식증의 소견이 보였고,과거에 VSD를 봉합했던 부위에 누 출 (leakage)을 통한 좌우단락이 관찰되었다. 항생제치료와 함께 인공판막치 환술을 시행하였다. St. Jude Medical 양엽판막 (size 33 mm으로 삼첨 판막 대 치술을 시 행하였고 잔여 VSD는 단순봉합으 로 폐쇄하였다. 술후 시행한 심초음파검사에서 치환된 삼첨 판막의 기능은 좋았고, 증식증과 좌우단락의 소견은 보이지 않았다. 환자는 합병증없이 술후 25일째에 퇴원하였다. 저자들이 경험한 본 증례는 잔여 VSD로 인해 생긴 감염성심내막염을 초기에 적극적인 수술을 시행 하여 좋은결과를 얻었음을 보여준다. 이 에 문헌고찰과 더불어 보고하는 바이다.

  • PDF

저선량 방사선 조사가 배양 세포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MDCK Cell on Low Dose Irradiation)

  • 이송재;장재철
    • 대한방사선치료학회지
    • /
    • 제9권1호
    • /
    • pp.106-112
    • /
    • 1997
  • MDCK 세포를 한국 세포주 은행으로부터 분주 받아 배양한 후 저선량 gamma선 조사에 대한 세포수준에서 방사선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세포 증식능의 변화, Superoxide dismutase(SOD)와 catalase, FOX I의 함량 변화를 측정 검토하였다. 그결과, 저선량의 방사선를 조사했을 때, 세포의 증식능은 방사선 조사후 2시간에서 10 cGy는 $95.1\%$, 50cGy는 $96.4\%$로 대조군보다 약간의 감소가 나타났으나, 24시간 후에서 10cGy는 $96.7\%$, 50cGy는 $73.1\%$로 선량이 증가함에 따라 세포 증식능은 감소하였다. 저선량 조사에 의한 MDCK 세포의 SOD 활성도는 전반적으로 증가하였고, Mn-SOD 활성 역시 증가하였다. 세포 내의 $H_{2}O_2$의 양을 측정한 FOX I에서 선량이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였으며 catalase 효소의 함량은 대조군보다 증가되는 경향을 보였다. 이와 같은 결과로 볼 때 저선량 방사선 조사에 대한 효과는 세포내부의 자체적인 방어기작의 발현으로 인한 결과라고 생각된다.

  • PDF

장염을 나타낸 bearded dragon의 분변에서 Pichia burtonii의 분리 (Isolation of Pichia burtonii from the Feces of an Enteritis Bearded Dragon (Pogona vitticeps))

  • 강효민;한재익;이숙진;장해진;나기정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28권2호
    • /
    • pp.254-257
    • /
    • 2011
  • 2년령 bearded dragon이 활력 감소 및 식욕 부진으로 충북대학교 동물의료센터에 내원하였다. 분변 검사 결과 다수의 세균과 함께 효모의 증식이 관찰되어 장염으로 진단되었다. 진균 배양 및 분자생물학적 진균 동정 결과 증식된 효모는 Pichia (P.) burtonii로 확인되었다. 치료는 ketoconazole과 trimethoprim/sulfamethoxazole을 3일간 경구 투여하였다. 치료 3일 후 분변 내 효모는 사라졌으며, 이후 환자는 회복되었다. 본 증례와 사람에서의 보고를 종합하면 P. burtonii 는 장염이 있는 bearded dragon의 기회성 병원체로 추정된다. 또한 본 증례는 bearded dragon에서의 P. burtonill의 과증식에 대한 최초의 보고이다.

기계적 응력이 치주인대세포의 세포증식 및 세포주기 조절인자들의 발현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Mechanical Stress on the Proliferation and Expression of Cell Cycle Regulators in Human Periodontal Ligament Cells)

  • 유형근;신형식;이진;민병무
    • Journal of Periodontal and Implant Science
    • /
    • 제29권3호
    • /
    • pp.593-607
    • /
    • 1999
  • 치주인대세포는 치주인대의 유지와 개조에 있어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는 섬유아세포성 세포로서, 세포에 가해진 여러가지 조건에 따라 다양한 표현형의 변화를 나타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기계적 응력은 치주인대세포의 세포증 식과 밀접히 연관되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이는 세포주기 조절인자들의 발현을 증가 시킴으로써 이루어질 것으로 생각되나 그 자세 한 작용기전은 알려져 있지 않다. 그러므로 이 연구의 목적은 기계적 응력이 사람 치주인대세 포의 세포증식과 세포주기 조절인자의 발현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기 위하여 사람 치주인대 세포에 기계적 응력을 가한 후 세포증식을 관찰하고 , 세포주기조절인자들인 p 53 , $p21^{WAF1/CIP1}$ cyclin-dependent kinases(cdks), cyclins 및 proliferating cell nuclear antigen(PCNA)의 단백질 발현 변화를 연구하였다. 본 연구에 사용한 사람 치주인 대세포는 교정치료를 목적으로 발거한 건전한 사람 소구치의 치주인대로부터 explantation culture하여 얻은 후 계대배양을 시행하여 제6 계대의 세포를 사용하였다. 배양한 사람 치주인 대세포를 55-mm Petriperm dish당 $1{\times}10^4$ 개를 분주하고, dish당 1kg의 기계적 응력을 가하면서 12일동안 세포배양을 시행하였다. 사람 치주인대세포의 세포증식은 기계적 응력을 가한 후 8-12일 사이에 현저히 증가하였으며, PCNA 단백질의 발현은 기계적 응력을 가한 후 6-10일 사이에 현저히 증가하였다. 또한 기계적 응력은 사람 치주 대세포의 cdk4, cdk6, cdk2 및 cyclin D1 단백질의 발현을 다소 증가 시켰으나, p53 및 $p21^{WAF1/CIP1}$ 단백질의 발현은 큰 변화가 없었다. 이상의 결과 서 기계적 응력은 사람 치주인대세포 의 p53 및 $p21^{WAF1/CIP1}$ 단백질 발현의 변화 없이 cdks 단백질 발현을 증가시킴으로써 세포증식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생각된다.

  • PDF

제3족지 근위지골에 발생한 기괴성 방골성 골연골성 증식증: 1예 보고 (Bizarre Parosteal Osteochondromatous Proliferation in the Proximal Phalanx of the Third Toe: A Case Report)

  • 노행기;전호승;전승주;문찬삼;강서구;송경섭
    • 대한골관절종양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91-94
    • /
    • 2011
  • 기괴성 방골성 골연골성 증식증은 수부와 족부의 단관골의 표면에 발생하는 양성 종양이다. 치료는 일반적으로 변연부 절제술을 시행하지만 절제 후 국소적인 재발을 잘한다. 국내에서는 족부에 발생한 기괴성 방골성 골연골성 증식증에 대한 보고가 극히 드물다. 저자들은 44세 여자 환자에서 우측 제3족지의 근위지골에 발생한 기괴성 방골성 골연골성 증식증을 경험하고 이를 보고하고자 한다.

LED조사가 인간 피부 각질세포의 증식에 미치는 융복합적인 영향 (Effect of LED Irradiation on Proliferation of Human Epidermal Keratinocyte for Convergence)

  • 박정숙;김미혜;이재혁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4권11호
    • /
    • pp.639-644
    • /
    • 2016
  • 본 연구의 목적은 발광 다이오드 (LED)을 인간 피부 각질 세포에 조사 시 콜라겐, 프로 콜라겐의 증식 발현을 조사하기 위해 실시되었었다. LED 조사 시 안전하게 인간의 피부에 적용할 수 있는지 여부를 결정하기 위해, LED 조사의 증식 효과는 인간 표피 각질세포에서 MTS 분석으로 결정하였다. 470nm의 파장 조사는 세포 독성 없이 mRNA의 콜라겐의 발현, 프로 콜라겐을 증가시켰으며, 이 결과는 470nm LED 조사가 피부각질세포 증식 효과와 콜라겐 합성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시사한다. 또한 LED 조사시 독성 효과는 인간 피부 섬유 아세포 (HDF)에서 MTS 분석으로 결정 한 결과 세포 증식에 독성을 나타내지 않았다. 470nm LED 조사시 시험 관내 콜라겐 합성 활동을 증가시킴으로 피부미용 및 융복합적인 부분에 활용할 수 있는 기초 자료로 활용이 가능하다고 사료된다.

구강점막에 발생한 섬유성 과증식의 처치 (MANAGEMENT OF FIBROUS HYPERPLASIA IN ORAL MUCOSA)

  • 함선영;송창규;박세희;김진우;조경모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34권4호
    • /
    • pp.340-345
    • /
    • 2009
  • 구강점막은 흡입되거나 압력을 받아, 병적이진 않으나 임상적으로 뚜렷한 변화를 일으키는 수많은 상황에 놓이게 된다. 협점막과 혀는 치아가 상실되었거나 여분의 공간이 존재하는 부위에서 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점막이 여분의 공간으로 압력을 받거나 흡입되어 섬유성 과증식이 발생하게 되는 것이다. 이번 증례보고에서는 구강점막의 섬유성 과증식의 처치에 대해 기술하고자 한다. 섬유성 과증식은 구강점막에 가해진 습관성 압력이나 흡입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섬유성 과증식의 치료는 단순 절제술과 원인을 제거하는 것이다. 또한 습관 조절이 재발을 방지하기 위한 중요한 요소가 된다.

다파장 LED의 동시 자극 인가가 가능한 세포 분화 유도기 (Cell differentiation control device capable of simultaneous stimulation of multi-wavelength LED)

  • 최세운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25권2호
    • /
    • pp.221-227
    • /
    • 2021
  • 최근 발광다이오드를 이용한 마스크 형식의 피부 관리기에 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으며, 특정 파장의 광학적 자극은 노출 광량 및 파장대, 광선 조사 시간을 조절함으로써, 피부 미백, 여드름 치료, 탄력 및 주름 개선 등과 같은 다양한 효과를 보인다고 알려져 왔다. 특히, 피부 노화 억제, 세포증식 유도, 피부의 염증 완화 등을 목적으로 하는 마스크의 경우 각각 다른 파장의 광원이 사용된다. 본 논문에서는 마이크로컨트롤러를 사용하여 피부재생 마스크에 활발하게 사용되는 발광다이오드 제어시스템을 개발하였다. 단일 또는 복합적으로 피부 섬유아세포에 인가하여, 세포의 증식에 어떠한 효과가 있는지 확인한다. 또한, 세포증식률에 긍정적 효과를 보이는 특정 파장대를 찾아 다양한 자극에 기인한 세포증식 효과를 확인하고, 영상처리를 활용한 정량분석법을 제시하여 그 효과를 평가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