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증식사

Search Result 171, Processing Time 0.022 seconds

The Genotypes of Helicobacter pylori, Gastric Epithelial Cell Proliferation and Apoptosis in Children (소아 Helicobacter pylori 감염에서 균의 유전형, 위 상피세포의 증식과 세포사)

  • Jung, Ji-Ah;Lee, Mi-Ae;Seo, Jeong-Wan
    • Pediatric Gastroenterology, Hepatology & Nutrition
    • /
    • v.6 no.1
    • /
    • pp.1-9
    • /
    • 2003
  • Purpose: To investigate the relation of the gastric epithelial cell proliferation, apoptosis and genotypes of H. pylori in children. Methods: Histologic grading by updated Sydney system, PCNA immunostaining, TUNEL method and the genotypes (cagA, picB and iceA) by PCR were performed in H. pylori positive (N=20) and negative (N=20) gastric biopsy specimens. Results: PCNA index was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H. pylori positive children ($77.4{\pm}13.12$) and H. pylori negative children ($52.3{\pm}12.20$) (p=0.000). There were positive correlations between PCNA index and H. pylori density (r=0.624, p=0.000), polymorphonuclear neutrophil activity (r=0.460, p=0.005) and chronic inflammation (r=0.433, p=0.009). Apoptosis index of H. pylori positive children ($0.70{\pm}0.411$)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of H. pylori negative children ($0.14{\pm}0.201$) (p=0.000). Positive correlations between apoptosis index and H. pylori density (r=0.691, p=0.000), polymorphonuclear neutrophil activity (r=0.585, p=0.000) and chronic inflammation (r=0.535, p=0.001) were noted. As PCNA index increased, apoptosis index significantly increased (r=0.527, p=0.001). The positive rates of genotypes were cagA 90%, picB 75%, iceA1 60% and iceA2 15%, respectively. There were no significant correlations between the status of the genotypes and PCNA index, apoptosis index, the endoscopic findings and the histologic findings. Conclusion: PCNA index and apoptosis index in H. pylori positive children were higher than in H. pylori negative children but were not related to H. pylori genotypes. This study suggested that correlatively increased gastric epithelial cell proliferation and apoptosis are important to pathogenesis of H. pylori infection in children.

  • PDF

A study of antiproliferative effect by Euonymus alatus (Thunb.) Sieb water-extract on SKBR3 human breast cancer cell line (귀전우(鬼箭羽) 물 추출물에 의한 유방암 세포주 증식억제에 관한 연구)

  • Kim, Jong-Seob;Lee, Tae-Kyun;Kim, Dong-Il
    • The Journal of Korean Obstetrics and Gynecology
    • /
    • v.18 no.4
    • /
    • pp.1-9
    • /
    • 2005
  • Purpose : 이 연구는 SKBR3 인간 유방암 세포주에 대한 Euonymus alatus (Thunb.) Sieb 추출물 (CWE) 의 증식억제, 항산화 작용 및 세포사 유발 효과를 검토하기 위해 이루어 졌다. Methods : SKBR3 세포주는 48시간 동안 다양한 농도 ($0-40\;{\mu}g/ml$)의 CWE를 첨가하면서 배양되었고, 세포의 생존 비율은 MTT 배양을 통해서 평가하였다. 또한 CWE의 증식억제 효과는 유방암 세포주의 세포사와 관련되어 있음을 형태학적인 변화와 올리고뉴클레오솜 DNA 분절을 통해 확인하였다. Results : CWE의 50%에서 효과를 나타내게 하는 약물농도인 $ED_{50}$ (effective dose 50%)은 $9.3+2.2{\mu}g/ml$이며, 약물의 농도에 의존하여 세포의 증식을 억제시켰다. 아울러, 다양한 농도와 배양시간에서 CWE가 ROS 생산을 억제하는 것을 밝힐 수 있었다. 따라서 이러한 작용과 항암예방효과는 농도와 노출 시간에 의존하였다. Conclusion : 이러한 관찰을 통해 Euonymus alatus (Thunb.) Sieb의 열수 추출물은 SKBR3 인간 유방암 세포주에 대해 강한 증식억제 효과와 강력한 항산화효과 및 세포사의 유발 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인식할 수 있다.

  • PDF

Apoptosis and Cell Proliferation in Gastric Adenoma and Adenocarcinoma (위샘종과 위샘암종에서의 세포자멸사와 세포증식)

  • Lee, Dong-Soo;Kang, Sang-Bum;Lee, Seung-Woo;Nam, Soon-Woo;Yoo, Young-Kyung;Han, Sok-Won
    • Journal of Gastric Cancer
    • /
    • v.6 no.2
    • /
    • pp.91-96
    • /
    • 2006
  • Purpose: Cancer is a genetic disease caused by alterations in key regulators of cell growth and cell turnover, We investigated apoptotic cell death and cell proliferation in gastric adenomas and adenocarcinomas. Materials and Methods: The TdT-mediated dUTP-biotin nick end labelling (TUNEL) method and immunohistochemistry for Ki-67 were peformed, using paraffin-embedded tissues of 41 gastric adenomas and 100 gastric adenocarcinomas. These results were compared with histopathologic parameters. Results: The Ki-67 labelling index was higher in adenocarcinomas than in adenomas and the apoptotic index was higher in adenomas than in adenocarcinomas.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apoptotic index/Ki-67 labelling index and clinicopathological parameters. Conclusion: We propose that cell proliferation is more closely associated with gastric adenocarcinomas than apoptosis is, but that neither has any clinical significance as a prognostic factor in gastric adenocarcinomas. (J Korean Gastric Cancer Assoc 2006;6:91-96)

  • PDF

The Inhibitory Effects of Melittin on Human Prostate Cancer Cell PC-3 in vivo and in vitro (Melittin의 전립선암세포 증식에 대한 억제 효과)

  • Yun, Jong-Il;Song, Ho-Sueb
    • Journal of Acupuncture Research
    • /
    • v.24 no.2
    • /
    • pp.51-61
    • /
    • 2007
  • 목적 : 이 연구는 봉독의 주요 성분인 낮은 농도의 melittin이 in vitro에서 세포자멸사 관련 단백질과 전립 선암세포 PC-3 증식 관련 수용체의 발현 조절을 통하여 세포자멸사(Apoptosis)를 유도하는지 in vivo에서 또한 전립선 암세포주인 PC-3 세포의 성장을 억제하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방법 : Melittin을 처리한 후 전립선암세포 PC-3의 성장억제를 관찰하기 위해 WST-l assay와 morphology analysis를 시행하였고, 세포자멸사 관련 MAP kinase 계열의 대표인 ERK1/2과 전립선암세포 증식관련 수용체인 PDGF-BB receptor ${\beta}$의 활성 변화 관찰에는 western blot analysis 및 Immunofluorescence Staining , Confocal immunocytochemistry를 시행하였으며, 전립암세포의 종양형성에는 흉선을 제거한 쥐에 Tumorigenecity study를 시행하였다. 결과 : 1. PC-3 세포에서 Melittin 처리 후 세포증식이 억제되었고 세포의 형태는 세포자멸사의 특징을 나타내었다. 2. PC-3 세포에서 Melittin 처리 후 ERKl/2과 PDGF-BB receptor ${\beta}$의 활성이 억제되었다. 3. PC-3 세포에서 Melittin과 AG1296을 함께 투여시 PDGF-BB receptor ${\beta}$ 활성억제의 상승효과가 나타났다. 4. 흉선 제거 후 전립선암세포주를 이식한 쥐에서 Melittin을 피내로 주입한 결과 전립선암의 크기와 무게가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결론 : 이상의 결과는 Melittin이 ERKl/2과 PDGF BB receptor ${\beta}$의 활성 억제를 통하여 인간 전립선암세포주인 PC-3의 세포자멸사를 유발함으로써 증식억제 효과가 있음을 입증한 것이며, 이를 재확인한 생처 연구에서의 긍정적인 결과는 향후 Melittin의 전립선암 예방과 치료에 대한 효과적인 치료제 개발에 초석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 PDF

Gastric Epithelial Cell Proliferation and Apoptosis in Children with Helicobacter pylori Infection (소아 Helicobacter pylori 감염에서 위 상피세포의 증식과 세포사)

  • Jung, Ji-Ah;Zhe, Jin;Han, Woon-Sup;Seo, Jeong-Wan
    • Pediatric Gastroenterology, Hepatology & Nutrition
    • /
    • v.5 no.1
    • /
    • pp.1-10
    • /
    • 2002
  • Purpose; Dysregulation of gastric epithelial cell proliferation and apoptosis are important in development of ulcer, atrophy and neoplasia in Helicobacter pylori (H. pylori) infection.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infection of H. pylori on gastric epithelial cell proliferation and apoptosis in children. Methods: Histological grading by updated Sydney system, PCNA immunostaining and TUNEL method were performed in H. pylori positive (N=58) and negative (N=40) gastric biopsy specimens. Results: In H. pylori positive children, there were significantly higher grade of polymorphonuclear neutrophil activity (P=0.000), chronic inflammation (P=0.000), epithelial damage (P=0.000) and lymphoid follicles (P=0.000) than in H. pylori negative children. Intestinal metaplasia was not seen in H. pylori positive children. PCNA index was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H. pylori positive children ($67.8{\pm}18.13$) and H. pylori negative children ($54.8{\pm}14.46$, P=0.000). There was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PCNA index and H. pylori density (r=0.277, P=0.007), polymorphonuclear neutrophil activity (r=0.280, P=0.007) and chronic inflammation (r=0.284, P=0.006). Apoptosis index of H. pylori positive children ($0.44{\pm}0.447$)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of H. pylori negative children ($0.14{\pm}0.196$, P=0.000). There was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apoptosis index and H. pylori density (r=0.472, P=0.000), polymorphonuclear neutrophil activity (r=0.370, P=0.001) and chronic inflammation (r=0.483, P=0.000). There was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PCNA index and apoptosis index (r=0.353, P=0.003). Conclusion: The PCNA and apoptosis index in H. pylori positive children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in H. pylori negative children. This study suggested that gastric epithelial cell proliferation and apoptosis are important to pathogenesis of H. pylori infection in children.

  • PDF

Bee Venom Inhibits PC-3 Cell Proliferation Through Induction of Apoptosis Via Inactivation of NF-${\kappa}B$ (Bee Venom이 NF-${\kappa}B$의 불활성화에 의한 세포자멸사를 통해 PC-3 세포의 증식에 미치는 영향)

  • Oh, Hyun-Jun;Song, Ho-Sueb
    • Journal of Acupuncture Research
    • /
    • v.27 no.3
    • /
    • pp.1-13
    • /
    • 2010
  • 목적 : 이 연구는 봉약침의 봉독과 그 주요성분인 멜리틴이 NF-${\kappa}B$의 활성억제와 세포자멸사 관련 단백질의 발현 조절을 통하여 세포자멸사를 유도함으로써 전립선 암세포주인 PC-3 세포의 성장을 억제하는지를 확인하고 해당 기전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방법 : 봉독이나 멜리틴을 처리한 후 PC-3의 성장억제를 관찰하기 위해 WST-1 assay, CCK-8 assay를 시행하였고, 세포자멸사 조절단백질의 변동 관찰에는 western blot analysis를 시행하였고, 세포자멸사와 연관된 NF-${\kappa}B$의 활성 변화를 관찰하기 위해 EMSA를 시행하였으며, PC-3에서 봉독이나 멜리틴과 NF-${\kappa}B$의 상호작용을 관찰하기 위해 transient transfection assay를 시행하여 세포생존율과 NF-${\kappa}B$의 활성 변동을 측정하였다. 결과 : PC-3 세포에 봉독이나 멜리틴을 처리한 후, 전립선암세포의 성장, 세포자멸사의 유발, 세포자멸사 관련 단백질의 발현, NF-${\kappa}B$의 활성, NF-${\kappa}B$의 p50, $IKK{\alpha}$, $IKK{\beta}$ 치환 후 NF-${\kappa}B$의 활성과 PC-3 세포 증식에 미치는 영향을 관찰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PC-3 세포에서 봉독이나 멜리틴을 처리한 후 세포자멸사가 유도되어 세포성장이 억제되었고, 세포자멸사 관련 단백질 중 분리된 PARP, caspase-3, -9는 유의한 증가를, Bcl-2, XIAP, cXIAP2는 유의한 감소를 나타내었다. 2. PC-3 세포에서 봉독이나 멜리틴을 처리한 후 NF-${\kappa}B$의 활성은 유의한 감소를 나타내었다. 3. PC-3 세포에서 NF-${\kappa}B$의 p50, $IKK{\alpha}$, $IKK{\beta}$를 치환하여 작용기를 없애고 봉독이나 멜리틴을 처리하였을 경우에도 NF-${\kappa}B$의 활성이 유의한 감소를 나타내었다. 결론 : 이상의 결과는 봉독이나 멜리틴이 NF-${\kappa}B$의 활성 억제를 통하여 인간 전립선암세포주인 PC-3의 세포자멸사를 유발함으로써 증식억제 효과가 있음을 입증한 것으로, 전립선암의 예방과 치료에 대한 효과적인 치료제 개발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Bee Venom Inhibits DU-145 Cell Proliferation Through Induction of Apoptosis (Bee Venom이 세포자멸사를 통해 DU-145 세포의 증식에 미치는 영향)

  • Hur, Keun-Young;Song, Ho-Sueb
    • Journal of Acupuncture Research
    • /
    • v.28 no.3
    • /
    • pp.111-119
    • /
    • 2011
  • 목적 : 이 연구는 봉독이 세포자멸사 관련 단백질의 발현 조절을 통하여 세포자멸사를 유도하고 전립선 암세포주인 DU-145 세포의 성장을 억제하는지를 확인하고 해당 기전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방법 : 봉독을 처리한 후 DU-145의 세포자멸사를 관찰하기 위해 TUNEL staining assay를 시행하였으며, 세포자멸사 조절단백질의 변동 관찰에는 western blot analysis를 시행하였다. 결과 : DU-145 세포에 봉독을 처리한 후, 세포자멸사의 유발, 세포자멸사 관련 단백질의 발현에 미치는 영향을 관찰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DU-145 세포에서 봉독을 처리한 후 세포자멸사가 유도되어 세포성장이 억제되었다. 2. 세포자멸사 관련 단백질 중 분리된 pro-apoptotic proteins인 PARP, caspase-3, caspase-9은 유의한 증가를 나타내었다. 3. 세포자멸사 관련 단백질 중 분리된 anti-apoptotic proteins인 Bcl-2, p-AKT, XIAP, cIAP2는 유의한 감소를, MMP2, MMP13은 유의한 증가를 나타내었다. 결론 : 이상의 결과는 봉독이 인간 전립선 암세포주인 DU-145의 세포자멸사를 유발함으로써 전립선암세포 증식억제 효과가 있음을 입증한 것으로 전립선암의 예방과 치료에 대한 효과적인 치료제 개발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Melittin Inhibits DU-145 Cell Proliferation Through Induction of Apoptosis (멜라틴이 세포자멸사 유발에 의해 DU-145 세포증식에 미치는 영향)

  • Shim, Yoon-Seop;Song, Ho-Sueb
    • Journal of Acupuncture Research
    • /
    • v.26 no.3
    • /
    • pp.49-58
    • /
    • 2009
  • 목적 : 본 연구는 봉약침의 주요성분인 멜리틴이 전립선 암세포주인 DU-145 세포성장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시행하였다. 방법 : 멜리틴이 DU-145의 성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한 cell viability 측정으로는 WST-1 assay를, 세포자멸사의 관찰에는 DAPI(4,6-diamidino-2-phenylindole)와 TUNEL staining assay를 시행하였으며, 세포자멸사 조절단백질(calpain, Bax, caspase-3, -9, cleaved caspase-3, cleavaged PARP, cleaved caspase-9, Bcl-2, XIAP, cIAP2, Akt, p-Akt, MMP-2, MMP-13)의 관찰을 위하여 western blot analysis를 시행하였다. 결과 : 1. DU-145 세포에서 멜리틴을 처리한 후 세포자멸사가 유도되어 세포성장이 억제되었다. 2. 세포자멸사 관련 단백질 중 분리된 caspase-3, caspase-9은 유의한 증가를, Bcl-2, p-Akt, XIAP, cXIAP는 유의한 감소를 나타내었다. 결론 : 이상의 결과는 멜리틴이 인간 전립선암세포주인 DU-145의 세포자멸사를 유발함으로써 증식억제 효과가 있음을 나타낸 것으로, 전립선암의 예방과 치료에 대한 효과적인 치료제 개발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 PDF

Growth inhibitory and antioxidative effects of crude methanolic extract from Euonymus alatus (Thunb.) Sieb on SKBR3 human breast cancer cell line (SKBR3 유방암세포주에 대한 귀전우 메탄올 추출물의 성장억제 및 항산화효과)

  • Park, Young-Soo;Han, Ji-Young;Lee, Tae-Kyun;Kim, Dong-Il
    • The Journal of Korean Obstetrics and Gynecology
    • /
    • v.18 no.1
    • /
    • pp.45-54
    • /
    • 2005
  • 이 연구는 SKBR3 인간 유방암세포주에 대한 귀전우 메탄올추출물(CME)의 증식억제 효과, 세포사 유발 효과 및 항산화 활성을 확인하기 위해 이루어졌다. SKBR3 유방암세포주는 48시간동안 다양한 농도($0{\sim}20{\mu}g/m{\ell}$)의 CME가 제공된 곳에서 배양되었고, MMT 측정법을 이용하여 세포생존율을 평가하였다. CME의 50%에서 효과를 나타내게 하는 약물농도인 $ED_{50}$ (effective dose 50%)은 $6.5{\pm}0.3{\mu}g/m{\ell}$) 이며, 투여량이 증가함에 따라 농도에 의존하여 세포증식이 억제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CME의 증식억제 효과는 유방암세포주의 세포사와 관련됨의 세포의 형태학적 변화와 올리고뉴클레오솜 DNA 파편의 확인을 통해 알 수 있었다. 또한 다양한 농도와 배양시간에서 CME가 ROS의 생산을 억제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런 결과들은 귀전우의 메탄올추출물이 SKBR3 인간 유방암세포주에 대해 강력한 증식억제 효과와 강한 항산화 효과를 나타낼 뿐만 아니라 세포사를 유도하는 효능을 가지고 있음을 시사한다. 이러한 효능은 약물에 대한 노출시간과 투여량에 의존하였다. 따라서 귀전우는 다양한 기전에 의해 유방암 세포에 대한 억제효과를 가질 수 있을 것으로 인식할 수 있다.

  • PDF

Iron chelating agent, deferoxamine, induced apoptosis in Saos-2 osteosarcoma cancer cells (Saos-2 골육종 세포에서 iron chelating agent, deferoxamine에 의한 apoptosis 유도)

  • Park, Eun Hye;Lee, Hyo Jung;Lee, Soo Yeon;Kim, Sun Young;Yi, Ho Keun;Lee, Dae Yeol;Hwang, Pyoung Han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v.52 no.2
    • /
    • pp.213-219
    • /
    • 2009
  • Purpose:Iron is a critical nutritional element that is essential for a variety of important biological processes, including cell growth and differentiation, electron transfer reactions, and oxygen transport, activation, and detoxification. Iron is also required for neoplastic cell growth due to its catalytic effects on the formation of hydroxyl radicals, suppression of host defense cell activities, and promotion of cancer cell multiplication. Chronic transfusion-dependent patients receiving chemotherapy may have iron overload, which requires iron-chelating therapy. We performed this study to demonstrate whether the iron chelating agent deferoxamine induces apoptosis in Saos-2 osteosarcoma cells, and to investigate the underlying apoptotic mechanism. Methods:To analyze the apoptotic effects of an iron chelator, cultured Saos-2 cells were treated with deferoxamine. We analyzed cell survival by trypan blue and crystal violet analysis, apoptosis by nuclear condensation, DNA fragmentation, and cell cycle analysis, and the expression of apoptotic related proteins by Western immunoblot analysis. Results:Deferoxamine inhibited the growth of Saos-2 cell in a time- and dose-dependent manner. The major mechanism for growth inhibition with the deferoxamine treatment was by the induction of apoptosis, which was supported by nuclear staining, DNA fragmentation analysis, and flow cytometric analysis. Furthermore, bcl-2 expression decreased, while bax, caspase-3, caspase-9, and PARP expression increased in Saos-2 cells treated with deferoxamine. Conclusion:These results demonstrated that the iron chelating agent deferoxamine induced growth inhibition and mitochondrial-dependent apoptosis in osteosarcoma Saos-2 cells, suggesting that iron chelating agents used in controlling neoplastic cell fate can be potentially developed as an adjuvant agent enhancing the anti-tumor effect for the treatment of osteosarcoma.